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절 제3류 위험물(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1.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물질이란 자연발화성물질이란 공기 중에서 발화의 위험성이 있는 것을 말하고, 금수성물질이란 물과 접촉하여 발화하거나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킬 위험성이 있는 물질을 말한다. 2.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물질의 종류 및 지정수량 가. 칼륨(potassium) : 지정수량 10kg 나. 나트륨(sodium) : 지정수량 10kg 다. 알킬알루미늄(alkyl aluminium) : 지정수량 10kg 라. 알킬리튬(alkyl litthium) : 지정수량 10kg 마. 황린(yellow phosphorus) : 지정수량 20kg 바. 알칼리금속(K, Na 제외)류 및 알칼리토금속류 : 지정수량 50kg 사. 유기금속화합물류(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제외) : 지정수량 50kg 아. 금속의 수소화물 : 지정수량 300kg 자. 금속의 인화물 : 지정수량 300kg 차. 칼슘 또는 알루미늄의 탄화물 : 지정수량 300kg 카. 염소화규소화합물 : 지정수량 300kg 파. 위의 것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한 것 : 지정수량 10, 50, 300kg 3. 공통성질 가. 공기 중에 노출되거나 물(수분)과 접촉하는 경우 직접적인 발화위험이 있다. 나. 황린과 같이 자연발화성(공기 중 발화 위험성)만을 가지고 있는 물품, 알칼 리금속과 같이 금수성(물과 접촉시 발화하거나 가연성 또는 유독성의 가스를 발생하는 위험성)만을 가진 물품도 있지만, 자연발화성과 금수성의 위험성을 모두 갖는 물질이 많다. 4. 위험물의 품명별 종류 및 성상 가. 칼륨(potassium, K) ○ 은백색의 광택이 있는 경금속으로 칼로 잘리는 무른 금속이다. ○ 실온의 공기 중 빠르게 산화되어 피막을 형성하여 광택을 잃는다. ○ 흡습성, 조해성이 있으며 금속재료를 부식시킨다. ○ 공기중에 방치하면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고 가열하면 적자색의 불꽃을 내며 연소 한다. ○ 물과 격렬히 반응하여 발열하고 수소를 발생한다. 이때 발생된 열에 의해 K를 연 소시키며 또한 발생한 수소를 폭발시키므로 2차 재해 발생에 주의하여야 한다. ○ 알코올 및 묽은 산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킨다. ○ 이산화탄소와도 반응하여 연소, 폭발한다. ○ 산화성물질과 접촉시 충격, 마찰에 의해 폭발의 위험이 있다. 나. 나트륨(sodium, Na) ○ 은백색의 광택이 있는 경금속으로 무른 금속이다. ○ 실온의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피막을 형성하고 빨리 광택을 잃는다. ○ 공기 중 방치하면 자연발화하고 산소 중 가열하면 황색불꽃을 내면서 연소한다. ○ 물과 격렬히 반응하여 발열하고 수소를 발생한다. ○ 알코올, 산, 액체암모니아와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 이산화탄소, 사염화탄소와도 반응한다. ○ 강산화성 물질과 혼합한 것은 가열, 충격, 마찰에 의해 폭발의 위험이 있다. 다. 알킬알루미늄(alkyl aluminium) 1) 개요 알킬기(R, CnH2n+1)와 알루미늄(Al)의 화합물을 알킬알루미늄(R-Al)이라 하며 할로겐원소가 들어간 경우(RAlX)가 있다. 일종의 유기금속화합물이지만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별도의 품명으로 분류하고 있다. 2) 종류 및 성상 가) 트리메틸알루미늄(Tri methyl aluminium, (CH3)3 Al) ○ 무색의 가연성 액체이다. ○ 물과 접촉시 심하게 반응하고 폭발한다. ○ 공기 중에 노출하면 자연발화한다. ○ 200℃이상의 열에서도 분해한다. ○ 산, 할로겐, 알코올, 아민과 접촉하면 심하게 반응한다. 나) 트리에틸알루미늄(Tri ethyl aluminium, (C2H5)3 Al) ○ 무색투명한 액체이다. ○ 물과 접촉하면 폭발적으로 반응하여 에탄을 발생하고 발열, 폭발한다. ○ 공기와 접촉하면 자연발화한다. ○ 산, 할로겐, 알코올, 아민과 접촉하면 심하게 반응한다. 다)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Tri isobutyl aluminium, (C4H9)3Al) ○ 무색 투명한 가연성 액체이다. ○ 공기 또는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며 산화제, 강산, 알코올류와 반응한다. ○ 공기중에 노출시키면 자연발화하고, 저장용기를 가열하면 심하게 파열한다. 라) 디메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Dimethyl aluminium chloride, (CH₃)₂AlCl) ○ 무색투명한 가연성액체이다. ○ 공기중에서 자연발화하고 물과 반응한다. 마) 디에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Diethyl aluminium chloride, (C2H5)2 AlCl) ○ 무색투명한 가연성액체이다. ○ 부식성이 있으며, 공기중에 누출되면 어떤 온도에서도 자연발화한다. 바) 기타 알킬알루미늄 ○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Disisobuthyl aluminium hydride, (C4H9)2AlH) ○ 디프로필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Dipropyl aluminium hydride, (C3H7)2AlH) ○ 에틸알루미늄디클로라이드(Ethyl aluminium dichloride, C2H5AlCl2) ○ 디에틸알루미늄시아나드(Diethyl aluminium cyanide, (C2H5)2AlCN) ○ 메틸알미늄세스퀴클로라이드(MethylAluminium Sesqui Chloride, (CH3)3Al2Cl3) ○ 메틸알루미늄브로마이드(Methyl aluminium bromide, (CH3)AlBr) ○ 디메틸알미늄브로마이드( Dimethylaluminium Bromaide, (CH3)2AlBr) ○ 디에틸 알루미늄 에톡사이드( Diethyl aluminium ethoxide, (C2H5)2AlOCH) 라. 알킬리튬(alkyl lithium) 1) 개요 알킬기(R, CnH2n+1)와 리튬(Li)의 화합물을 알킬리튬(R-Li)이라 하며 일종의 유기금속화합물이지만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알킬알루미늄과 더불어 별도의 품명으로 분류하고 있다. 2) 종류 및 성상 가) 메틸리튬(Methyl lithium, (CH3) Li) ○ 무색의 가연성액체이다. ○ 물 또는 수증기와 심하게 반응한다. ○ 산소와 빠른 속도로 반응하여 공기중에 노출되면 어떤 온도에서도 자연발화한다. ○ 물, 수증기와 반응하여 수산화리튬과 암모니아를 생성한다. 나) 에틸리튬(Ethyl lithium, C2H5 Li) ○ 무색의 가연성액체로서 물과 반응하고 공기중에 노출되면 어떤 온도에서도 자연 발화한다. 다) 부틸리튬(Butyl lithium, C4H9 Li) ○ 무색의 맑은 액체이다. ○ 물과 탄화수소에 격결하게 반응한다. 라) 페닐리튬(Phenyl lithium, C6H5 Li) 마. 황린(yellow phosphorus, P4) ○ 백색 또는 담황색 왁스상의 가연성 고체이다. ○ 발화점이 34℃이다. ○ 물에 녹지 않지만( 따라서 물속에 저장) 벤젠, 이황화탄소에 녹는다. ○ 증기는 공기보다 무겁고 맹독성, 가연성이다. ○ 어두운 곳에서 청백색의 인광을 낸다. ○ 발화점이 매우 낮아 공기 중에 노출되면 자연발화한다. ○ 공기 중에서 격렬하게 연소하여 유독성 가스인 오산화인의 백연을 낸다. ○ 강산화제와 접촉하면 발화위험이 있으며 충격, 마찰에 의해서도 발화한다. ○ 수산화나트륨 등 강알카리 용액과 반응하여 맹독성의 포스핀가스를 발생한다. 바. 알카리금속(K, Na 제외)류 및 알카리토금속류 1) 알카리금속류 알칼리 금속은 상온에서 은백색 광택을 가지는 비교적 가벼운 고체로 칼로 쉽게 갈라지는 무른 금속이다. 최외각 전자껍질의 전자가 1개이므로 전자 1개를 쉽게 잃어 (+1)의 양이온이 되기 쉽다. 반응성이 매우 크므로 공기 중에서 쉽게 산화해 산화물을 만든다. 또 상온에서 물과 격렬히 반응해 수소를 발생하고 남은 용액은 염기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막기 위해 석유나 액체 파라핀 속에 보관해야 한다. 모두 고유의 불꽃반응색을 나타내므로 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가) 리튬(lithium, Li) ○ 은백색 금속으로 무르고 연하며 금속 중 가장 가볍다. ○ 건조한 실온의 공기 중 반응하지 않지만 가열하면 녹색불꽃을 내며 연소한다. ○ 물과 상온에서는 서서히, 고온에서는 격렬하게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 산, 알코올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한다. ○ 강산화제와 혼합시 발열하고 질산과 혼합시 발화한다. 나) 루비듐(rubidium, Rb) ○ 은백색의 금속으로 융점이 매우 낮다.(39℃) ○ 고온에서 할로겐과 반응한다. ○ 물 또는 묽은 산과 폭발적으로 반응하고 수소를 발생한다. ○ 액체암모니아, 알코올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다) 세슘(cesium, Cs) ○ 노란색의 금속으로 융점이 낮다.(28.4℃) ○ 알카리 금속류 중에서 반응성이 가장 크다. ○ 대기 또는 공기중 청색불꽃을 내며 연소한다. ○ 물과 폭발적으로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다) 프란슘(francium. Fr) ○ 은백색의 금속으로 방사성물질이다. ○ 융점(27℃)이 매우 낮아서 실온에서 쉽게 액체로 변하며 화학적 성질은 세슘과 유사하다. 2) 알카리토금속류 알카리토금속의 화합물은 땅속 광물들의 성분이므로 흙의 의미인 '토'자를 붙였다. 산과 잘 화합해 산을 중화시키며 중성염을 만들기 때문에 '알칼리'성 이라고 부른다. 모두 은백색의 가벼운 금속으로 공기와 접촉하면 곧 빛깔을 잃는다. 최외각 전자가 2개이기 때문에 전자 2개를 잃고 (+2)의 양이온이 되기 쉽다. 산과 반응해 수소가 발생한다. 가) 베릴륨(beryllium, Be) ○ 회백색의 단단하고 가벼운 금속으로 내열성이 풍부하다. ○ 상온에서 공기 또는 물과 잘 반응하지 않지만 뜨거운 물, 묽은 산, 알카리 수용 액에 녹아 수소를 발생한다. 나) 칼슘(calcium, Ca) ○ 은백색의 금속이다. ○ 물과 반응하여 상온에서 서서히, 고온에서는 수소를 발생한다. ○ 고온으로 가열하면 등색불꽃을 내며 연소하여 산화칼슘이 된다. ○ 산, 알코올과 반응하여 수소를 낸다. 다) 스트론듐(strontium, Sr) ○ 은백색의 금속이다. ○ 물 또는 묽은 산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 실온의 공기에서 회백색의 피막을 만들며 고온에서 홍색불꽃을 내며 연소한다. 라) 바륨(barium, Ba) ○ 은백색의 금속이다. ○ 물에 녹고 산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 고온에서 공기 중 연소하여 황록색을 불꽃을 내며 연소한다. 마) 라듐(radium, Ra) ○ 백색의 광택을 가진 금속으로 알카리토금속 중 반응성이 크다. ○ 물 또는 산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 실온의 공기에서 산화되어 흑색으로 변한다. ○ 동위 원소 모두는 방사성물질이다. 사. 유기금속화합물류(organomatallic compounds) 1) 개요 금속 원자와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는 분자로 이루어진 물질을 말한다. 금속과 유기산의 이온성 염은 유기금속화합물에 속하지 않는다. 가장 잘 알려진 유기금속화합물은 노킹방지용 가솔린 첨가제인 사에틸납이다. 흔히 쓰이는 공업용 화합물로는 실리콘 중합체가 있다. 유기금속화합물은 화학의 발전에서 주된 역할을 담당해온 수많은 물질 중의 하나이다. 이들은 촉매와 중간물질로 널리 쓰인다. 유기금속화합물은 3가지 범주의 금속을 포함한다. 첫번째 범주에는 리튬과 마그네슘처럼 화학적으로 활성이 큰 금속들이 속해 있는 주기율표의 Ⅰ·Ⅱ족 금속들이 속한다. 2번째 범주에는 철과 백금 같은 전이금속 계열이 속한다. 3번째 범주에는 규소와 붕소처럼 부분적으로 금속인 준금속 원소들이 속한다. 유기금속화합물에 있는 탄소는 수소와 탄소로 이루어진 분자구조를 갖는 탄화수소에 들어 있다. 일부 유기금속화합물은 그밖에 다른 원소의 원자를 포함하기도 한다. 유기금속화합물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은 매우 다양하다. 탄화수소가 고리 모양이거나 방향족인 것들을 비롯한 대부분이 고체이며, 몇몇은 액체 또는 기체이다. 열과 산화에 대한 안정성도 크게 다르다. 어떤 것은 대단히 안정하지만 대부분은 자발적인 가연성이 있다. 많은 유기금속화합물은 매우 유독한데, 특히 휘발성이 있는 것들이 그러하다. 2) 종류 및 성상 가) 사에틸납(Tetraethyl lead, (C2H5)4 Pb) ○ 특유한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이다. ○ 대부분의 유기용제에 녹지만 물, 묽은산, 묽은 알카리에는 녹지 않는다. ○ 상온에서 기화하기 쉬우며 증기는 공기와 혼합하여 폭발하기 쉽다. 나) 디메틸주석(Dimethyl tin, Sn(CH3)2) ○ 물과 격렬하게 반응한다. ○ 공기중에서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다) 디메틸 아연(Dimethyl zinc, Zn(CH3)2) ○ 액체이다. ○ 공기나 탄화수소에 점화될 수 있다. 라) 디메틸 갈륨(Dimethyl galium, Ga(CH3)2) ○ 물과 격렬하게 반응한다. ○ 공기중에서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마) 기타 유기금속화합물류 ○ 디메틸수은(Dimethyl mercury, Hg(CH3)2) ○ 헥사메틸디틴( Hexamethyl ditinm, (CH₃)₃SnSn(CH₃)₃) ○ 디메틸카드뮴( Dimethyl cadmium, (CH3)2 Ca) ○ 디메틸인듐(Dimethyl indium, (CH3)2 In) ○ 디페닐마그네슘(Magesium diphenyl, Mg(C6H5)2) ○ 디에틸주석(Diethyl tin, (C2H5)2 Sn) ○ 에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Ethyl magnesium chloride, C2H5 MgCl) ○ 트리메틸브롬화주석(Trimethyl tinbromide, (CH3)3 SnBr) ○ 디메틸텔레늄(Dimethyl telluride, Te(CH3)2) ○ 디에틸갈륨(Diethyl galium, (C2H5)2 Ga) ○ 디에틸인듐(Diethyl indium, (C2H5)2 In) ○ 디에틸카드뮴(Diethyl cadmium, (C2H5)2 Cd) ○ 리튬트리메틸실라노레이트(Lithium trimethylsilanolate, (CH3)3SiOLi) ○ 포타슘터셔리부톡시드(Potassium tert-butoxide, (C3H7) COK) ○ 포타슘트리부틸보로하이드라이드(Potassium tributyl borohydride, KB(C4H9)3H) 아. 금속의 수소화물(hydride) 1) 개요 금속이나 준금속 원자에 1개 이상의 수소원자가 결합하고 있는 화합물을 말한다. 로켓 연료나 기구(氣球)를 채우는 수소원으로 사용되며, 어떤 것들은 핵융합과정에서 가장 중요하다. 수소화물이란 용어는 좁은 범위 내에서 다양한 조성을 갖는 금속상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화팔라듐은 Pd2H에 가까운 조성을 갖는다. 수소화물은 화학결합에 따라 4가지로 분류된다. 가) 염류성(鹽類性) 수소화물 수소가 음이온으로 존재하는 수소화물을 가리키며, 이때 수소는 할로겐 원소(플루오르·염소 등)와 유사한 작용을 한다.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다량의 수소 기체를 발생시키므로 이 성질을 이용하면 가벼운 휴대용 수소 제조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2원소 염류성 화합물로는 수소화나트륨(NaH)과 수소화칼륨(CaH2)이 있다. 다원소 염류성 화합물에는 수소화리튬알루미늄(LiAlH4)과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이 있고, 이들 화합물은 환원제로 널리 사용된다. 나) 금속성 수소화물 이전에는 격자성 수소화물이라고 했으며 광택이 있고 전기전도도가 큰 금속의 특징을 갖고 있는 합금성 수소화물을 말한다. 그러나 이들은 원래의 금속(일반적으로 연성을 가짐)보다 부서지기 쉽고 때로는 더 단단하다. 이들은 염과 합금 사이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진다. 금속성 수소화물은 전자 바다(전자가 매우 풍부하며 유동적인 상태)에 양성자(H+)와 금속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전자가 이 수소화물에서는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이기 때문에 광택과 전기전도도를 갖는다. 여기에 속하는 화합물로는 수소화티탄(TiH2), 이수소화토륨(ThH2), 토륨과 여러 개의 수소가 결합하여 형성된 수소화토륨(Th4H15)이 있다. 다) 이합체성(二合體性) 또는 중합체성(重合體性) 수소화물 수소가 금속이나 준금속 원자를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는 수소화물이다. 전형적인 예로는 붕소의 수소화물(디보란 (B2H6), 펜타보란 (B5H9), 데카보란 (B10H14) 등)이 있다. 이들 수소화물이 연소할 때는 탄화수소들이 탈 때보다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기 때문에 로켓에 사용되는 고에너지 연료로 이용될 전망이 높다. 알루미늄·구리·베릴륨의 수소화물들은 고체·액체 기체 형태로 존재하는 부도체들로서 열에 불안정하며, 공기나 습기 중에서 폭발하기도 한다. 라) 휘발성 공유결합 수소화물 원자의 전기음성도가 서로 비슷하여 전자쌍을 공유하여 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수소화물이다. 예를 들면 실란(SiH4)·아르신 (AsH3)·게르만(GeH4)·수소화붕소알루미늄(Al(BH4 )3)·디게르만(Ge2H6)이 있다. 이들 수소화물은 휘발성이 있고 열에 불안정하며 냄새가 난다. 일부(예를 들면 아르신)는 대단히 유독하며, 수소화붕소알루미늄과 같은 수소화물은 공기와 습기 중에서 발화한다. 2) 종류 및 성상 가) 수소화나트륨(Sodium hydride, NaH) ○ 회백색의 분말이다. ○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하며 고온(425℃)에서 나트륨과 수소로 분 해된다. ○ 유기용매, 액체암모니아에 녹지않는다. 나) 수소화알루미늄리튬(Lithium aluminium hydride, Li(AlH₄) ○ 회색 결정성 분말이다. ○ 물과 알코올 녹는다. ○ 산과 접촉시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하며 화재, 폭발의 위험이 크다. 다) 펜타보란(pentaboran, B5H9) ○ 무색의 액체이다. ○ 인화성이 있고 공기와 혼합하여 폭발할 수 있다. ○ 할로겐, 물에 의해 분해된다. 라) 수소화알루미늄(aluminium hydride, AlH3) ○ 백색 또는 회색 분말이다. ○ 습기, 물, 산과 격렬히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하고, 이 반응에 의해 발생한 열에 의해 자연발화한다. 마) 수소화티타늄(Titanium hydride, TiH₂) ○ 흙색의 금속분말이다. ○ 650℃ 이상에서 수소를 발생시키고 강력한 산화제에 의해 쉽게 반응한다. 바) 수소화칼륨(Potassium hydride, KH) ○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수소를 발생시킨다. ○ 에테르에 녹는다. 사) 기타 금속의 수소화물 ○ 수소화리튬(Lithium hydride, LiH) ○ 수소화티타늄(Titanium hydride, TiH2) ○ 수소화붕소칼륨(Potassium borohydride, KBH4) ○ 수소화붕소나트륨(Sodium borohydride, NaBH4) ○ 수소화마그네슘(Magnesium hydride, MgH2) ○ 수소화리튬알루미늄(Lithium aluminium hydride, LiAIH4) ○ 수소화붕소알루미늄(Aluminium Borohydride, Al(BH4)3) ○ 수소화알루미늄나트륨(Sodium aluminium hydride, NaAlH₄) ○ 수소화지르코늄(Zirconium hydride, ZrH₂) ○ 수소화스트론튬(Strontium hydride, SrH) ○ 수소화아연( Zinc hydride ZnH) 자. 금속의 인화물(phosphide) 1) 개요 인과 금속원소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을 말한다. 모두 동족의 질화물과는 다른 독특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많고 금속간화합물의 성격이 강하다. 고온에서는 분해되어 인을 만드는 것이 많다. 알카리금속, 알카리토금속, 1B족, 2B족원소 및 희토류원소를 포함하는 3A족 원소의 인화물은 공유결합성은 강하지 않은데 물 또는 묽은 산과 쉽게 반응하여 포스핀을 만든다. 2) 종류 및 성상 가) 인화아연(Zinc phosphide, Zn₃P₂) ○ 인냄새가 나는 암회색의 결정성 분말이다. ○ 물에 분해되고 알코올과 에테르엔 녹지않는다. ○ 산화성 물질과 격렬하게 반응하고, 산 또는 산성가스와 격렬하게 반응하여 포스 겐가스를 발생한다. ○ 물과 습기에 의해 맹독성, 자연발화성 포스핀가스를 발생한다. 공기를 차단하여 가열하면 용융하여 승화한다. 나) 인화알루미늄(Aluminium phosphide, AlP) ○ 인냄새가 나는 회색 결정이다. ○ 물에 분해된다. ○ 신화성물질과 심하게 반응하고 물, 산, 알카리와 반응하여 인화수소가스를 발생 한다. ○ 연소시 유해한 오산화인을 생성한다. 다) 인화칼슘(Calcium phosphide, Ca₃P₂) ○ 암적색의 결정성 분말이다. ○ 산화성물질과 심하게 반응하고, 산과 반응하면 인화수소를 발생한다. 라) 기타 금속의 인화합물 ○ 인화갈륨(Gallium phosphide, GaP) ○ 인화마그네슘(Magnesium phosphide, Mg3P2) ○ 인화수은(Mercury phosphide, HgP) ○ 인화나트륨(Sodium phosphide, NaP) ○ 인화스트론튬(Strontium phosphide, Sr3P2) ○ 인화알루미늄마그네슘(magnesium aluminium phosphide, Mg3AlP3) 차. 칼슘 또는 알루미늄의 탄화물(carbide) 1) 개요 탄화물이란 탄소와 그 보다 양성인 원소와의 화합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양성이 강한 원소(1족, 2족, 3족의 금속원소)와는 이온성화합물, 비금속원소와는 공유결합성탄화물, 원자반지름이 큰 원소와는 침입형탄화물을 만든다. 칼슘 또는 알루미늄의 탄화물은 이온성탄화물로서 순수한 시료는 낮은 투명한 고체이고, 산이나 어떤 경우에는 물과도 반응하여 탄화수소와 금속의 수산화물로 분해된다. 탄화물은 대개 금속이나 금속의 산화물을 탄소와 1,000~2,800℃에서 반응시켜 만드는데, 어떤 경우에는 금속의 산화물이나 염화물을 환원시키기 위해 탄화수소나 수소를 사용하기도 한다. 2) 종류 및 성상 가) 탄화칼슘(Calcium carbide, CaC₂) ○ 불쾌한 냄새가 나는 흑회색의 괴상이다. ○ 물과 알코올에 분해되고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 물, 습기와 격렬하게 반응하여 아세틸렌, 수산화칼슘을 발생한다. ○ 1kg 당 300ml의 아세틸렌 가스가 발생한다. 나) 탄화알루미늄(Aluminium carbide, Al₄C₃) ○ 무색 또는 황색의 결정 또는 분말이다. ○ 물에 분해한다. 알코올과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 물과 수증기에 분해하여 가연성의 메탄가스가 발생한다. 카. 염소화규소화합물(chlorosilane) 1) 개요 염소화규소화합물이란 SinH2n+2 의 조성을 갖는 실란의 수소가 염소로 치환된 유기규소화합물로서 그 특이한 반응성으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2) 종류 및 성상 가) 트리클로로실란(trichlorosilane, SiHCl3) ○ 수소화삼염화규소, 실리코클로로포름이라고도 한다. ○ 규소를 건조한 염화수소 기류속에서 약 380℃로 가열하여 얻어진다. ○ 무색의 유동성 액체로서 융점은 -126.5℃, 비점은 31.8℃ 비중은 1.34이다. ○ 이황화탄소, 사염화탄소에 녹고 가수분해하면 염산과 디옥소디실록산으로 된다. 나) 클로로실란(chlorosilane, SiH4Cl) ○ 무색의 휘발성 액체로서 인화성, 부식성도 있다. ○ 물에 용해되지 않는다. ○ 산화성물질과 격렬하게 반응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