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툴 포토샵에서 가장 많이 쓰는 툴 중의 하나인 선택 툴은 주로 이미지 중 원하는 부분에만 효과를 주거나, 선택한 부분을 클립보드에 복사해 두었다가 다른 이미지나 같은 이미지에 붙여 넣기 위해 사용 됩니다. 선택 툴에는 Marquee툴, Lasso툴, Magic Wand툴이 있습니다.
1. Marquee Tool Marquee툴을 마우스로 클릭한 상태로 잠시 기다리면 Rectangular, Elliptical, Single Row, Single Column, Crop툴이 나타납니다.
Rectangular Marquee Tool : 사각형 모양으로 영역 선택 Elliptical Marquee Tool : 원형 모양으로 영역 선택 Single Row Tool : 가로로 한 픽셀 선택 Single Column Tool : 세로로 한 필셀 선택
-. Rectangular툴 ① 선택하고 싶은 시작 위치에서 마우스를 클릭 합니다. 이때 커서 모양이 십자가(+)로바뀝니다. ② 원하는 크기가 될 때까지 드래그 합니다. ③ 원하는 크기로 선택 되었을 때 마우스에서 손을 뗍니다.
-. Eliptical툴
이미지 중 원하는 부분을 원형모양으로 선택합니다. 먼저 선택하고 싶은 시작 위치에서 마우스를 클릭하고 원하는 크기가 될 때까지 드래그 합니다.
◆ 키와 키의 활용 -. 키를 누른 채 드래그하면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일정하게 늘어난 정사각형모양으로 선택됩니다. -. 키를 누른 채 드래그하면 마우스로 클릭한 지점을 중심점으로 하여 사각형 모양이 선택됩니다. -. 키키를 동시에 누른 채 드래그하면 클릭한 지점을 중심점으로 하여 정사각형 혹은 정원 모양이 선택됩니다.
◆ Anti-aliased Elliptical툴에만 해당하는 Options입니다. 옵션 팔레트에서 이 옵션을 체크하면 원형으로 선택한 테두리 부분의 픽셀 사이에 중간색을 삽입하여 부드럽게 처리해 줍니다. 체크하지 않으면 테두리 부분이 거칠게 보입니다. Feather:선택한 영역의 테두리를 부드럽게 해 주는 기능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선택 영역 밖이 더 투명해집니다. 항상 선택하기 전에 Feather 수치를 입력해야 합니다. Style: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옵션으로 Normal, Constrained Aspect Ratio, Fixed Size중 원하는 스타일을 선택합니다.
◆ Marquee Options 팔레트
-. single Row툴
이미지 중 가로로 한 줄만 선택합니다. 선택한 후 이미지를 돋보기 툴로 확대해 보면, 가로로 한 픽셀 크기만큼만 선택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ove Tool 드래그 앤 드롭의 동작을 통하여 선택된 영역을 이동이나, 선택되있는 레이어를 이동시키는 툴입니다. 선택영역을 만드는 툴 Marquee, Lasso, Magic Wand툴등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Ctrl 키를 누르고 있으면 Move 툴로 바뀝니다. ◆ Move Options 팔레트 Pixel doubling:이 옵션을 체크하면 더 빨리 움직일 수 있습니다.
Lasso Tool 사각형이나 원과 같은 정형적인 모습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모습으로 선택영역을 만드는 툴입니다.
Lasso Tool : 원하는 영역을 드래그 하여 자유롭게 영역을 선택 Polygonal Lasso Tool : 선택하고자 하는 영역을 클릭하여 가며 직선 형태로 영역을 선택. Magnetic Lasso Tool : 색상이나 채도의 차이에 의해서 자석처럼 영역을 선택 -. Lasso툴
마우스를 움직여 원하는 부분을 윤곽선을 그리듯이 자유롭게 선택하는 툴입니다. 사용방법은 마우스를 클릭한 채 드래그하면 됩니다.
-. Ploygonal Lasso툴
마우스로 클릭하며 원하는 영역을 선택합니다. 마우스로 클릭한 후 그 다음 점을 클릭하면 직선이 생기는데, 이 선이 이어져서 선택 영역이 됩니다. 마우스로 클릭하다가 더블클릭하면 그 지점과 처음에 클릭했던 지점이 연결됩니다. 키를 누른 채 클릭하면 45 °각도로만 그 다음 지점이 선택됩니다. -. Magnetic Lasso툴
이미지 중 색상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난 부분을 자동으로 따라가며 선택합니다. 선택할 영역의 시작점에서 한번 클릭하고 그 다음부터 마우스를 드래그 하는 대로 선택 영역을 지정해 주며, 이미 지나온 부분도 되돌아가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드래그 하다가 생상 차이가 분명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마우스를 클릭해 줍니다.
◆ Magnetic Options 팔레트
Lasso Width:마우스를 드래그 할 때 마우스의 포인터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우치까지 선택할 것인지 지정합니다. Frequency:포인트가 생기는 정도를 조절해 주는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많은 포인트들이 생깁니다. Edge Contrast:테두리의 경계 부분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지정하는 것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거친 테두리를 만듭니다.
Magic Wand Tool (마술 봉 툴) 일정한 모양대로 선택되는 선택 툴이나 사용자의 의도대로 그려가며 선택하는 올가미 툴과는 다르게 마술 봉 툴은 마우스 버튼을 클릭한 곳의 색상을 중심으로 유사한 색상영역을 선택하여 주는 툴입니다.
◆ Magic Wand Options 팔레트
Tolerance:어느 정도 비슷한 색상의 영역을 선택할지 그 수치를 입력해 줍니다. 선택 가능한 값은 0에서 255까지입니다.
Crop Tool 크롭 도구는 선택한 사각의 형태만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없애 버리는 기능을 합니다. 자를 영역을 드래그로 지정하여 더블클릭하거나 엔터(Enter Key)를 치면 선택된 사각의 영역만 남고, 그 외의 나머지영역은 사라지게 됩니다. 사각형 선택 툴을 사용하는 방법과 같습니다. ① 원하는 위치까지 드래그한 후 마우스에서 손을 떼면 다음과 같이 8개의 작은 사각형이 나타납니다. 이 작은 사각형을 핸들이라고 합니다. ② 이 핸들을 마우스로 클릭한 후 드래그하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③ 마우스 포인터를 핸들 바깥 부분에 위치시킨 후 왼쪽 버튼을 누르고 드래그하면, 사각형 부분을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④ 이제 선택된 부분을 마우스로 더블클릭하면 그 부분만 남고 나머지는 잘려져서 나타납니다.
Slice Tool Slice Tool, Slice Select Tool 이렇게 2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web에서 이미지가 빨리 로딩 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입니다.
Slice Tool : Slice툴은 Crop툴처럼 이미지를 완전히 잘라 버리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용량의 이미지로 분할 Slice Select Tool : 분활한 영역을 선택, 편집.
Airbrush Tool 이미지에 색상을 칠하는 페인팅 툴입니다. 브러쉬 계열의 툴 중 하나로 드래그동작만으로 스프레이로 색상을 뿌린 듯한 효과를 나타내는 도구입니다. 터치의 경계가 부드럽게 표현되어 이미지를 부드럽게 표현할 때 사용되는 툴입니다
◆ Airbrush Options 팔레트
Fade:색이 점차적으로 변해 가는 효과를 줄 때 사용합니다. Fade to: Transparent는 끝부분을 투명하게 변하도록 할 때, Background Color는 끝부분을 백그라운드색(바탕색)으로 변하도록 할 때 사용합니다. Pressure:수치가 높을수록 진하게 그려집니다.
Paintbrush Tool
Paintbrush Tool : 브러시 굵기대로 색을 칠함 페인트 브러시 툴은 에어 브러쉬와 비슷한 툴입니다. 그러나 드래그 하는 속도와는 관계가 없이 브러시의 굵기대로 일정하게 색을 칠합니다. Pencil Tool : 경계선이 명확하게 색을 칠함 연필 툴은 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채색을 하기 보다는 픽셀 작업(이미지를 최대한 확대하여 하나하나의 픽셀에 채색을 하는 작업)을 통하여 아이콘 등을 만들 때 많이 쓰입니다.
이름 그대로 붓으로 그림을 그리듯이 표현해 줍니다. Airbrush툴로 그린 것보다는 덜 부드러운 모서리를 가집니다. 브러시의 굵기는 브러시 팔레트에서 지정합니다.
◆ Paintbrush Options 팔레트
Fade:입력한 Step 값에서 Foreground Color가 사라지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Fade to: Transparent와 Background color중에서 Foreground Color가 원하는 단계를 거쳐 사라지게 될지, Background Color가 될지를 지정합니다. Airbrush의 경우와 같습니다. Opacity :Paintbrush의 불 투명도를 지정합니다. 수치가 낮을수록 투명한 브러시로 그린 것처럼 배경 이미지가 보입니다. Web Edges: Paintbrush에만 있는 기능으로, 마치 붓에 물을 적셔 그린 효과를 나타냅니다. 주로 수채화 느낌을 주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Stemp Tool 도장툴은 자기가 복사하고 싶은 부분을 도장에 기억시켰다가 계속적으로 원하는 부분에 찍을 수 있는 툴입니다. Clone Stamp Tool : 원하는 부분을 기억해 원하는 곳에 복사 클론 도장 툴은 복사를 하고자 하는 지점에서 alt를 누르시고 옆쪽으로 드래그하시면 alt를 누르고 복사하였던 부분이 드래그 된 방 향으로 복제가 됩니다. 드래그 할 때 나오는 십자표시는 현재 복제 되고 있는 지점을 나타냅니다. Pattern Stamp Tool : 패턴으로 정의된 이미지 원하는 곳에 복사 패턴 도장 툴은 기능도 도장 툴(Stamp tool)과 같습니다. 다만 Edit메뉴의 Define Pattern 패턴으로 정의된 이미지가 채워진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패턴화 시킬 부분을 지정한 뒤, 그곳에 Pattern Stamp Tool로 드래그 하면 패턴화 시킨 부분으로 채워지게 됩니다.
-. Clone Stamp툴
이미지 중 원하는 부분을 같은 이미지나 다른 이미지에 복사합니다. 스캔 받은 사진 중 필요 없는 부분이나 손상 입은 사진을 복구할 때도 많이 사용됩니다. Clone Stamp툴을 이용한 이미지 복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복사할 이미지와 복사한 부분을 붙여 넣을 이미지를 불러옵니다.
②Clone Stamp툴을 선택하고 이미지 중 복사할 부분에 마우스 포인터를 가져가면 Clone Stamp툴 모양으로 변합니다.
③ 복사할 부분에서 키를 누르면 Clone Stamp툴 모양의 마우스 포인터 안쪽이 흰색으로 변합니다. 이 상태로 마우스를 클릭하면 그 부분이 복사됩니다.
④ 복사한 것을 다른 이미지 위에 나타내기 위해,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Clone Stamp툴 상태로 클릭한 채 드래그 합니다. 그러면 복사한 이미지가 나타납니다. 이때 원본 이미지 부분에 십자가 모양의 커서가 나타나서 어느 부분을 복사하고 있는지를 보여 줍니다.
◆ Rubber Stamp Options 팔레트
Use All Layers:배경 이미지 위에 레이어들이 있는 경우 이 옵션을 체크하고 복사하면, 배경 이미지를 포함한 모든 레이어 이미지들이 복사됩니다. Opacity:복사한 이미지를 붙여 넣을 때 이미지의 불투명한 정도를 지정합니다. Aligned:이 옵션을 체크하고 복사하면 중간에 마우스를 떼었다 다시 드레그 해도 연속해서 하나의 이미지가 복사됩니다.
-. Pattern Stamp Tool
Rectangular, Single Row, Single Column툴을 가지고 패턴 부분을 지정한 다음 이 툴을 사용하여 드래그해 주면 지정한 패턴이 반복하여 나타납니다. 이미지 중 원하는 부분을 패턴으로 채워 주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Pattern Stamp 툴을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이미지를 불러와서 패턴으로 사용할 부분을 Rectangular툴로 지정합니다.
② [edit]메뉴에서 [Define Pattern]을 실행합니다.
③ Pattern Stamp툴을 이용하여 드래그하면, 패턴으로 지정한 이미지가 반복해서 나타납니다.
◆ Pattern Stamp Options 팔레트
Use All Layers:배경 이미지 위에 레이어들이 있는 경우, 이 옵션을 체크하고 원하는 부분을 패턴으로 지정하면, 선택 범위에 해당하는 배경 이미지를 포함한 모든 레이어 이미지들이 패 턴으로 지정됩니다. Opacity: 반복해서 나타나는 패턴의 불투명도 정도를 지정합니다. Aligned: 이 옵션을 체크하고 마우스를 드래그 하다가 중간에 마우스를 떼었다 다시 드래그 해도 같은 패턴이 반복하여 복사됩니다. 체크하지 않으면 중간에 마우스를 떼었다 다시 드래그 하는 부분부터 패턴이 새롭게 나타납니다.
History Brush Tool 이미지에 각종 효과와 변형을 준 후 이 툴을 이용하여 원하면 단계로 변형된 이미지를 되돌려 줍니다. History팔레트와 함께 사용하는 툴로, 이미지 색상을 입히거나 변형해 주는 모든 명령들이 History팔레트에 기억 됩니다. History 팔레트에 있는 리스트 중 되돌리고 싶은 명령을 선택하고, 이 툴을 이용해 그리면 그 명령을 실행했던 상태로 되돌려 줍니다.
History Brush Tool : History팔레트와 연계해서 이미지에 드래그 한 부분을 작업과정 중의 한 과정으로 되돌려 줌 브러시 계열의 툴들이 새로운 이미지들 만들어내는 주된 기능을 갖고 있다고 볼 때, 히스토리브러시는 이미지를 복구할 수 있는 브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미지가 있는 레이어 위에 온갖 낙서를 해도 히스토리브러시로 복귀하고 싶은 부분에 가서 드래그만 하면 원래의 이미지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Art History Brush : 단순히 이전 작업과정으로 되돌려 주는 것이 아니라 독특한 터치방식으로 드래그 한부분이 표현 아트히스토리브러시는 이미지에 드래그작업을 해줌으로써 이미지에 회화적인 기법을 적용시킬 수 있는 툴입니다. 붓의 터치와 종류에 따라서 각각의 다른 종류의 회화적인 느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History Brush툴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이미지를 불러옵니다.
② 이미지를 변형시킵니다.(filter-artistic-dry brush)
③ History Brush툴을 선택하고 컵 주위를 드래그해주면 원본 이미지가 나타납니다.
◆ History Brush Options 팔레트 lmpressionist:이 옵션을 체크하고 드래그하면 원본 이미지를 뭉개는 효과를 줍니다.
Opacity: History Brush툴을 이용하여 원하는 단계로 되돌려 줄 때, 이 수치가 낮으면 변형된 이미지와 되돌리고 싶은 이미지가 섞입니다.
Eraser Tool 이미지를 지울 때 사용합니다. 단 지운 후에 색은 Background Color에서 지정한 색으로 나타납니다. 이 툴의 옵션에 있는 Paintbrush, Airbrush, Pencil을 이용하여 Background Color로 그려주는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Eraser Tool :드래그한 부분의 이미지를 지움. 단 Background 레이어를 선택해서 지우면 배경색이 칠해짐. Background Eraser Tool : 특정한 색상만 지우거나 경계선을 보호하면서 이미지를 지움. 단 Background 레이어를 지우면 투명하게 됨 Magic Eraser Tool : Torlerance값을 조절해줌으로써 같은 색상으로 이루어진 영역을 한번에 지워 버리고 자 할 때 사용 하는 툴
Eraser툴을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이미지를 불러온 후 Eraser툴을 선택합니다.
② 앞의 이미지 중 윗부분을 지우기 위해서, Eyedropper툴로 Background color에 현재 글자의 바탕색을 선택합니다. 이때 Color팔레트에서 먼저 Background Color 부분이 선택되어 있어야만 Eyedropper툴로 색상을 선택했을 때 Background Color로 지정 됩니다.
③ Eraser툴로 머리 윗부분의 글자 부분을 드래그해 보면 아래 그림처럼 Background color로 지워집니다.
Gradient Tool. 그레디언트(gradient)란 이미지 상에서 하나의 색상이 다른 색상으로 점진적으로 변해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색상 사이의 색상 변화를 단계별로 표현하는 기능입니다.
선택한 색상들 사이의 부드러운 단계를 표현해 줍니다. 을 선택하고 이미지 위에 마우스를 클릭하고 드래그 한 다음 다시 한 번 마우스를 클릭하면, 클릭한 두 지점에 그라데이션의 시작색과 마지막 색으로 중간단계를 표현합니다. 이 툴을 누르면 나타나는 툴들은 기존의 버전에 있었던 Linear, Radial형태 외에 Angle, Reflected, Diamond형태의 그라데이션을 표현해 줍니다.
◆ Gradient Options 팔레트 Gradient:어떤 색상을 가지고 그라데이션 효과를 줄 것인지 지정합니다. Dither:색상 단계를 부드럽게 표현합니다. Reverse:그라데이션 색상 단계를 반대로 표현합니다. 그 외에 목록에 있는 것은 포토샵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그라데이션 색상 단계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그라데이션 색상을 만들어 이 목록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버튼을 클릭 하면 왼쪽과 같은 Gradient Editor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이 대화상자에서 기존에 있던 그라데이션 색상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그라데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새로운 그라데이션을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버튼을 클릭하여 나타나는 Gradient Name대화상자에 그라데이션 이름을 입력합니다.
② 입력한 이름의 Gradient가 생기며, 지정되어 있는 Foreground Color로만 보여 줍니다. 이 상태에서 양쪽에 있는 작은 사각형을 선택하고 원하는 색상을 지정합니다.
③ 색상 선택상자에서 원하는 색상을 선택합니다. `F`는 Foreground collor를 `B`는 Back ground Color를 말하며, 단색은 옆의 색상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색상을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맨 왼쪽의 사각형을 클릭하고 `F`라고 쓰여 있는 모양을 클릭하면 왼쪽 Foreground Color로부터 그라데이션 시작됩니다.
④ 두 가지 색상만으로 그라데이션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원하는 부분에 마우스를 클릭하여 사각형 모양을 추가한 후 색상을 선택하면, 두 가지 색상 단계 사이에 새로운 색이 추가됩니다.
-.Paint Bucket툴
. 색이나 무늬를 채워 주는 툴로, Options팔레트에 있는 Tolerance에서 채울 범위를 지정합니다. 선택 툴로 영역을 지정해서 색이나 무늬를 채우는 것에 비해 정확하게 채워지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 Paint Bucket Options 팔레트
Tolearnce:지정한 수치대로 범위가 지정됩니다. Contents: Foreground Color와 Pattern중 어느 것으로 채울지 지정합니다. Pattern으로 채워 넣기 위해서는 우선 Pattern이 지정되어야 합니다. Pattern을 지정하는 방법과 채워 넣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무늬로 사용하고 싶은 부분이 있는 이미지를 불러와서 Rectangular툴로 선택합니다.
②[Edit]메뉴의 [Define Pattern]을 실행시켜 선택한 부분을 패턴으로 기억시킵니다.
③Paint Bucket툴을 선택하고 Options팔레트의 Contents를 Pattern으로 바꾼 다음 이미지 중 무늬로 채워 넣고 싶은 부분을 클릭합니다. 채울 범위는 Tolerance에서 지정합니다.
Blur(블러)Tool Blur툴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Blur, Sharpen, smudge툴 등이 나타납니다. Blur Tool : 드래그 한 부분의 이미지를 흐릿하게 Sharpen Tool : 드래그 한 부분의 이미지를 날카롭게(뚜렷하게) Smudge Tool : 드래그 한 부분의 이미지를 손가락으로 문지른 효과
-.Blur툴
이미지 중 원하는 부분의 초점을 흐리게 해서 부드럽게 번지는 효과를 줄 때 사용합니다.
◆ Line Options 팔레트 Use All Layers:배경 이미지 위에 레이어들이 있는 경우, 이 옵션을 체크하면 배경 이미지를 포함한 모든 레이어 이미지들이 흐린 이미지로 바뀝니다. 체크하지 않으면 선택되어 있는 레이어 이미지에만 Blur툴이 적용됩니다. Pressure:수치가 높을수록 더욱 부드러운 이미지로 바꿔 줍니다.
-.Sharpen툴
이미지 중 원하는 부분을 선명하게 해 주는 툴로, Blur툴과는 반대 의미를 가집니다.
◆ Sharpen Options 팔레트
Use All Layers:배경 이미지 위에 레이어들이 있는 경우, 이 옵션을 체크하면 배경 이미지를 포함한 모든 레이어 이미지들이 흐린 이미지로 바뀝니다. 체크하지 않으면 선택되어 있는 레이어 이미지에만 Shrpen툴이 적용됩니다. Pressure:수치가 높을수록 더욱 선명한 이미지로 바꿔 줍니다.
-.Smudge(손가락)툴
툴 모양에 손가락이 나와 있듯이 이미지 중 원하는 부분을 문질러 줍니다. 문지르는 방향으로 원래 이미지 색상이 밀려나가는 효과를 줍니다. ◆ Smudge Options 팔레트 Use All Layers:배경 이미지 위에 레이어들이 있는 경우, 이 옵션을 체크하면 배경 이미지를 포함한 모든 레이어 이미지들을 한 번에 문지를 수 있습니다. 체크하지 않으면 선택되어 있는 레이어 이미지에만 Smudge툴이 적용됩니다. Pressure:수치가 높을수록 더욱 세게 문질러 준 것 같은 효과를 줍니다. Finger Painting:이 옵션을 체크하면 Foreground Color가 찍히면서 이미지를 문질러 줍니다.
Dodge Tool Dodge Tool : 드래그 한 부분의 이미지를 부분적으로 밝게. Burn Tool : 드래그 한 부분의 이미지를 어둡게. Sponge Tool : 드래그 한 부분의 이미지의 채도를 높게 또는 낮게.
이미지 중 원하는 부분을 밝게 표현해 주는 툴입니다. 하이라이트 표현을 위해 주로 사용되며 마우스를 드래그 할 때마다 계속 밝아집니다. 하이라이트가 되는 영역의 크기는 Brushes팔레트에서 지정합니다.
◆ Dodge Options 팔레트 Shadows, Midtones, Highlight:원하는 톤을 선택합니다. 같은 Dodge툴이라도 Highlight를 선택 한 경우에 더욱 밝게 표현합니다. Exposure:빛에 노출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더욱 밝게 표현합니다.
-.Burn툴
이미지 중 원하는 부분을 어둡게 표현해 주는 툴로, 그림자나 음영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마우스를 드래그 할 때마다 계속 어두워지며, 마우스를 드래그 할 때 어두워지는 영역의 크기는 Brushes팔레트에서 지정합니다.
◆ Burn Options 팔레트 Shadows, Midtiones, Highlight:원하는 톤을 선택합니다. 같은 Burn툴이라도 Shadows를 선택 한 경우에 더욱 밝게 표현합니다. Exposure:빛에 노출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더욱 어둡게 표현합니다.
-.Sponge툴
이미지 중 원하는 부분의 채도를 높이거나 낮춰 줍니다. Options팔레트에 있는 Saturate를 선 택하면 마우스를 드래그할 때 마다 채도를 높여 주고, Desaturate는 채도를 낮춰 줍니다. 드래그 할 때 영역의 크기는 Brushes팔레트에서 지정합니다.
◆ Sponge Options 팔레트
Saturate, Desaturate : Saturate는 채도를 높여줄 때 Desaturate는 채도를 내려줄 때 사용 합니다. Pressure:수치가 높을수록 Sponge툴이 적용되는 강도가 강해집니다.
Path Component Selection Tool. Path Component Selection Tool : 패스를 선택하게 되면 검은색 포인터들이 보이면서 연결된 패스전체가 선택 되며, 포인터를 선택하여 드래그하게 되면 패스를 이동, 복사, 크기조절, 회전등을 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패스가 있을 때 각각의 패스가 겹치는 부분을 어떻게 처리할지와 패스끼리의 정렬을 할 때 사용이 됩니다. Direct Selection Tool : 패스를 선택하게 되면 패스의 포인터 들과 방향키가 보이게 되면서 기준점을 이동시키고 방향키를 조절하여 패스의 모양을 변형할 수 있습니다.
Type Tool
글자를 입력하는 툴입니다. Type툴을 이미지상에 클릭하면 커서가 깜박이면서 글을 입력할 수가 있습니다.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레이어박스에 T자모양이 그려진 새로운 문자레이어가 만들어지게 되는데, T자 모양을 더블클릭을 하게 되면 문자가 선택되어 문자를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Type툴
이미지에 문자를 입력합니다. Type툴에 해당하는 옵션은 이미지 위에서 마우스를 클릭하면 나타납니다. 이때 나타나는 대화 상자에서 문자의 글꼴, 크기, 형태등을 지정합니다. 포토샵 5.0버전부터 가장 크게 개선된 툴 로 문자 입력란에 글자를 입력하면 바로 이미지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전 버전에서 문자를 입력하고 확인한 다음 수정하기 위해 다시 대화상자를 불러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졌습니다.
문자를 입력하고 Layers팔레트를 보면 문자 레이어 옆에는 `T`라는 문자가 나타나서 문자 레이어임을 알려 줍니다.
문자 레이어에 [Layer] 메뉴에 있는 [Effects]기능을 적용하여 그림자 나 튀어나온 글자 효과 등을 한 번에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 이미 쓰여 진 글자를 수정하려면 문자 레이어를 더블클릭하여 다시 Type툴 대화 상자를 불러와 수정합니다.
문자 레이어에 [Layer]메뉴의 [Effects]에 있는 특수효과를 적용해 보겠습니다.
Effects에 있는 효과들은 문자 레이어 전용 필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효과가 적용된 문자 레이어에 ⓕ가 표시가 되며, 이 부분을 더블클릭하여 나타나는 Effects 대화 상자 에서 수치를 바꿔 다시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Type Mask툴
이미지에 입력한 문자가 선택 상태가 됩니다. 문자 레이어는 생기지 않습니다.
-.Vertical Type툴
이미지에 문자를 세로로 입력합니다.
-.Vertical Type Mask툴
이미지에 세로로 입력한 문자가 선택 상태가 됩니다. 문자 레이어는 생기지 않습니다.
Pen Tool. Pen툴을 누르면 Pen과 Line툴이 나타납니다.
Pen Tool : 패스를 만드는 툴. 이미지를 정확하게 선택할 때와 벡터 이미 지를 만들 때 사용이 됩니다. Freeform Pen Tool : 펜으로 그리듯이 자유롭게 패스를 만드는 툴 Add Anchor Point Tool : 패스에 앵커 포이트를 추가하는 툴 Delete Anchor Point Tool : 패스에 앵커 포이트를 제거하는 툴 Convert Point Tool : 앵커 포인트를 초기화해서 다시 핸들을 조정하는 툴 앵커 포인트를 드래그하면 양쪽방향의 핸들이 드래그 하는 만큼 핸들이 다시 생겨서 패스의 곡선을 조정할 수가 있습니다.
항상 Foreground Color에 지정한 색상으로 그려지고, 브러시의 굵기는 Brushes 팔레트에서 지정합니다.
◆ Pen Options 팔레트
Fade:입력한step 값에서 Foreground color가 사라지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Fade to: Transparent와 Background Color중에서 Foreground Color가 원하는 단계를 거쳐 사라지게 될지, Background Color가 될지를 지정합니다. 이 옵션은 Airbrush, Paintbrush의 경우와 같습니다.
Opacity: Pen의 불 투명도를 지정합니다. 수치가 낮을수록 투명한 연필로 그린 것처럼 배경이미지가 보입니다.
Auto Erase: Foreground Color로 그린 부분을 Background Color로 바꿔 줍니다. Pencil Options 팔레트에 있는 Auto Erase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Auto Erase옵션을 체크한 경우라 하더라도 Pencil로 그린 부분이 아니면 Foreground Color로 그려집니다.) 1.이미지 위에 연필로 그림을 그립니다.
2.Pen Options 팔레트에서 Auto Erase를 체크하고 이미 그려진 선 위를 다시 그리면, Foreground Color가 Background Color로 바뀝니다. 이때 Foreground Color로 그려진 부분 위에 커서를 가져다 놓고, 그리기 시작해야 합니다.
-. Line툴
Pencil툴을 누르고 있으면 나타나는 것으로, 이미지 위에 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단순히 그리는 것이 아니라, 화살표 모양도 넣을 수 있습니다.
◆ Line Options 팔레트
Weight:선의 굵기를 지정합니다. Opacity:선의 불 투명도를 지정합니다. 수치가 낮을수록 투명한 선이 그려져 배경이미지가 보이게 됩니다.
Arrowheads:화살표 모양을 선의 시작 부분과 끝부분 중 어디에 넣을지 지정해 주는 옵션으로, Start와 End를 함께 체크하면 선의 양쪽에 화살표가 생깁니다.
Shape:화살표 모양을 넣을 때만 활성화 되는 옵션으로, 화살표 모양을 수정하기 위해 사용 합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Anti-aliased:이 옵션을 체크해야만 선의 테두리 부분을 부드럽게 처리해 줍니다. 체크하지 않으면 선의 테두리 부분이 계단 모양처럼 거칠게 나타납니다.
Pen툴과 함께 사용되는 Paths팔레트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패스를 모두 그리면 Paths팔레트에 Work Path가 생깁니다.
Path 저장하기 Work Path 상태인 Path를 저장하기 위해 Paths팔레트에 있는 을 클릭하여 Save Path를 실행합니다. 대화상자에 패스의 이름을 입력하고, 를 클릭하면 Paths팔레트에 입력한 이름의 패스가 나타납니다. 저장해 놓은 패스를 필요에 따라 다시 불러와서 사용 할 수있습니다.
Path를 선택영역으로 바꾸기
원하는 효과를 Path영역에만 주기 위해 패스를 선택하고 Paths팔레트 메뉴의 Make Selection 을 실행하거나, Paths팔레트 아래 부분에 있는 Loads Paths as a Selection아이콘으로 Path를 드래그 합니다.
-.Freeform Pen툴
연필로 그리듯이 자유 곡선을 그려 줍니다. 즉 마우스를 드래그 하는 대로 패스가 그려집니다.
◆ Freeform Pen Options 팔레트
Curve Fit:수치가 클수록 큰 곡선을 그리며 패스가 그려집니다.
-.Add Anchor Point(포인트 추가)툴
패스 위에 두 개의 포인트들 사이에 새로운 포인트를 추가해 주는 툴로, 패스의 형태를 변형 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Delete Anchor Point(포인트 삭제)툴
패스 위에 포인트를 삭제하는 툴로, 포인트가 없어졌다고 해도 닫힌 패스가 열리는 것은 아닙니다.
-.Convert Point툴
이 툴로 직선 포인트를 클릭하고 드래그하면 양쪽에 핸들이 있는 곡선 포인트로 바뀝니다. 곡선 포인트를 클릭하면 직선 포인트로 바꿔 줍니다.
Rectangel Tool : 사각형 만드는 툴 Rounded Rectangle Tool :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만드는 툴 Ellipse Tool : 원형 만드는 툴 Polygon Tool : 다각형 만드는 툴 LineTool :라인을 만드는 툴 Custom Shape Tool : 옵션 바에서 정한 Shape의 모양으로 도형을 만드는 툴
Notes Tool : 이미지에 주석을 달아주는 툴 툴을 선택하시고 이미지에 클릭을 하시면 내용을 적을 수 있는 쪽지 같은 창이 뜹니다. Audio AnnotationTool : 이미지에 음성으로 주석을 다는 툴입니다 툴을 선택하시구서 이미지에 클릭을 하시면 창이 뜹니다. 여기서 Start를 클릭을 하시면 녹음이 시작이 되고 녹음을 마쳤으면 stop을 클릭하면 됩니다.
Eyedropper Tool.
Eyedropper Tool : 이미지의 색상정보를 얻을 수 있는 툴 이미지상에서 클릭을 하면 색상 의 정보가 Info팔레트에 표시가 됩니다. Color Sampler Tool : 이미지의 색상정보를 얻을 수 있는 툴 4개까지 색상의 정보를 Info 팔레트에 표시해줘서 색상을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 Measure Tool : 드래그작업을 통해서 각도와 길이 값을 얻을 수 있는 툴.
-.Eyedropper툴
이미지에서 원하는 색상을 클릭하여 color팔레트의 Foreground Color나 Background Color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릭한 색상을 Background Color로 사용하고 싶다면 Color팔레트에서 먼저 Background Color부분을 선택한 후 클릭하거나, Foreground Color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 키를 누른 채 클릭합니다. 이미지에 이미 적용된 색상을 다시 선택해 다른 부분에 적용해 주고 싶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Color Sampler툴
선택한 색상의 수치를 Info팔레트에 해당 번호대로 표시 해 줍니다. 한 번에 4개까지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한 곳을 다시 드래그 하여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이미지에 사용한 색 중 원하는 색의 RGB값을 동시에 4개까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earsure(자)툴
모양이 자처럼 생긴 것으로 알 수 있듯이 이미지에서 거리나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합니다. 거리나 각도는 Info팔레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툴을 선택하면 이미지 위에 거리나 각도를 재기 위해 그었던 선은 사라집니다. 선의 양쪽 포인트를 이동하여 다른 부분을 잴 수 있습니다.
Hand Tool
이미지가 커서 화면에 다 표시가 되지 않을 경우 도큐멘트에 스크롤이 생깁니다. 이때 Hand 툴을 사용해서 보이고 싶으신 부분으로 드래그하시면 됩니다.
Zoom Tool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을 확대, 축소시켜 줍니다. Alt키를 클릭한채 사용을 하시면 이미지를 축소시켜 줍니다. 또한 Zoom툴을 더블클릭하면 이미지를 100%의 크기로 보여줍니다.
◆ Zoom Options 팔레트 Resize Windows To Fit:이 옵션을 체크하면 확대하거나 축소할 때 윈도우의 크기도 함께 확대 되거나 축소됩니다. 원본 이미지의 윈도우 크기 내에서 작업하고 싶다면 이 옵션을 체크하지 않아야 합니다.
Forground/Background Color Tool 전경색과 배경색을 설정합니다. ① 전경색을 설정합니다. ② 배경색을 설정합니다. ③ 전경색과 배경색을 바꾸어 줍니다. ④ 클릭시 전경색을 검은색으로 배경색을 흰색으로 바꾸어 줍니다.
스크린 모드 선택 아이콘
표준모드입니다.
타이틀 바와 풀다운 메뉴 그리고 여러 개의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작업할 수 있는 기본 스크린 모드입니다.
메뉴바와 이미지만 보입니다.
포토샵 타이틀 바와 스크롤 바가 사라지고 풀다운 메뉴만 나타나는 스크린 모드입니다.
이미지를 보기위한 모드입니다. 상위메뉴는 표시가 되질 않습니다.
툴박스와 팔레트만 남고 검은색 바탕에 작업중인 이미지만 보여 주는 스크린 모드입니다. 이 경우 풀다운 메뉴에 있는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툴박스에 있는 버튼을 클릭하면 풀다운 메뉴가 나타납니다.
Standard와 Quick Mask모드 아이콘
Standard모드에서 Quick Mask모드로 바꿔 주면 제일 먼저 색상 아이콘이 검은색과 흰색으로 바뀌고, 이 상태에서 적절한 툴로 선택 영역을 표시해 줍니다.
Quick Mask모드에서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Quick Mask모드 아이콘을 클릭하면, 색상 아이콘이 검은색과 흰색으로 바뀝니다.
②Foreground Color가 검은색인 상태로, Paintbrush툴로 선택하고 싶은 부분을 그려 줍니다.
Paintbrush툴 외에 다른 툴을 사용해도 됩니다. 그림과 같이 Paintbrush툴로 그려 준 부분이 빨간색으로 보입니다.
③다시 Standard모드 아이콘을 클릭하면 빨간색으로 그려 준 부분이 선택 영역으로 바뀝니다.
④Quick Mask모드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이 대화상자에서 초기 설정 상태가 빨간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처음에 Quick Mask모드를 실행시키면 무조건 빨간색으로 표시합니다.
그러나 Quick Mask모드를 적용할 이미지가 붉은 색이 강한 이미지라면, 빨간색으로 표시해도 구분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런 경우 색상 부 분을 클릭하여 새로운 Mask색상을 선택합니다. Opacity는 50%가 초기 설정 상태이므로, Quick Mask 모드에서 색을 칠할 때 원본 이미지를 보면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Color indicates부분에서 Masked Areas를 선택하면 Quick Mask모드에서 칠한 부분이 표준 모드로 바뀔 때 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선택 영역으로 지정하는 것이고, Selected Areas를 선택하면 Quick Mask모드에서 칠한 부분이 바로 선택 영역이 되는 것입니다.
Jump to
포토샵에서 작업한 이미지를 이미지레이디 프로그램으로 불러줍니다. 포토샵을 깔면 기본적으로 Jump To...로 Adobe imageready3.0이 연결되게 됩니다. 이미지레이디 프로그램은 웹 작업에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그밖에 Adobe illustrator..등의 어드비사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팔레트 (Platte)
Navigator 팔레트: 이미지의 다른 영역을 빠르게 보거나 보기 배율을 조절할 때 사용하며 네비게이트 팔레트의 가상본 미리보기 영역에 나타나는 영역을 활성 윈도에 나타냅니다.
Info 팔레트 : 정보팔레트는 마우스 포인터로 선택한 영역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선택하는 도구에 따라서 색상뿐아니라 좌표나 회전 각도, 길이 등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선택한 도구에 따라 정보 팔레트의 구성이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Color 팔레트 : 경전색과 배경색을 편집합니다.
Swatches 팔레트 : 색상 팔레트와 마찬가지로 전경색과 배경색 등을 선택할 때 사용합니다.
Styles 팔레트 : 스타일 팔레트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스타일을 이용하여 빠르고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History 팔레트 : 활성화된 이미지의 편집 상황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나타납니다. 실행취소(Undo) 기능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이보다 훨씬 강력한 기능으로 사용자가 작업한 과정 중 원하는 단계에서 실행 명령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Actions 팔레트 : 스크립이나 OLE 자동제어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 자동화를 제한적으로 제공하는 팔레트입니다..... Layers 팔레트 : 활성 이미지의모든 레이어를 만듭니다.
Channels 팔레트 : 모든 이미지는 채널을 가지며, 이미지가 가지는 모든 채널을 표현합니다.
Paths 팔레트 : 사용자가 펜 도구로 만든 패스가 나타납니다.
☻ 상태 표시줄
Document Sizes : 현재 작업 중인 이미지의 파일 용량과 채널, 그리고 레이어를 모두 합한 파일 용량을 나타냅니다.
Scratch Sizes : 현재 사용 가능한 메모리와 작업 상태에 대한 메모리, 그리고 클립보드의 사용 가능한 메모리를 나타냅니다.
Effciency : 램의 현재 사용 가능한 메모리를 나타냅니다.
Timming : 이미지를 열거나 필터로 효과를 나타낼 경우 걸리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 포토샵을 열며는 눈에 보이는 것은 다 설명 했지 싶습니다. 몇칠 걸려서 다 입력하고 보니 너무 많은 양 입니다. 하루에 조금씩 열람 하시여서 조금씩 각자 메모리에 입력 시키십시오. 저도 메모리 한계를 느낍니다.
아이콘 하나 하나 180개가 넘는 이미지를 입력 시키다가 보니 순서가 잘못 된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양지하여 주시고 혹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지적하여 주십시오. 이 정도만 이해 하시면 포토샵을 어느 정도는 잘 하신다고 자부 하셔도 됩니다. 담 부터는 좀더 어려운 것을 하나 하나 이미지와 함께 설명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