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릉록 3. 기틀을 쉬고 견해를 잊음
◈ 완릉록 3. 기틀을 쉬고 견해를 잊음
"성인의 무심은 곧 부처의 경지이지만
범부의 무심은 공적한 상태에 빠지는 것이 아닙니까?"
"법에는 범, 성의 구별이 없으며 또한
공적한 상태에 빠지는 것도 없다.
법이 본래 있는 것이 아니지만,
없다는 견해도 내지를 말라.
또한 법은 본래 없지 않으나,
있다는 견해도 내지 말라.
법이 있느니 없느니 하는 것은
모두 뜻[情]으로 헤아리는 견해로서,
마치 허깨비와도 같은 것이다.
그러므로 말씀하시기를
'보고 듣는 것은 마치 허깨비같고,
사량하고 느끼는 것이 바로 중생이니라'고 하였다.
조사문중에 있어서는 오로지 마음을
쉬고 알음알이를 잊는 것을 논할 뿐이다.
그러므로 마음을 쉬어 버리면
부처님의 도가 융성해지고,
분별하면 마구니의 장난이 치성해지느니라."
********원오당 한소리********
["성인의 무심은 곧 부처의 경지이지만
범부의 무심은 공적한 상태에 빠지는 것이 아닙니까?"
"법에는 범, 성의 구별이 없으며 또한
공적한 상태에 빠지는 것도 없다.]
배휴가 몰라서 뭍는 것일까 아니면
후인을 위해서 이런 질문을 할까
오직 이 글은 다 후인을 견책하기 위하여
구성되였기 때문에 이런 수도인의 지남이 되고자
하고 있는 물음일 것이다.
무심이 곧 부처라고 하니 마음이 없는 경지를 일러
불지라면 범부의 입장에서 보면은 아무른
마음이 일어나지 않으면 그 어떤 것도 분별하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고 볼 수도 없었어 아주 단멸적
적멸에 떨어지는 것이 아니냐고 뭍고 있다.
잘 물어 주었다.
많은 공부인들이 무심에 들지 못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공에 떨어져 아주 적멸이 되어 버리면 내가 살았는지
죽은 것인지 모를 것이니 이것은 죽은 거나 마찬가지 일
것이라는 그 두려움이 바로 무심에 들수 없는
근본 원인이 되는 것이다.
납승도 많은 공부인을 이끌어 보았으나 이 무심에는
가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저 허공같은 백척간두에서
진일보(進一步)하라고 하면 나아가지 않는다.
오히려 삼매에 들면 내가 다시 깨어나지 못하면
어쩌냐고 하면서 그곳은 가지 말아야 한다고 하면서
많은 지견을 찾고 또 다른 선지식을 찾는 것을
수없이 보아왔다.
그러나 그것은 여러분들의 착각일 것이다.
무심이라고 하니 아주 마음이 없어지는 것으로 안다면
이것이야 말로 천리 만리로 벌어지는 것이다.
무심(無心)이란 형상에 이끌리거나 집착하지 않고
차별적 경계를 만들어 내지 않는 마음을 말하는 것이지
마음이 아주 없는 것으로 한 생각도 일어날 수 없는
것이 아닌 것이다.
오히려 또릇하고 더욱 선명하여 밝고 지혜로워 져 있다.
이것은 마음은 항주불변하여 그 언제나 없어지지 않는
것이며 그렇다고 이것이다 할 것은 없지만
그대로 완전하게 존재성을 드러 내고 있다.
만상을 다 비추이고 만법을 다 쓰고 펼친다.
누리고 펼치고 자유자재로 여탈자재하여
취고하고 버림또한 자유자재하다.
그래서 관자재 보살이라고 한 것이다.
마음을 작용이나 보신의 상을 다 드러낼 수도 쓸어버릴
수도 있지만 단 집착하거나 물들지도 않고
어디에 훈습되지도 않으며 생각의 굴림을 하지 않아
있는 그대로를 보고 듣고 다 하면서도
그기를 벗어나 있음으로 무(無)자를 붙여서
무심이라고 할뿐 유심이 그대로 무심이고
무심(無心)이 그대로 유심(有心)인 것이다.
오직 한 마음인 것이다.
[법이 본래 있는 것이 아니지만, 없다는 견해도 내지를 말라.
또한 법은 본래 없지 않으나, 있다는 견해도 내지 말라.
법이 있느니 없느니 하는 것은 모두 뜻[情]으로 헤아리는
견해로서, 마치 허깨비와도 같은 것이다.
그러므로 말씀하시기를 '보고 듣는 것은 마치 허깨비같고,
사량하고 느끼는 것이 바로 중생이니라'고 하였다.]
법이라고 할때 법은 무위법과 유위법를 통칭하여 말한다.
그러니 무위법에서 보면 법이 있는 것이 아닐 것이고
또 유위법에서 보면 실로 마음의 용이 전부 그대로
법이 되는 것이니 이것은 오직 작용면에서 보느냐
체에서 보느냐만 다를뿐 만들면 법이고 버리며 법이 아니다.
그러니 있다거나 없다는 견해을 내지 말라는 것이다.
견해를 내면 견해는 또다른 관념을 부르고 그 관념은
잘못과 바름이 있어지고 잘못이 있어면 바로 죄가 있어지고
죄가 있어지면 괴롭고 고통이 따라오게 된다.
그럼으로 이 모든 무유정법(無有正法)인 것이다.
제법은 마음의 작용를 통칭하여 하는 것이니 이것은
다 방편법이며 인연조작에 위한 법이므로 고정된
실체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법이 아니다라고 할뿐
세우면 세우는데로 법이되는 것이다.
그러니 유위적 법을 쓰는 것을 정이라고 하시면서
이 정으로 살아가는 것이 바로 중생이라고 하신다.
[조사문중에 있어서는 오로지 마음을
쉬고 알음알이를 잊는 것을 논할 뿐이다.
그러므로 마음을 쉬어 버리면
부처님의 도가 융성해지고,
분별하면 마구니의 장난이 치성해지느니라."]
그래서 스님은 조사문중이라고 하신 것은
조사선을 말하는 것으로 달마대사로 부터 전해온
원래부터 있는 그대로의 본불인 마음을 밝히는
것을 할 뿐 마음의 지음을 이야기 하지 않는다.
즉 지금은 다 인연소생임으로 이것은 다시 인연이
다하면 사라져 버리는 허망한 것임으로
그 실상이 없는 것임으로 이 마음이 일어나는 것을
줄이고 오직 마음을 쉬고 또 쉬어서 식심의 경계인
견문각지인 알음알이를 잊는 것을 논할 뿐이라고
하시면서 마음이 쉬면 부처님의 도가 융성해 지고
이 말씀은 오직 마음이라는 그 명색이나 아름알이
를 쉬라는 것이니 이것은 마음의 작용과 상이
허망한 것이라는 뜻이다.
그럼으로 본래불인 본마음은 이런 알음알이가
다하면 자연히 드러나는 것이지 만들어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부처님 도가 치성해 진다고
하신것이다.
그러나 한 마음을 일으켜 분별하고 차별한다면
이것은 전부 마구니의 작난이라는 알음알이인
식심만 난무하여 허망한 경계로 떨어지는 것이니
오직 피하고 피해야 하는 것이 바로 분별하는
마음인 것이다.
그래서 스님은 무심이 도이니 오직
내가 안다는 견해를 내지 말고 내가 어떤 경지에
있다는 차별적 기틀을 쉬는 것이 바로
조사선의 수도이며
불도를 닦는다고 할 수 있다고 하신다.
***본불본락(本佛本樂) 하옵소서! ()()()***
***화엄동산에서 원오스님 합장***
원오스님
첫댓글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_()_
감사합니다 한마음을 밝히시어 본불본락(本佛本樂)하시옵고 보살행을 행하시어 불타처럼 살아가소서 나무아미타불_()_
감사합니다 본불본락(本佛本樂) 나무아미타불_()_
감사합니다 한마음을 밝히시어 본불본락(本佛本樂)하시옵고 보살행을 행하시어 불타처럼 살아가소서 나무아미타불_()_
_()_
감사합니다 한마음을 밝히시어 본불본락(本佛本樂)하시옵고 보살행을 행하시어 불타처럼 살아가소서 나무아미타불_()_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_()_
감사합니다 한마음을 밝히시어 본불본락(本佛本樂)하시옵고 보살행을 행하시어 불타처럼 살아가소서 나무아미타불_()_
-()()()-
감사합니다 한마음을 밝히시어 본불본락(本佛本樂)하시옵고 보살행을 행하시어 불타처럼 살아가소서 나무아미타불_()_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