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 3상4선식 전원이 사무실에 없답니다.
해서 R상을 물리고, N상을 물린 다음, N상에서 T상으로 연결을 했죠.
왜냐구요? 회로도를 살펴보면....N상은 보조회로 전원( THR, 마그네트)에 사용되고,
T상은 모터 작동을 위한 주회로 전원이잖아요.
해서 구분을 해주기 위해 임시로 조치를 취한 거랍니다.
#가끔 현장에서 1차측 4가닥이 모두 물린 상태지만 메인 전원이 아직 안들어 오고 있을 때,
단상 전원 가지고 라인 테스트를 위해 저런 방법
(그 때는 N상이 아니라, R,S,T상을 모두 하나로 연결함. 그럼 단상이나 마찬가지.)을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테스트가 끝나고 연결한 선을 풀어내는 것을 깜빡 잊고
나중에 메인 전원을 올리는 경우도 있답니다. 그럼? 대형사고 터지는 거죠.
나) : 차단기 2차측 R,S,T(적, 흑, 녹)상에 물린 선이 마그네트의 주회로를 통해 현장에 있는
모터에 물리게 되는 선입니다.
단자대를 왜 썼냐구요?
전기실의 판넬과 현장에 있는 모터는 상당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죠.
그러니 지금처럼 차단기에서 나와 마그네트를 거친 모터 전원을 단자대의 위에 물리고,
아래에서 모터 용량에 맞는 굵기의 케이블로 현장에까지 끌고 가는 것입니다.
다)와 마) : 회로도에서 PB1과 MC1입니다.
라)와 바) : 회로도의 PB2와 MC2입니다.
사) : 메인 전원(3상4선)을 받기 위한 단자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모터의 경우처럼, 차단기의 1차측에 물릴 메인 전원도 직접 가지 않고
일단 단자대를 거쳐 차단기에 물립니다. 여기서는 생략하고 바로 물려답니다.
아) : 정역 회로가 구성된 뒤 마그네트 2차측에서 나온 모터 전원입니다.
모터가 3상(380V)라는 가정에서 U,V,W 3상이 나온 것이죠.
자) : 정역 회로에서는 필요가 없습니다.
나중에 Y- Δ(와이-델타) 결선에서 필요해서 미리 준비해둔 것입니다.
마그네트의 1차측을 R,S,T 라고 하고,
2차측을 나와 모터에 물리는 상을 U,V,W, X,Y,Z 라고 합니다.
즉, 모터에는 6개의 선이 나와 있죠.
그럼 전원은 3가닥인데 어떻게 하냐구요?
일반에서는 그냥 U,V,W만 사용하고,
X,Y,Z(얘네들은 Y- Δ 결선 때 써 먹음) 3가닥은 모두 쪼인해서 테이핑합니다.
그러면 다음 푸시버튼과 마그네트 주회로 1차측 연결부위를 살펴 보겠습니다.
가)푸시버튼
#푸시버튼을 누르면 스프링 작용에 의해 a접점과 b접점이 동시에 작용하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입니다.
#또한 앞선 배웠던 기동, 정지 회로에서는 기동일 때는 버튼의 a접점만,
정지일 때는 b접점만 이용했던 것도 배웠구요.
그렇지만 여기서는 버튼의 a,b 접점 모두를 이용한 게 다릅니다.
#회로도에서 차단기의 R상(적색)이 연결된 부위를 볼까요.
적색이 버튼1,2의 a접점과 마그네트 1,2의 a접점과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실제 결선도에서도 마찬가지로 차단기에서 온 적색이 버튼 1를 거쳐 2에 연결된 뒤,
마그네트로 간 것이 보입니다.
#그리고 1번 버튼의 a접점을 거쳐 나와 2번 버튼의 b접점과
1번 마그네트의 a접점으로 갔죠?(노란색)
#역시 2번 버튼도 마찬가지....
나) 주회로 1차측
# 차단기에서 나온 3가닥(적,흑,녹)이 마그네트2의 주회로 단자인 R,S,T상에 물렸습니다.
그리고 그 색깔(순서) 그대로 마그네트1에 물렸죠.
물론 차단기에서 나온 선이 어느 곳을 먼저 가든 상관없습니다.
저는 1번 마그네트쪽이 복잡해서 2번으로 먼저 갔을 뿐입니다.
순서대로 갔다는 것은 아직 상이 바뀌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주회로의 2차측입니다
#1번 마그네에서 모터로 가기 위한 출력선이 단자대로 갔습니다.
나중에 반대편 단자대에서 현장에 있는 모터까지 케이블로 끌고 가면 되겠죠.
#1번 마그네트의 R상(적)이 2번 마그네트의 T상에 물렸습니다.
#1번의 S상(흑)은 2번의 S상에 그대로 물렸습니다.
#1번의 T상(백)은 2번의 R상에 물렸습니다.
#어떻습니까. 3개의 상중 2개(R과 T)의 상이 바뀌었죠.
#이렇게 해서 회로도에서 본 것처럼 1번 마그네트가 살면?
R,S,T가 그대로 모터로 가기 때문에 정회전을 하고,
#2번 마그네트가 살면?
R과 T가 바뀌어 역회전이 되는 것입니다.
물론 R,S 든지 S,T 든지 상관없어요. 어떤 것이든 3개 중에서 2개의 상만 바꾸면 되거든요.
첫댓글 따지고 보면 , 간단하게 , 전원 하나에 , 끄고 켜고 하면 편한데 왜 이리 , 복잡한 구조에 , 자동 장치를 하는지 ,, 결론 ,, 합선 만 안되게 하면 됨 ,, ㅋㅋ
알고 보면 전혀 복잡하지 않아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