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할 수 있게 목표를 계량화하라? 글쎄요. 목표를 왜 그렇게 세웠는지, 그만한 실적이면 잘한 건지 못한 건지, 설명할 수 있을까요?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아닐까요?
목표 대비 실적이 높으면 목표를 잘못 설정했다 할까요? 실적이 좋다 할까요? 괜히 초과 달성해서 평지풍파 일으킨다 할까요? 얼마쯤이면 잘했다 못했다 괜찮다 할 수 있을까요?
3) 정합성의 증거
정합성의 증거는 숫자가 아니라 이야기입니다. 숫자에서는 감동이나 의미를 찾기 어렵습니다. 숫자놀음에 그치기 쉽습니다.
평가에는, 그 보고서에는, 사회사업 가치 이상 철학, 기관의 정책, 당 사업의 목적과 원칙에 충실하려 노력한 ‘이야기’가 있어야 하고 그래서 실제 그렇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어야 합니다. 사회사업가의 행위 곧 인사하고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고 감사한 이야기, 사회사업가의 의도와 성찰,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무엇을 어떻게 했는지 어떻게 되었는지 하는 당사자의 삶과 지역사회 사람살이 이야기, 그 가운데 있었던 갈등 사랑 기쁨 슬픔 감동 감사 이야기, 그 기록을 보여 주어야 합니다.
사람다움이 묻어나고 사람 사는 맛이 느껴져야 합니다. 당사자의 삶 지역사회 사람살이가 빛나고 ‘그래~ 이래야 사람이지, 이런 게 사람 사는 거지!’ 하는 감동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좋은 평가요 좋은 보고서입니다. 복지사업 자랑하듯 인원·횟수·점수 따위나 늘어놓는다면 이는 부끄러운 평가|보고서입니다.
2. 실리 평가
다음 주제 가운데 몇 가지를 정하여, 주제별로 각자 하나 또는 두어 가지씩 발표합니다. 알차게 나누려면 몇 줄 또는 몇 낱말이라도 발표 원고를 써서 준비해 와야 합니다. 직원이 많으면 부서가 고루 섞이도록 4~7명 정도로 조를 나누어서 이야기해도 좋습니다.
1) 즐거웠던 일 좋은 기억 재미있는 일화 한두 가지
이번 활동을, 지난 6개월 또는 1년을, 아름답게 추억합니다. 긍정합니다. 힘들었을지라도, 그저 그랬을지라도, 그 가운데서 즐거웠던 일을 찾아봅니다. 소소하나마 그 때 그 일을 떠올리며 웃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전 직원 앞에서 부서별로 발표할 경우, 사진이나 동영상 같은 시청각 자료를 곁들여도 좋습니다. 이야기를 재미있게 잘하는 사람이 발표하고 동료들이 맞장구치거나 추임새를 넣으며 보충해 줍니다. 우리 부서는 이렇게 좋았다고 자랑하는 겁니다.
2) 좋은 사례 한두 가지
자기가 한 사업 중에서 잘된 일, 공유할 만한 일을 이야기합니다. 잘 듣고 적극적으로 반응해 줍니다. 그 일을 지켜본 사람이라면 자기가 보았거나 느낀 것을 보태어 맞장구쳐 줍니다. 특히 윗사람은 그 사례의 뜻을 찾아 세워 줍니다. 이런 점에서 이렇게 의미 있고 중요하다고, 참 잘했다고, 긍정·보충·강화하는 슈퍼비전을 해 줍니다. 사회사업 가치 이상 철학이나 기관의 정책이나 당 사업의 목적과 원칙에 비추어 정합성의 작은 단서나 흔적이라도 민감하게 알아주고 함께 기뻐합니다.
조를 나누었다면, 조에서 나눈 사례 가운데 일부를 전체 직원과 공유해도 좋습니다. 예컨대 각 조에서 한 사례씩 선정하여 전체 앞에서 발표하는 겁니다.
3) 배움 세 가지
이번 사업에서, 지난 6개월 또는 1년 동안 얻은 ‘배움’, 곧 책에서 보았거나 누구에게 들었거나 스스로 터득한 지식·기술·지혜 가운데 특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세 가지를 나눕니다. 책에서 보았거나 누구에게 들은 것을 ‘단순 전달’ 하기보다 자기 실무에 적용하여 경험으로써 체득한 것을 공유함이 좋습니다.
4) 강점과 희망
잘 발휘되었거나 새롭게 발견한 강점·자원·가능성을 이야기하되 자신과 동료와 기관과 당사자와 지역사회의 강점·자원·가능성을 이야기합니다. 스스로 격려할 뿐 아니라 또한 동료를 세워 주고 기관과 당사자들과 지역사회를 긍정하는 겁니다. 그 가운데 특히 앞으로 잘 살려 쓰고 싶은 강점·자원·가능성을 정리하고, 어떻게 살려 쓰고 싶은지 또는 어떻게 살려 쓰면 좋을지 이야기합니다.
5) 의미
이번 사업이, 지난 6개월 또는 1년이, 사회사업적으로 또는 인간적으로 자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어떻게 누리고 배우고 성장했는지, 어떤 변화·기대가 생겼는지, 이야기합니다.
6) 감사
고마운 사람, 고마운 일을 이야기합니다.
이렇게 평가하면, 상호 이해와 관심과 정이 깊어집니다. 좋은 것을 배우게 됩니다. 지혜와 지식과 정보를 얻게 됩니다. 이렇게 평가하면 지지 격려가 됩니다. 자기 일에 보람과 자부심을 느끼게 됩니다. 자신과 소속 부서나 기관에 대해 애정과 긍지가 생깁니다. 더 잘하고 싶어집니다. 사기가 올라갑니다. 이렇게 평가하면 재미있습니다. 따뜻합니다. 눈물 나게 행복합니다. 감동 또 감동합니다.
이것이 실리 평가입니다.
3. 감사 평가
1) 당사자와 지역사회에 대하여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복지를 이루었으니 당사자와 지역사회에 감사합니다.
감사는 당사자와 지역사회에 공을 돌리는 평가 행위입니다. 당사자가 이룬 당사자의 삶이라고, 지역주민이 이룬 지역사회 사람살이라고 인정하는 평가 행위입니다.
2) 기관에 속한 사람들에게 대하여
담당자와 동료와 윗사람이 서로 감사합니다. 담당자는 윗사람과 동료가 고마웠던 일을 이야기하며 감사하고, 윗사람과 동료는 담당자가 고마웠던 일을 이야기하며 감사합니다. 담당자와 동료와 윗사람의 수고 도움 배려 친절, 하나하나 세심하게 알아주는 겁니다.
................
* 중간평가
중간 평가는 대게 실습 중반이 되는 2주차 금요일에 진행합니다.
평가 방식은 위에 방식과 동일합니다.
단, 중간평가에서는 특별히 프리젠테이션을 하지 않고 미리 준비한 메모나 원고를 가지고 편하게 이야기를 나눕니다.
시간이 되는 직원들도 함께 참여합니다.
* 종결 평가
종결 평가는 대게 실습 마지막 날에 진행합니다.
전체 평가와 함께 수료식까지 함께 진행합니다.
종결 평가에서는 정합성 평가 양식으로 하되,
한글, PPT, 프레지 등, 다양한 발표 도구를 활용하여 앞에서 발표를 합니다.
종결 평가는 모든 직원들이 함께 참석합니다.
문득 수료식에 실습 기간동안 함께 했던 당사자도 초대해서 축하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작성 절차 및 양식
1. 정합성평가
1) 내부 정합성
2) 외부 정합성
2. 실리평가
1) 즐거웠던 일 좋은 기억 재미있는 일화 한두 가지
2) 좋은 사례 한두 가지
3) 배움 세 가지
4) 강점과 희망
5) 의미
6) 감사
3. 감사평가
1) 당사자와 지역사회에 대하여
2) 기관과 동료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