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귀 가문의 번창을 기원합니다.
귀 문중 신성중 祖와 진주강씨 은열공파후
판서공파 28세 강여관. 여완 祖조님은 저의9대祖 이십니다.
그리고 귀문중의 신성중祖 와 강여관. 여완祖님은 內從間 입니다.
성명(姓名) |
신경문(辛經文) |
본관(本貫) |
영산(靈山) |
||
시대(時代) |
1645 ~ 1717 |
자(字) |
도행(道行) |
호(號) |
종모암(終慕庵) |
이력(履歷) |
영산人 상장군공파 20세손. 수(壽) 73세. 16세 낙수헌(樂水軒) 윤(崙)의 현손(玄孫)이다. 19세 택은(澤隱) 시망(時望)의 아들이다. 인조(仁祖) 23년 을유(乙酉 1645) 9월 20일 생이다. 자(字)는 도행(道行) 호(號) 종모암(終慕庵) 효성(孝誠)이 지극(至極)하였고, 부모상을 당하여, 3년을 여묘(廬墓)살이를 하였다. 고을에서 조정(朝廷)에 효(孝)로써, 천거(薦擧)하였으며, 유사(遺事)가 있고 숙종(肅宗) 43년 정유(丁酉 1717) 5월 7일 졸(卒)했다.
남지인물(조선시대 근대인물) 신 경 문(辛 經 文) 용산리 (인조 을유;1645. 9.20∼정유 5. 7) 본관은 영산, 자는 도행(道行) 호는 종모암(終慕菴) 선조때 증 승훈랑 공조좌랑을 지낸 신시망(辛時望)의 아들, 용산리의 영산 신씨 입향조로 여러 번 향시에 천거되었으며 행적을 적은 책이 남아 있으며, 부모의 연이은 상(喪)에 여묘살이를 극진히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事親至孝 連喪父母 廬墓宿粥 累登鄕薦 有遺事) 묘소는 용산리 독산에 있다.
신경문(辛經文) 영산 신씨(辛氏)는 입향조가 종모암(終慕菴) 신경문(辛經文 인조(仁祖) 을유(乙酉);1645. 상장군공파, 선조(先祖) 때 증 승훈랑 공조(工曹)좌랑(佐郞) 신시망(辛時望)의 아들 - 신두식(辛杜植)의 9대조)으로 1660년대에 도천(道泉)에서 창녕군 남지읍(南旨邑) 용산(龍山)으로 이거(移居)하였다고 본다, 그러나 앞서 강휘중이 영산 신씨 가문(家門)에 장가를 들어 정착하게 되었다는 기록(記錄)이 있으니 어쩌면 신경문의 선대(先代)나 또 다른 신씨가 그때 용산리에 살고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신씨 가문의 묘(墓)로 알려진 묵은 묘들이 많으나 족보(族譜)의 기록이 없으니 알 수 없고, 신경문의 묘소(墓所)가 용산리 독산에 있음을 보아 신경문의 대에는 용산리에서 살았음이 확실하며 그 후손(後孫)들이 대대(代代)로 세거해 왔음도 확실(確實)하다. 현재 용산리에 8호가 살고 있으며 타지로 나가 살고 있는 후손(後孫)들은 약 15호 가량 된다. | ||||
묘(墓) |
창녕 남지읍 용산(龍山) 독산(獨山) 자좌(子坐)에 있다. |
||||
부(父) |
신시망(辛時望) 영산人 상장군공파 19세손. 수(壽) 71세 16세 낙수헌(樂水軒) 윤(崙)의 증손(曾孫)이다. 자(字)은 자중(子重) 호(號)는 택은(澤隱) 선조(宣祖) 39년 병오(丙午 1606) 10월 24일 생이다. 부친(父親)은 봉사(奉事) 응(鷹)이고, 모친(母親)은 망우당 곽재우(忘憂堂 郭再佑)의 딸이다. 4세에 고아(孤兒)가 되었고, 어린 시절을 외조부 곽재우(外祖父 郭再佑)을 따라 위학(僞學)의 방(方)을 습문(習聞)하여, 명리(名利)에 뜻이 없었다. 편모(扁母)를 섬김에 지효(至孝)하였다. 모친(母親)을위하여 면려(勉勵) 과거공부(科擧工夫)에 종사(從事)했으나, 인조(仁祖) 정축(丁丑 1,637年)에 산성위(山城圍)가 푸러짐에 이르러 기시 과거공부 (旣時 科擧工夫)를 폐(廢)하고, 두문불출(杜門不出) 심성(心性)에 전공(專功)하여 일용 이윤간(日用 彛倫間)에 근근(僅僅)하였다. 간송 조임도(澗松 趙任道)와 결탁(結託)하여, 막역지우(莫逆之友)가 되었으며, 상정상마(商訂相磨) 습(襲) 함. 미수 허목(眉수 許穆)이 대배(大拜)함에, 이르러 누차치문(屢次致問) 했으나 공(公)은 끝까지 불답(不答)함으로 허목(許穆)이 심(甚)히 그 조행(操行)을 탄복했으며 당대(當代) 신씨(辛氏)의 종중(宗中) 대표자(代表者)로써, 영산, 영월 신씨(靈山, 寧越 辛氏) 최초의 족보(族譜)인 무자보(戊子普 1648) 만들고, 최초의 족보(族譜)에 서문(序文)을 찬(撰)했다. 효성(孝誠)이 지극(至極)하였고, 간지공(間之功)과 봉선지절(奉先之節)로 사림(士林)의 추중(推重)받았으며, 모친상(母親喪)을 당하여, 묘(墓)옆에서, 움막을 짓고, 3년을 여묘(廬墓)살이를 하면서, 3년 동안 늘 죽만 먹고 지냈다. 숙종(肅宗) 2년 병진(丙辰 1676) 2월 10일에 졸(卒)하니 향년(享年) 71세이다. 숙종조(肅宗朝)에 여러차례 천거(薦擧)되었으며, 효(孝)와 학행(學行)으로 관(官)이 증(贈) 승훈랑 공조좌랑(承訓郞 工曹佐郞)에 제수(除授)되었다. 외재 이후경(畏齋 李厚慶)이 제문(祭文)과 행장(行狀)을 찬(撰)했다. 국담 박수춘(菊潭 朴壽春)은 공(公)의 선빙장 어른이다. 저서(著書)에 택은문집(澤隱文集)이 있으며, 문집(文集) 서문(序文)과 묘갈명(墓碣銘)에 평원(平原) 이광정(李光庭)이 찬(撰)했다. 행장(行狀)에 분성(盆城) 김병린(金炳璘)이 찬(撰)하고, 행장(行狀)에 의성(義城) 김태오(金泰嗚)가 찬(撰)했다. | ||||
모(母) |
밀양박씨(密陽朴氏) 박수춘(朴壽春)의 女. 자(字) 경로(景老) 호(號) 국담(菊潭) 관(官) 증 호조참의(贈 戶曹參議) *박수춘(朴壽春) 1572(선조 5)∼1652(효종 3).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밀양. 자는 경로(景老), 호는 국담(菊潭) 또는 숭정처사(崇禎處士). 동몽교관(童蒙敎官) 신(愼)의 아들이다. 가학(家學)을 이어받았으며 《소학》을 항상 애독하였다. 1957년 정유재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창녕의 화왕산성(火旺山城)에서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싸웠다. 1618년(광해군 10)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위문제에 대하여 춘추대의(春秋大義)로써 그 부당성을 지적하는 상소를 지어 올렸다. 1636년(인조 14)병자호란 때 창의(倡義)격문을 돌려 의병을 일으켰으나, 화의(和議)성립의 소식을 듣고 산중에 들어가 숭정처사로 자처하며 학문을 깊이 연구하여 많은 저술을 남겼다. 또한, 정구(鄭逑)·장현광(張顯光) 등과 이기설(理氣說)을 토론하는 등 성리학의 연구에 힘썼다. 1672년(현종 13) 통정대부(通政大夫)호조참의에 추증되었고, 1694년(숙종 20)대구의 남강서원(南岡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국담박선생문집》·《독서지남 讀書指南》·《학문유해 學問類解》·《도통연원록 道統淵源錄》·《동방학문연원록 東方學問淵源錄》·《의례견문해 疑禮見問解》 등이 있다. 〈吳錫源〉 밀직부원군(密直府院君)의 16세손. 거(居) 밀양, 하남, 내금리 조부(祖父): 박신(朴愼) 자(字) 여흠(汝欽) 호(號) 무진재(無盡齋) 관(官) 증 군자감정(贈 軍資監正) | ||||
배(配) |
진양강씨(晋陽姜氏) 강전(姜전)의 女. 관(官) 현감(縣監) 임진공신(壬辰功臣) 현감(縣監) 강덕용(姜德龍)의 증손(曾孫) *강덕룡(姜德龍) 1560∼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진주. 자는 여중(汝中). 일찍이 무예를 익혀 정기룡(鄭起龍)·주몽룡(朱夢龍) 등과 함께 무용(武勇)으로 ‘삼룡(三龍)’이라는 칭을 들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우감사(慶尙右監司) 김성일(金誠一)의 조처에 따라 가관(假官)으로서 함창현감(咸昌縣監)이 되어 제1차진주성전투 때 군기관리(軍器管理)를 맡아 왜병 격퇴에 공을 세웠다. 1593년(선조 26)명나라 군사가 상주·대구 등지에 주둔하고 있을 때 양료차관(糧料差官)으로 활약하였으며, 그뒤 경상우병사(慶尙右兵使) 정기룡을 도와 성주(星州)의 화원현(花園縣), 고령(高靈)의 안림역(安林驛), 삼가(三嘉) 등지의 전투에 참전하여 승전한 공으로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올랐다. 임진년 1년간 12회에 걸친 대소전투에 참가하여 모두 이겼으며, 함창가관(咸昌假官)으로 있는 동안 군민(軍民)을 개유(開諭)하여 단합하게 하였을 뿐 아니라 군량조달에도 공헌하였다. 참고문헌 蛇日記, 壬辰戰亂史(李炯錫, 壬辰戰亂史刊行委員會, 1974). 〈趙湲來〉 생(生): 갑신(甲申 1644) 11월 6일 졸(卒): 병자(丙子 1696) 12월 4일. 수(壽) 53세 묘(墓): 창녕 남지읍 용산(龍山) 독산(獨山) 자좌(子坐)에 있다. | ||||
자(子) |
신성중(辛性中) 영산人 상장군공파 21세손. 수(壽) 73세 19세 택은(澤隱) 시망(時望)의 손자(孫子)이다. 초휘(初諱)는 태중(泰中) 자(字)는 원부(元夫) 호(號)는 농은(農隱) 또는 모담(茅潭) 숙종(肅宗) 5년 기미(己未 1679) 7월 9일 생이다. 10세에 논어(論語)를 읽고 문리를 터득하였으며, 충효(忠孝)가 분명하였고 성장하면서 일암(一庵) 신몽삼(辛夢參)에게 수학(修學)했으며, 학행(學行)으로 군(郡)과 도(道)에 여러번 천거(薦擧)되었고, 유림(儒林)의 선비들에게 신망(信望)받았다. 부모를 섬기며 지극(至極)한 효도(孝道)를 하고 뜻을 행실(行實)에 두고 상주가 되어서, 부모 묘 옆에서 여묘(廬墓)살이를 살고 항상(恒常) 죽만 먹고 생활(生活)했다. 영성군 어사 박문수(靈城君 御使 朴文秀)가 학행(學行)과 효성(曉星)에 탄복(歎服)해서 쌀과 고기로 표창했으며, 정성(精誠)을 표(表)하고, 계문복호(啓聞復戶)하였다. 강좌(江左) 권 만(權 萬), 매계유(梅溪遺) 강여관(姜汝寬), 모계(茅溪) 이명배(李命培), 정안당(靜安堂) 박규상(朴奎祥)등과 교우(交友)하였으며, 문암 충의록(聞巖 忠儀錄) 본읍단문(本邑單文)을 짓고 죽정 신경하(竹亭 辛景夏)와 사이가 좋았다. 영조(英祖) 27년 신미(辛未 1751) 4월 5일에 졸(卒)했다. 저서(著書)에 모담문집(茅潭文集)이 있으며, 문집(文集) 서문(序文)에 영가(永嘉) 권상규(權相圭)가 찬(撰)하고, 행장(行狀)에 분성(盆城) 김병린(金炳璘)이 찬(撰)하고 발(跋)에 건재 신영규(健齋 辛泳圭)가 찬(撰)하였고, 묘갈명(墓碣銘)에 회당(晦堂) 장석영(張錫英)이 찬(撰)했다. | ||||
녀(女) |
장석현(張錫玄) 인동인(仁同人) 계자(系子) 장한구(張漢龜) 녀(女) 이응용(李應龍) → 자(子) 이춘관(李春觀), 이춘익(李春益) → 녀(女) 최유중(崔維重) | ||||
녀(女) |
문이영(文以榮) 남평인(南平人) 자(子) 문사익(文斯益) 녀(女) 이규년(李奎年) 녀(女) 김(金) 녀(女) 이재천(李載天) | ||||
형제(兄弟) |
형(兄) 신석문(辛碩文) 영산人 상장군공파 20세손. 수(壽) 66세 16세 낙수헌(樂水軒) 윤(崙)의 5세손이다. 19세 택은(澤隱) 시망(時望)의 자(子)이다. 자(字)는 도현(道顯) 호(號)는 적축암(赤鷲菴) 또는 세한제(歲寒齋) 인조(仁祖) 10년 임신(壬申 1632) 10월 24일 생이다. 효행(孝行)이 있었으며 부모상을 계속 당해 6년을 여묘(廬墓)살이 하면서 항상(恒常) 죽만먹고 지냈다. 사림(士林)과 경상도(慶尙道)에서 효행(孝行)으로, 정려(旌閭)를 여러번 조정(朝廷)에 추천했다. 죽암 허경윤(竹庵 許景胤)은 공(公)의 처(妻) 조부(祖父)가 되신다. 숙종(肅宗) 23년 정축(丁丑 1697) 3월 26일 에 졸(卒)했다. 문집(文集)이 있다. | ||||
형제(兄弟) |
형(兄) 신진문(辛振文) 영산人 상장군공파 20세손. 수(壽) 49세 16세 낙수헌(樂水軒) 윤(崙)의 현손(玄孫)이다. 자(字) 도기(道器) 인조(仁祖) 16년 무인(戊寅 1638) 11월 7일 생이다. 부모님 상(喪)을 당하여, 6년간 여묘(廬墓)살이를 하면서 항상(恒常) 죽만 먹고, 생활(生活)하였다. 문행(文行)이 있고, 유사(遺事)가 있다. 숙종(肅宗)12년 병인(丙寅 1686) 11월 7일 졸(卒)했다. | ||||
형제(兄弟) |
형(兄) 신임문(辛任文) 영산人 상장군공파 20세손. 수(壽) 42세. 16세 낙수헌(樂水軒) 윤(崙)의 현손(玄孫)이다. 자(字)는 도명(道明) 인조(仁祖) 21년 계미(癸未 1643) 5월 29일 생이다. 부모님께 효성(孝誠)이 지극(至極)하고, 부모상을 당하여, 여묘(廬墓) 상이를 하면서, 항상(恒常) 죽만 먹고, 생활(生活)하였으며, 문행(文行)이 있고, 유사(遺事)가 있다. 숙종(肅宗) 10년 갑자(甲子 1684) 7월12일 졸(卒)했다. | ||||
형제(兄弟) |
조박(趙璞) 함안인(咸安人) 자(子) 조영득(趙靈得) 호(號) 낙계(樂溪) 입사(立祠) 도암(道巖) → 자(子) 조희신(趙希莘), 조희륭(趙希隆) 녀(女) 정격(鄭格) → 자(子) 정상전(鄭相展) → 녀(女) 이응진(李應辰) 녀(女) 이윤강(李胤綱) 녀(女) 권신형(權信亨) 녀(女) 허신(許身) → 자(子) 허지(許지), 허무(許務) | ||||
형제(兄弟) |
김팔화(金八和) 의성인(義城人) 거(居) 합천 삼가(三嘉) 자(子) 김태명(金泰鳴) 자(字) 달부(達夫) 호(號) 향계(香溪) → 자(子) 김지(金지) 녀(女) 배도휘(裵度徽) → 녀(女) 이석원(李碩遠) 녀(女) 정영래(鄭榮來) → 자(子) 정홍제(鄭弘濟) → 녀(女) 이용하(李龍河) | ||||
문헌(文獻) |
1. 辛氏 大同譜 (1권 251p)
2. 靈山 辛氏 世獻錄 (영산 신씨 세헌록) 독행(篤行) 신경문(辛經文) 58
3. 신경문(辛經文) 영산(靈山) 유학(幼學) 향안(鄕案) 강희(康熙) 11년 4월 현종(顯宗) 서기 1672년 임자(壬子) 시(時) 향안(鄕案) 강희(康熙) 12년 7월 현종(顯宗) 서기 1673년 계축(癸丑) 시(時) 향안(鄕案) 효종(孝宗) 8년 정유(丁酉) 4월초 6일 서기(西紀) 1657년 향안(鄕案) 현종(顯宗) 5년 갑진(甲辰) 1월 1일 서기(西紀) 1664년 鷲山誌 축산지(영산읍지) | ||||
기타(其他) |
*적마리파 *후손: 남지 용산 前: 국회의원 신영주氏 등등 |
첫댓글 귀한 연원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같은 영산 신씨 가문이나 용산리에 터를 잡은 신씨가문 선조님과는 우리집안과는 오래전에 갈래를 달리하는 연고로 족보로는 척수가 좀 떨어집니다만, 같은 향리에 오랫동안 거주해온 까닭에 한 집안이라는 유대감은 있습니다. 특히 자유당 정권시절 무법에 가까운 혼란스런 시절에 신영주의원을 옹립하는 영산신씨 가문의 눈물겨운 희생은 기록으로 남길만 했습니다. 종중카페를 찾아주셔서 귀한 자료 올려주심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선대에서 문중을 다르게하시는 것 알겠읍니다
신성중 祖 손자 선(璿) 가문 의 연락처를 알수 있을까요?
우리9대조 여완祖의 내종제(內從弟) 신성중祖가 비문을 지으셨고 비문의 글을 손자 선(璿)
쓰신 碑가있읍니다. 당시 대단한 가문으로 보여집니다.
용산신씨의 후손 신두식의 자 신용탁 055-528-3499, 신인상 055-528-3496 에게 문의하시면 위 내용의 대강을 확인하실 수도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새해 건강하시고 만사형통 하시기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