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가 중요하다면 물런 리시브의 중요성도 상대적으로 크다고 생각합니다.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회전서브는 라켓을 세워서 받으시고 2구 공격시에도 라켓을 세워서 눌러치시면 됩니다.
커트서브는 라켓을 눞여서 받으시고 2구공격시는 라켓을 세워서 드라이브처멀 들어치시는것이 기본입니다.
백사이드 서브는 라켓면이 2시방얄을 향하도록 하십시오 이게 기본입니다.
물런 회전에 순행하는것과 상대방보다 더 많은 회전량으로 역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기술은 정석이 아닙니다.
서버가 커트서브를 화사이드에서 넣는다면 라켓을 눞여서 라켓면이 10시방향을 향하면 됩니다.
서버가 회전서브를 백사이드에서 넣는다면 라켓을 세워서 라켓면이 2시방향을 향하여 받으시면 됩니다.
나비사에 있는 회전에 기본지식 퍼왔습니다. (찾으시라면 안찾으실것 같아서 ㅋㅋㅋ)
이번 절은 주로 서비스 기술을 처음 익히는 초보자를 위한 내용이 중심입니다.
서비스는 회전과 코스, 스피드의 변화로 리시버의 플레이를 곤란하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때 능숙하지 못한 리시버가 가장 큰 곤란을 겪게 되는 것은 역시 "회전의 변화"입니다. 그러므로, 다양한 회전에 대처하는 기본적인 요령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회전에 대하여 어떤 식으로 리시브를 하는가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기본적인 것은 각도의 조절입니다. 그러나, 반드시 알고 계셔야 할 것은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각도를 맞추는 것보다도 중요한 것은 "스윙"입니다. 크든 작든 확실한 스윙과 확실한 임팩트가 있어야만 좋은 리시브를 할 수 있습니다. 단지 각도만 맞추게 되면 상대방이 편하게 공격할 수 있는 쉬운 공을 넘겨주는 결과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임팩트 순간의 스윙의 스피드가 높으면 약한 회전 정도는 무시해 버릴 수도 있습니다. 탁구의 모든 기술은 "날아오는 공의 회전과 스피드"와 "라켓의 스피드"의 대결이라고 볼 수 있으며 리시브 역시 예외가 아닙니다. 공은 둘 중 강한 쪽의 영향을 더 받게 되는 것입니다. "서비스가 길게 나오기만 하면 어떤 공이든 드라이브로 공격할 수 있다"는 것은 바로 그것 때문입니다. 충분히 스윙 스피드가 빠르면 서비스의 회전과 스피드 정도는 드라이브가 이겨 버릴 수 있는 것입니다. 이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1) 각도 조절의 기본 - 리시버의 라켓 각도는 서버의 라켓 각도와 대칭이 되도록 한다
각도를 조절하는 기본은 리시버의 라켓각이 서버의 라켓각과 대칭이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상대방의 라켓이 마치 자신의 라켓이 거울에 비친 것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만든다는 것입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butterflykorea.net%2Fupfile%2FeditImg%2Fmamia_D%2FBL%2FBL5005.jpg)
그렇게 함으로써 회전의 영향을 받아서 엉뚱한 방향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받았을 경우 기본적으로 공은 서버 쪽을 향하여 튀어나가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 원칙은 위의 그림처럼 주로 횡회전 서비스에 대해서 강조되는 것입니다만 후퇴회전 서비스나 전진회전 서비스에 대해서도 사실은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butterflykorea.net%2Fupfile%2FeditImg%2Fmamia_D%2FBL%2FBL5006.jpg)
그런데,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반드시 서비스가 라켓 각도대로 온다는 법은 없다는 것입니다. 임팩트 순간의 라켓의 미묘한 움직임에 의해 전혀 다른 회전을 얼마든지 걸 수 있습니다. 또, 라켓을 복잡하게 움직여서 어떤 순간에 공이 맞았는지 알기 어렵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느 순간이 "임팩트의 순간"인지를 정확히 판별하지 못하면 리시브는 완전히 실패하게 됩니다. 즉, 이 각도 조절의 기본은 "정확한 관찰"이 먼저 이루어져야만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라켓면을 만든 후 라켓이 움직일 기본적인 방향은 "뒤에서 앞"입니다. 양 옆으로 움직이는 것도 아니며, 아래나 위로의 움직임이 더해지는 것도 아니고, 순수하게 뒤에서 앞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물론 이 감각이 잡히면 더욱 다양한 기술을 구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향의 스윙을 할 수 있게 되지만 처음에 회전을 다루는 요령에 익숙하지 않은 단계에서는 "뒤에서 앞으로 곧게"라는 것을 항상 기억하셔야 합니다. 또, 대체적인 회전 방향은 알겠지만 더 자세한 확신이 없을 경우에도 전후 방향으로 곧게 라켓을 움직임으로써(물론 각도만 조절한 상태에서) 불필요한 미스를 없애고 안전하게 리시브할 수 있습니다.
(2) 후퇴회전 서비스에 대해서는 라켓면을 연다
후퇴회전이 걸린 서비스를 리시브할 때는 서비스에서도 라켓면이 열리므로 리시브하는 라켓면도 열어 주는 것이 일단은 기본입니다. 즉, 라켓면이 위를 보도록 하는 것입니다. (어디까지나 가장 기초적인 것일 뿐입니다. 다른 기술을 사용할 때는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butterflykorea.net%2Fupfile%2FeditImg%2Fmamia_D%2FBL%2FBL5007.jpg)
이때 가장 기본적인 기술은 흔히 보스커트라고 불리는(혹은 커트라고들 부르는) "푸시(push)"입니다. 자세한 기초기술은 기초기술 강좌 5, 6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라켓면을 만드는 또다른 기술로는 "스톱"이 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butterflykorea.net%2Fupfile%2FeditImg%2Fmamia_D%2FBL%2FBL5008.jpg)
푸시는 탁구에서 가장 안전한 기술입니다. 라켓이 아래위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거의 곧게 앞으로 움직이면서 상대방 코트로 밀어서 넣는 것입니다. 공을 자르려고 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공을 깎는 것이 아니라 라켓면 위에 실어서 주욱 밀면서 상대방 코트로 가져다 놓는다는 느낌으로 깊게 집어넣는 것이 기본입니다. 이때 물론 라켓면은 열려야 하는데, 완전히 열릴 수도 있고 어느 정도는 앞을 보면서 비스듬하게 열릴 수도 있습니다. 또, 상대방의 회전량에 따라서 당연히 라켓 각도는 조절해야 합니다. 공을 맞추는 위치는 공을 시계로 비유할 때 4시 반에서 6시 사이입니다. 어떤 경우든 날카롭게 깎으려고 하지 말고 부드럽게 밀어넣는다는 감각이어야만 실수를 하지 않고 정확하게 기술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일단 이런 기본 요령부터 익혀야 합니다. 그러나, 한 단계 더 나아가면 후퇴회전 서비스라도 다양한 방법으로 길이와 회전을 조절하여 리시브할 수 있습니다. 또, 서비스의 길이에 따라서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달라집니다.
(3) 횡회전 서비스에 대해서는 라켓면을 좌우로 조절한다
횡회전 서비스는 초보 시절에 가장 곤란을 겪는 서비스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약간의 요령만 알고 나면 오히려 더 받기 쉬울 수 있습니다. 횡회전에는 리시버가 볼 때 공이 왼쪽으로 휘어지는 "우횡회전"와 리시버가 볼 때 오른쪽으로 휘어지는 "좌횡회전"이 있습니다. (좌우가 다른 이유는 회전의 명칭이 그 공을 친 사람을 기준으로 붙여지기 때문입니다. 서버가 볼 때는 각각 오른쪽과 왼쪽으로 휘어지는 것이 됩니다.) 이것을 그냥 받으려고 하면 공은 각각 오른쪽과 왼쪽으로 튀어나가 버리게 됩니다.
이때 가장 간단하게 대처할 수 있는 요령은 우횡회전 서비스일 경우는 라켓면이 왼쪽을 보도록 하여 공의 오른쪽을 맞추고 좌횡회전 서비스일 경우는 라켓면이 오른쪽을 보도록 하여 공의 왼쪽을 맞추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공은 제멋대로 옆으로 튀지 않게 되므로 리시브를 안정시킬 수 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butterflykorea.net%2Fupfile%2FeditImg%2Fmamia_D%2FBL%2FBL5009.jpg)
여기서 주의할 점은 단순히 이 각도를 만드는 데에 그치지 않고, 라켓을 "앞뒤로" 움직여 주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각도만 만들어 놓으면 이 횡회전에 미묘하게 섞여 있는 다른 회전의 영향 때문에 공이 뜨거나 가라앉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상하 방향의 운동을 섞지 말고 곧바로 앞으로 밀어내 줌으로써 다른 회전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고 강한 리시브를 할 수 있습니다. 단, 밀어낸다고 하여 지나치게 크게 움직이려고 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약간의 움직임만 있어도 충분합니다. 무리하게 큰 자세를 만드는 것은 항상 미스의 원인 또는 랠리가 이어지지 않게 되는 원인이 되는 법입니다.
※ 참고로 "밀어낸다"는 뜻의 영어는 "푸시"입니다. 이 "밀어내는 타법"은 라켓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고 뒤에서 앞으로 곧바로 움직이되 백스윙은 비교적 작은 타법을 일컫는 것으로서 엄밀히 따지면 라켓면의 방향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그러나, 후퇴회전 공을 라켓면을 열고 밀어낼 경우는 비교적 밀어내는 거리가 큰 데 비하여 횡회전이나 전진회전 공에 대해서는 밀어내는 거리가 그다지 크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후퇴회전 공은 공격적인 공이 아니지만 횡회전이나 전진회전 공은 대체로 매우 공격적인 공이라는 데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횡회전이나 전진회전 공을 받아내는 기술은 근본적으로 "블록"이라는 수비 기술에 속하지만(힘차게 밀어내면 푸시성 블록이 됩니다!) 후퇴회전을 받아내는 기술은 "블록"에 속하지 않으므로 달리 표현할 길이 없으므로 그냥 "푸시"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즉, 엄밀히 말하면 기술 명칭이 아니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유럽, 미국 등에서는 그것을 기술 명칭으로 그냥 사용하고 있습니다. 탁구 기술 명칭이라는 것은 생각보다 엄격하지 않으며 그저 적당히 불리고 있는 느낌이 있습니다.
(4) 전진회전 서비스에 대해서는 라켓면을 숙인다
마찬가지로 전진회전 서비스에 대해서는 라켓면을 약간 숙여서(닫아서) 받아낼 수 있습니다. 이것 역시 위에서 설명한 "대칭"의 원리와 통하는 것입니다. 다만 지나치게 숙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어느 정도는 경험과 감각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감각을 익히는 것은 횡회전이나 후퇴회전 서비스를 받는 것보다도 쉽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butterflykorea.net%2Fupfile%2FeditImg%2Fmamia_D%2FBL%2FBL5010.jpg)
주의할 점은 전진회전이 걸린 공은 바운드된 후 낮게 깔릴 수 있으므로 라켓이 출발하는 위치를 조금 낮게 잡고 스윙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역시 "앞으로 똑바로" 움직인다는 기본은 변하지 않습니다. 물론, 경험을 쌓고 다양한 기술을 구사할 수 있게 되면 이 기본에 구애받을 필요가 없게 됩니다만 리시브를 배우는 초기, 또 시합 중에 리시브가 잘 되지 않을 때는 이 원칙에 충실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라켓면을 약간 숙여서 공을 받아낼 때 "뒤에서 앞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식하지 않으면 자신도 모르게 공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거나 때려 버리게 되기 쉽습니다. 그 힘이 너무 강하면 상대방의 공에 걸려 있는 전진회전에도 불구하고 공은 네트를 넘어가지 못하고 걸려 버리게 됩니다. 이것은 리시브할 때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드라이브를 받아낼 때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입니다. 물론 드라이브의 종류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 위에서 아래로 눌러 주어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만, "드라이브를 받았더니 네트에 걸렸다"라는 대부분의 경우 그 원인은 바로 위에서 아래로 공을 누르거나 때리는 것입니다. "곧바로 앞으로" 움직이도록 의식하는 것에 의해서 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5) 무회전 서비스일 경우는 약하지만 확실한 임팩트가 중요
이제까지는 "회전이 걸린 경우"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리시브 상황에서는 회전이 걸리지 않은 무회전 서비스가 들어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무회전 서비스에 대하여 좋은 리시브를 하려면 좀더 섬세한 감각이 필요합니다. 라켓면을 맞추는 것과 같은 요령은 통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초보자 단계에서는 무회전 서비스가 매우 까다롭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숙련된 리시버라면 무회전 서비스가 짧다면 플릭으로 선제공격하거나 스톱으로 짧게 굴릴 수 있고 무회전 서비스가 길다면 드라이브로 선제공격할 수 있습니다. 첫 단계에서의 중요한 요령은 공을 강하게 치려 하지 말고 다소 약하고 섬세하게 쳐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팩트는 확실해야 합니다. 공을 어떤 식으로 다룬다는 확실한 감각이 느껴지는가 그렇지 못한가가 포인트입니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가볍게 친다"라고 바꾸어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회전은 걸 수도 있고 걸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우선은 그런 마음가짐으로 리시브에 임하면서 차근차근 기술을 익혀 주시기 바랍니다. 무회전 서비스에 대해서는 "특별한 요령"을 깊게 설명하기는 곤란합니다. 그러나, 그저 시간을 투자하여 다양한 기술을 확실하고 꾸준하게 익혀 가시기만 한다면 무회전 서비스에 대해서는 그다지 곤란을 겪지 않게 될 것은 분명합니다. 상대방이 건 회전이 없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만 갖추고 있다면 공을 받아내는 것 자체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무회전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이며 여기서 성패가 갈리게 되므로 판단력을 키우는 데에 더 신경을 써 주시기 바랍니다.
리시브의 위치는 정답이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왼쪽면끝에서 탁구대와 70~80Cm 떨어져서 위치하고 라켓은 항상 탁구대보다 높게 위치합니다.
짧은 서브는 한발을 깊게 들어가서 리스브하고 보통서브는 약간 앞으로가서 리시브합니다.
긴서브는 그자리에서 공을 따라가면서 공격하는 편입니다.
한마디로 움직여서 하체를 안정시킨후에 라켓을 뻗어 리시브하라는 것입니다.
긴서브는 가능한 공격하고 화쪽으로 오는 서브는 어떻게든 공격적으로 리시브하려고 하십시오
백쪽으로 오는 서브는 가능한 3구 공격이 어렵도록 짧게 리시브하려고 하시구요
짧은 리시브가 어렵다면 강하게 길게 예측이 어려운 면으로 리시브 하십시오
특히 초보가 리시브를 배우시려면 회전인지 커트인지 너클인지 본인이 확인하고 리시브를 원칙대로 하라는것입니다.
커트도 회전도 아닌 어정쩡한 리시브는 최악입니다.
일단 본인의 판단이 틀리더라도 회전인지 커트인지는 자꾸 보려고 노력하세요~~
잘 안되시면 다른곳에서 고수들이 게임 하는 것을 유심히 보시고 커트인지 회전인지 맞추어보세요..
게임에 임하셨다면 우선은 커트자세로 상대방이 서브를 넣는다면 우선 커트로 받아보세요
만약에 커트하셨는데 공이 많이 떠오른다면 그것은 회전서브라 생각하시고 라켓을 화스트록 하는것처럼 세워서
리시브하십시오
커트하셨는데 공이 네트에 걸리면 그것은 커트서브인데 커트량이 부족한것이니 커트한 라켓면을 좀더 눞히시고
공이 약간 떠오르면 커트면을 좀 더 세워서 리시브 하시면 됩니다.
하수들은 커트량이 적으므로 상대적으로 라켓면을 너무 눞이지 마세요~~ 리시브가 뜨는 원인이 될수도 있습니다.
고수들의 너클볼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회전량이 거의 없는것입니다. 그러니 커트하시면 회전처럼 뛰어오르지는 않지만 치기 좋은 높이에 리시브됩니다.
회전이 없었으므로 공격하는데 실수도 적으니 고수들이 가장 즐기는 서브가 커트자세에서 적은 회전(너클)입니다.
물런 항상 회전만 넣지는 않습니다. 같은자세에서 커트와 적은회전이 섞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수는 그볼의 차이가 눈에 잘보이지만 고수는 잘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므로 원칙대로 하시되 확실하지 않은 볼은 무조건 강하게 커트로 위에서 아래로 찍어서 눌러주세요...
커트는 당현히 넘어갈것이고 너클은 자신의 커트량으로 커트로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원칙은 아닌 요령입니다. 배우실때는 사용하지 마세요)
결론은
1. 리시브는 수비가 아닌 공격으로 생각하시어 공격적인 리시브를 하려고 노력하세요
2. 가운데 서서 받지말고 몸을 움직여서 서비스 리시브를 안정적으로 하세요
3. 눈으로 확인하고 회전과 커트를 구별하셔서 확실하게 원칙대로 리시브하세요
틀려서 실수하셔도 꾸준히 원칙대로 리시브하세요 좋은 결과로 보답합니다.
4. 초보시라면 상수들의 서비스를 맞추어보고 리시브 요령을 터득하세요..
예) 만약에 특정인의 서비스가 어렵다고 생각하시면 고수와 게임할 때 한번 보세요..
어떻게 리시브를 하는지 그리고 따라서 하시면 됩니다.
우리 회원님들의 많은 실력 향상을 기원합니다.
*** 게임에 이기려고 노력하지 마시고 자신의 실력향상을 위하여 노력하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