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사결과 개편안에 반대하는 의견은 서울(56%)·경기(58.1%) 등 수도권 지역 기초자치단체장들 가운데 많았다. 반면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서는 찬성률이 54~64%로 높았고, 충청도 지역에서는 찬·반 의견이 비슷했다.
개편에 찬성하는 기초 시장·군수·구청장 중 가장 많은 35명이 개편 시기로 2010년이 가장 적당하다고 답했다. 2010년에 치러질 민선 5기 지방선거와 지방 행정체제 개편을 동시에 진행시키자는 얘기다. 다음으로 많은 26명은 '개편이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답했다. 민선 6기 지방선거가 있는 2014년에 개편하자는 응답도 14명이나 됐다. 기본적으로 지방 행정체제 개편은 지방선거와 맞물려 추진돼야 한다는 생각이 많다고 볼 수 있다. 현 정부 임기가 끝나기 직전인 2012년에 개편하자는 응답도 8명이나 됐다.
개편에 반대하는 기초 시장·군수·구청장 중 49명은 '원하는 곳만 통합하는 것에는 찬성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230개 시·군·구를 70개로 '일시에' 통폐합하는 안에 대한 반대 의견인 셈이다. 반면 36명은 '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며 부분적 통합도 반대했다.
|
|
|
전남 여수시는 올해로 '3려(麗·여수시 여천시 여천군)통합' 10주년을 맞았다. 전남 22개 시·군 중 수위권(首位圈) 도시로 성장한 것은 바로 지역통합력과 경제력이 바탕이 됐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통합 전(前) 연고지의 '소지역주의'를 털어내는 것이 아직도 과제로 남아 있다.
◆논의 4년 만에 통합
통합 여수시는 원래 하나의 여수군(496㎢)이었다. 그러다 1949년 오동도 인근 여수읍이 여수시로 승격되고, 돌산읍 등 나머지 지역은 '여천군'으로 바뀌었다. 중화학공업 육성책으로 1969년 여천군에 호남정유(GS칼텍스)가 세워졌고, 산단 근로자를 위한 계획 도시 여천시가 1986년 탄생했다.
통합 논의는 1994년부터 시작됐다. 당초 한뿌리의 상태로 되돌려 지역 경쟁력을 높이자는 취지에서다. 당시 인구는 여수시(45㎢) 18만6000명, 여천시(107㎢) 7만4000명, 여천군(344㎢) 6만8000명. 하지만 여천군과 여천시가 흡수통합을 우려해 완강히 반대했다. 1994년 3~5월 두 차례 주민 투표에서 여수시 찬성률 97%에도 불구하고 여천시(31%)와 여천군(34%)의 찬성이 적어 통합이 좌절됐다. 결국 여수시가 '통합 청사는 현 여천시청으로 한다'는 등 대폭 양보하자 주민들이 찬성표를 던져 1998년 4월 통합했다.
3개 자치단체 공무원 1942명은 모두 고용이 승계됐으나, 3년 뒤 대규모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현재는 1691명으로 줄었다. 통합 직후 33만 명이던 인구는 현재 약간 줄어 29만5000명이다.
◆통합저력으로 박람회 유치
통합의 장점은 인구 증가와 행정구역 확대로 경쟁력이 올라가고, 정부 지원을 많이 받는다는 점이다. 재정 규모는 통합 시점보다 두 배 늘었다. 예산은 1998년 3928억원(재정자립도 38%)에서 올해 7942억원(〃 30.6%)으로 늘었다.
경제력도 커졌다. 통합 전 3개 지역의 44개 업체는 37억 달러어치를 수출했다. 지금은 여수산단 하나가 작년 173억 달러어치를 수출했고, 생산액은 44조원에 이른다. 여수산단은 작년 전남도 수출의 78%를 담당하며 전남 경제의 구심점이 됐다. 지방세 규모는 통합 직후 845억원에서 2006년 2082억원으로 늘어났다.
최근엔 통일교 그룹이 여수 화양면에 10년간 1조6000억원을 투자해 국제 해양관광레저단지를 조성키로 해 개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2012여수세계박람회'를 유치하는 등 통합의 긍정적 효과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내부 갈등 남아
하지만 통합 전 연고지를 바탕으로 한 '소지역주의'가 여전히 '정서 통합'을 가로막고 있다. 또 1청사가 옛 여천시로 이전하면서 은행과 관공서 등도 대거 '여천'으로 옮기는 쏠림 현상이 발생해 중앙동 등 구(舊) 도심권이 공동화하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이런 점을 이유로 구 여수권을 기반으로 둔 일부 시의원들은 통합청사를 구 여수권인 여서동으로 옮겨야 한다며 공세를 펴, '통합 청사' 논란이 10년째 진행 중이다. 여수시는 시청사가 학동청사(1청사·옛 여천시청), 여서청사(2청사·옛 여수시청), 돌산청사(3청사·옛 여천군청) 등 3개로 나뉘어 있다.
여수 YMCA 김대희 정책기획국장은 "일부 정치권과 자치단체의 이해득실에 따라 잡음이 남아 있지만 대체로 시민들은 통합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평가한다"며 "이런 자신감을 바탕으로 광양만권(여수·광양·순천) 통합에도 시민 60% 이상이 찬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
―그럴 경우 풀뿌리 민주주의를 훼손한다는 비판도 있다.
"지금은 동장(洞長)을 주민이 뽑지 않는다. 읍·면·동 자치를 부활하는 것이야말로 세계적 추세이고 풀뿌리 민주주의다. 지금은 자치단체가 하는 업무의 50%가 국가위탁사무다. 거기다 경기도 파주 주민이 행정 업무 보러 (도청이 있는) 수원까지 가고 있는데 이건 주민 편의를 무시한 행정편의적 구조다. 개편안은 '진짜 자치'를 하자는 것이다."
―주민 뜻이 반영되지 않은 개편안이라는 지적이 있다.
"잘못 전달되고 있는 부분이다. 국회에서 논의했던 안은 국민투표로 개편 여부를 결정하고, 시·군 통합도 주민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여당 내 반응은 어떤가.
"내가 이 문제를 제기한 뒤 만난 누구도 '하지 말자'고 한 사람이 없다. '논의는 지금부터 시작하고 시행은 신중하게 하자'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건 나도 마찬가지다. 국민투표까지 거쳐야 한다."
허 최고위원은 행정고시(8회)에 합격해 서울시·내무부·청와대 근무를 거쳐 의정부시장·충북지사 등을 지낸 지방행정 전문 관료 출신이다. 부산 북·강서을 3선 의원이다.
|
―개편하면 어떤 점이 좋아지나.
"인구가 많은 곳과 땅이 넓은 곳을 합치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사업 추진과 규제 완화 속도도 빨라질 것이다. 통합 광역시는 나름대로 명확한 요구사항을 내세울 것이고, 중앙정부는 광역시의 문제를 보다 면밀히 들여다보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광역시는 몇 개 정도가 적당한가.
"60개냐 70개냐, 또 도를 없애느냐 마느냐 하는 건 국민적 합의 이후의 기술적 문제다. 다만 서로 비슷한 사고방식을 갖고 있는 동일 경제생활권 내에서 통합해야 한다. 주민 의사와 여론이 반대한다면 통합해선 안 된다."
―지역 정치권이나 공무원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텐데.
"기존 선출직의 저항이 거셀 것으로 본다. 하지만 기득권은 저항해도 지역 주민들의 저항은 크지 않을 것이다. 행정체제 개편은 시대의 흐름이다. 주민 다수가 찬성하는 상황에선 선출직들의 반대 주장도 약해질 것이다."
―시기는 언제가 좋나.
"2010년 지방선거를 목표로 추진해야 한다. 2014년에 하자는 건 하지 말자는 얘기다. 통치권 차원의 큰 결단이 필요하다."
|
―그래도 인구 100만이 넘는 수원시와 5만 명 안팎의 군이 똑같은 행정체계를 갖는 건 비효율적이란 지적이 있는데?
"미국의 뉴욕주 밑에서는 인구 800만 명의 대도시인 뉴욕시와 20만도 안 되는 다른 작은 도시들이 똑같은 법적 지위를 갖는다. 관선시대 시각으로 비교해선 안 된다. 민선 지방자치시대에는 주민 100만의 대표나 5만의 대표나 동등하게 봐야 한다. 기초자치단체는 주민의 생활과 복리를 직접 챙겨야 한다. 지방 1개 군의 면적이 서울시보다 넓은 경우도 있는데, 그런 곳을 세 개 정도 합치면 어떻게 살림을 돌보겠나"
―그럼 현행대로 지속해야 하나?
"물론 개편은 필요하다. 현재의 광역시제도·공무원 숫자 등을 정비해야 한다. 광역시 중 인구가 많고 항만도시라는 특성이 있는 부산과 인천 정도만 남겨놓고 울산·대전·광주·대구 등은 모두 인접 도와 흡수 통합하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예전 인구 15만 명이던 군이 5만 명으로 줄었는데도 공무원 숫자는 여전히 600~700명 수준을 유지하는 경우도 많다. 이를 재조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