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종이 우리나라 종이라고 하면 얼마나 많은 사람이 믿을까요? 정식 이름이 성덕대왕 신종(국보 제29호)인 에밀레종이 바로 그것입니다. 이 종에 대해 별다른 생각을 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 종이 지금까지 남아 있다는 건 실로 엄청난 사건입니다. 1,200여 년 전에 만들어진 큰 금속 예술품이 아직도 남아 있다는 게 정녕 신기하지 않습니까? 그동안 얼마나 많은 변고와 전쟁이 있었습니까? 그런데 이 종은 그런 걸 다 견뎌내고 우리 곁에 남아 있습니다. | |
1,200년이나 지난 금속 종이 여전히 존재해, 소리를 낼 수 있어
게다가 이 종은 지금도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그것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소리를 말입니다. 지금은 보존을 위해 더 이상 타종하지 않지만 이렇게 오랜 세월 동안 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게 믿기지 않습니다. 그동안 이 종은 많이 홀대 받았습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버려져 있어 아이들이나 소들의 노리개가 되었는가 하면, 경주 읍성의 문을 열고 닫을 때 타종했던 종이 바로 에밀레종이었습니다. 박물관으로 오게 된 것은 일제기인 1915년의 일이었습니다. 그런 모진 세월을 겪고도 이 종은 망가지지 않았습니다.
1,200년이나 지난 금속 종이 아직 깨지지 않고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은 당시 금속 종의 제조 기술이 세계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동종이라는 것은 항상 쳐서 소리를 내니 깨지기 쉽지 않겠습니까? 그런데 얼마나 잘 만들었기에 1,200년 이상을 두들겨도 아직도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일까요? 이것은 이 종을 만들었을 당시에 신라가 지녔던 기술과 예술 감각이 최고 수준이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이 종과 동시기에 만들어졌던 석굴암이나 석가탑∙다보탑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신라에서는 세계 최고의 것들이 쏟아져 나왔지요. | |
높이 3.4m, 두께 2.4cm에 19톤이나 나가는 거대한 에밀레종
이 종은 높이가 약 3.4m이고 두께가 약 2.4cm인데 무게는 잘 모르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1990년대 말에 마침 최첨단 저울이 나와 재보니 약 19톤의 무게가 나갔습니다. 19톤은 만 9천 킬로그램이 되니까 엄청 무거운 것이지요. 이 종을 '에밀레'라는 속칭으로 부르는 것은 종을 만들 때 아이를 넣었다는 소문 때문이라고 하지요. | |
종이 울릴 때마다 아이가 어미를 부르는 듯한 소리가 나서 그런 이름을 붙였다는 것인데, 극히 최근에 조사한 바에 의하면 이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합니다. 종의 성분을 조사해보니 사람 뼈에 있는 인의 성분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왜 이런 소문이 났을까요? 그것은 아마도 이 종을 만드는 일이 너무 힘든 나머지 생겨난 설화가 아닐까 합니다.
이 종을 만들 때 힘든 일이 많았겠지만, 엄청난 양의 주물이 필요한 것부터가 그랬을 겁니다. 그리고 이 많은 양의 주물을 한꺼번에 넣어야 하는데 이때 유의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기포가 가능한 한 생기지 않게 부어서 식히는 일이 그것인데, 기포가 많으면 종이 깨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종이라는 것은 하루도 쉬지 않고 치는 것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깨지기 쉽습니다. 종 만드는 일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 시의 크레믈 궁 안에 보관되어 있는 종을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이 종은 200톤이나 되는 것으로 세계에서 제일 큰 종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제작과정에 물이 들어가 한 번 쳐보지도 못하고 그냥 깨져서 지금은 그렇게 깨진 채로 전시해놓고 있더군요.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그 유명한 자유의 종도 깨친 채로 전시되어 있지 않습니까? 이에 비해 우리의 에밀레종은 1,200년 이상을 끄떡없이 견뎠습니다. 도대체 당시 신라의 기술은 얼마나 좋았기에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요? | |
|
필라델피아에 있는 자유의 종. 깨진 채로 전시되어 있다. | |
한국 종이 가진 첫 번째 특징은 소리가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는 ‘맥놀이 현상’
학계 일각에서는 이 에밀레종을 포함해 한국에서 생산된 종들을 ‘한국 종’이라는 고유의 학명으로 부르기도 하는 모양입니다. 그것은 한국 종이 가진 여러 특징 때문인데 이 가운데 우선 언급해야 할 것은 그 소리가 수 킬로미터 밖에서도 들릴 정도로 멀리 전달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다소 어려운 용어로 ‘맥놀이 현상’ 때문인데, 종에서 진동이 다른 두 개의 소리를 나오게 하는 것이 그것입니다. 그러면 이 두 소리가 서로 간섭하면서 강약을 반복하게 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소리를 먼 데까지 보낼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우리나라 종의 소리를 들어보면 ‘웅웅웅’ 하면서 끊어질 듯 이어지는 소리가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겁니다. 이렇게 해서 여운이 오래가고 그 덕에 소리가 계속해서 뻗어나가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면 이와 같이 다른 진동을 가진 두 개의 소리가 어떤 장치 덕에 나올 수 있는 걸까요? 과학자의 정밀한 분석 끝에 이 종의 상하와 배 부분이 두께가 다른 것을 발견했고, 두 개의 소리가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이것 때문인 것으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신라인들이 이처럼 고도의 계산을 한 것이 놀라운데, 이 기술이 가장 잘 발현된 것이 바로 에밀레종이라고 합니다. 이런 첨단의 기술을 실험하느라 이 종의 제작 기간이 길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 |
한국 종이 가진 두 번째 특징은 꼭대기 부분에 있는 원통형의 음통과 용 그리고 명동
에밀레종을 비롯해 한국 종에는 중국이나 일본 종에 없는 것이 또 있습니다. 우선 종의 꼭대기 부분에 있는 원통형의 음통과 용이 그것입니다. 이 통은 종의 내부를 파이프처럼 관통하고 있는데 종래의 해석에 따르면 잡음도 제거하고 소리를 사방으로 퍼져 나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 통이 종의 소리와는 무관하다는 설도 나오고 있습니다. 즉, 이 장식은 그 유명한 만파식적의 신화를 표현한 것이라는 해석입니다.
음통(왼쪽)과 명동(오른쪽), 한국 종이 가진 특징이다. <출처 : 민병훈>
이 신화에 의하면, 대왕암이 있는 경주 감포 앞바다에서 용이 대나무를 가지고 왔는데 이것으로 피리(만파식적)를 만들어 불었더니 세상이 편안해졌다고 합니다. 이 신화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뒤 고구려 유민이나 백제 유민들과 생겼던 여러 가지 갈등을 풀고 싶은 염원에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 염원을 표현한 것이 바로 이 종의 장식이라는 것입니다. 종의 소리를 듣고 모두들 화평해지라는 것입니다. 또 종 아래는 항상 움푹 들어가게 해놓는데 이것은 ‘명동(鳴洞)’이라는 장치로 소리가 더 공명할 수 있게끔 한 것입니다. 이 장치도 중국이나 일본 종에서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 |
에밀레종을 비롯한 한국 종은 가장 아름다운 외형을 가져
에밀레종에 새겨진 아름다운 비천상. <출처 : 민병훈> | |
|
우리의 종은 탁월한 소리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그 모습 역시 뛰어납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한중일 세 나라의 종을 비교해 놓았는데, 한국인의 눈으로 봐서 그런지 몰라도, 단연 우리 종의 모습이 가장 우아합니다. 종의 외곽 곡선이 가장 유려하게 보입니다. 뿐만 아니라 에밀레종 겉면에 조각되어 있는 비천상도 아름답기 짝이 없습니다. 비천이란 불교의 천사를 말하는데 서양의 천사와는 달리 날개가 없이도 날아다닐 수 있습니다. 한국 종 가운데 에밀레종에 있는 비천상이 가장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는데 부처님께 공양하는 모습을 부조했습니다.
어떤 독일학자가 에밀레종을 보고 ‘우리나라에 이런 유물이 있으면 박물관 하나를 따로 세우겠다’라고 했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종이니 충분히 그럴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우리는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그냥 박물관 앞뜰에 걸어놓고 있지요? 그래놓고는 소리도 잘 들려주지 않고 이 종이 왜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종인지 설명해놓지도 않았습니다. 이렇게 훌륭한 유물이 있으면 국민에게 널리 알렸으면 합니다. | |
- [Why] [유석재의 新역사속의 WHY] 에밀레종 人身공양은 실제일까 우화일까 | 조선일보 2010-03-13
- "저게 뭐지?" "아이 뼈 같은데요…!" 2000년 여름, 경북 경주시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미술관 부지를 발굴하던 조사단원들의 눈앞에 이상한 유골이 나타났다. 깊이가 10m를 넘는 통일신라시대의 우물 밑바닥에서였다. 거꾸로 선 채 뻘층에서 거의 온전하게 보존된...
- [김태준의 문향] <14> 에밀레종의 신비한 소리 | 한국일보 2009-12-20
-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와 같은 역사기록이 아니면서 역사에 길이 남을 글로 금석문(金石文)이 수없이 많다. 고구려의 옛 터전에 남아 있는 광개토대왕비나 충청도 성주산 기슭에 남은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같은 국보급이 적지 않고, 국립 경주박물관 입구에 우뚝...
- KAIST 김양한교수, 에밀레종 `울림의 비밀' 밝혔다 | 연합뉴스 2008-12-16
- 신라 천년 불교의 애틋한 설화가 담겨져 있는 `에밀레종(국보 제29호.성덕대왕 신종)'의 비밀이 현대 과학기술로 그 베일을 벗었다. KAIST 기계공학과 김양한(58) 교수는 16일 대전 엑스포과학공원에 있던 `엑스포 대종'을 대전시청 앞 종각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 글∙사진∙그림 최준식 /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교수
- 서강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템플대학에서 종교학을 전공하였다. 한국문화와 인간의식 발달에 관심이 많으며 대표저서로는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등이 있다.
출처 - 네이버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