▶각 약제별 허가사항대로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고,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허가사항 범위이지만 동 인정기준 이외에 투여한 경우에는 약값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1. 대상 환자
가. 방사선학적으로 중등도 이하 (Kellgren-Lawrence Grade I, II, III)의 슬관절의 골관절염
나. 견관절주위염
2. 투여횟수
가. 슬관절의 골관절염 : 1주기 투여 후 효과가 있을 경우 최소 6개월 경과 후 재투여시 인정
나. 견관절주위염 : 1주기 투여 인정
* 1주기 : 1주에 1회씩 3주간 연속 투여
(2007.12.1 시행)
※ 관련근거
- Martindale, 35th Edition, p2014-5
-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Subcommittee on Osteoarthritis Guidelines: Recommendations for the Medical Management of Osteoarthritis of the Hip and Knee
- Pagnano M, et al, Successful nonoperative management of chronic osteoarthritis pain of the knee: safety and efficacy of retreatment with intra-articular hyaluronans. Osteoarthritis Cartilage. 2005 Sep;13(9):751-61.
- Raynauld JP, et a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repeat courses of hylan G-F 20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Cartilage. 2005 Feb;13(2):111-9.
- Kolarz G, et al, Long-term benefits and repeated treatment cycles of intra-articular sodium hyaluronate (Hyalgan)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Semin Arthritis Rheum. 2003 Apr;32(5):310-9.
- Petrella RJ. Hyaluronic acid for the treatment of knee osteoarthritis: long-term outcomes from a naturalistic primary care experience. Am J Phys Med Rehabil. 2005 Apr;84(4):278-83; quiz 284, 293.
- Listrat V, et al. Arthroscopic evaluation of potential structure modifying activity of hyaluronan (Hyalgan) in osteoarthritis of the knee. Osteoarthritis Cartilage. 1997 May;5(3):153-60.
- Waddell DD, et al. A second course of hylan G-F 20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c knee pain: 12-month patient follow-up. J Knee Surg. 2005 Jan;18(1):7-15.
- Waddell DD, et al. An open-label study of a second course of hylan G-F 20 for the treatment of pain associated with knee osteoarthritis. Curr Med Res Opin. 2003;19(6):499-507.
- AETNA policy(08/21/2007) - Viscosupplementation for Osteoarthritis (Number: 0179)
- 일본의약품집, 2007
■ 개정사유(종전고시 : 2006-97호, 06.12.1 시행)
- 동 약제를 ‘슬관절의 골관절염(osteoarthritis of knee)’에 1주기 투여후 재투여시는 임상문헌, 외국보험 기준 등 참조 최소 6개월 경과 후 투여시 인정함.
- ‘견관절주위염(periarthritis of shoulder)’은 재투여의 유효성과 관련한 근거자료가 부족하므로 1주기 투여만 급여인정함.
- 또한 Kellgren-Lawrence grade는 슬관절의 골관절염에만 해당함을 명확히 함.
▶각 약제별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고,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고시 제2013-127호)
- 아 래 -
가. 대상 환자
1) 방사선학적으로 중등도 이하 (Kellgren-Lawrence grade I, II, III)의 슬관절의 골관절염
2) 견관절주위염
나. 투여횟수
1) 슬관절의 골관절염 : 재투여 시점은 1주기 투여 후 효과가 있을 경우에 최소 6개월 경과한 후 투여 시 인정
2) 견관절주위염 : 1주기 투여 인정
※ 1주기 : 1주에 1회씩 3주간 연속 투여
* 시행일: 2013.9.1.
* 종전고시: 고시 제2007-112호(2007.12.1.)
* 변경사유: 용어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