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밴쿠버 아일랜드
캐나다
11번째, 세계 43번째 거대한 섬
스페인
탐험가 갈리아노 1792년 배로 섬 일주한 최초의 유럽인
밴쿠버
섬은 BC주의 일부로 크기로는 세계에서 43번째, 캐나다에서 11번째인 거대한 섬으로 캐나다에서
몬트리올 섬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섬이다.
1791년과
1794년에 북미의 태평양 해안 지역을 탐험 했던 영국 해군의 선장 조지 밴쿠버를 기념하여 이름 붙여진 몇 군데 중의 하나이다. 섬의 전체
길이는 460km이며 폭은 최대로 넓은 곳이 80km이다. 면적은 32,134 km² 이며 인구는 2004년 추정
734,860명이었다.
그
중 거의 절반인 33만명 정도가 광역 빅토리아 지역에 살고 있다.
주요
도시로는 너나이모, 포트 알버니, 팍스빌, 쿠트니, 캠벨리버가 있다.
BC주의
남서쪽 끝 부분에 위치하며 조지아 해협, 존스토운 해협, 퀸샬롯 해협이 섬과 캐나다 본토 사이에 위치하며 미국과는 쥬안 데 푸카 해협을 사이에
두고 있다. 섬의 서쪽은 태평양과 면하고 있다.
밴쿠버
섬 산맥이 섬을 길이로 통과하여 축축하고 거친 서부 해안 지대와 건조하고 구릉이 많은 동부 해안지대로 가르고 있다. 섬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
스트라트코나 공원 내에 위치한 2,195미터의 높이의 만년설에 덮인 골든 하인드가 최고봉이다. 서부 해안은 거칠고 피요르드, 작은 만 들이
많다.
섬의
안쪽에는 호수와 강이 많고 케네디 호수가 그 중 가장 크다. 밴쿠버 섬은 5,500 만년 전에 쿨라 지각판이 북미 대륙과 충돌하여 섭입(攝入)
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캐나다에서
가장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어 2월에도 보통 영상의 날씨이며 여름에 가장 더운 기간에는 섭씨 28-33도 정도이다. 그러나 미국 워싱턴주의
올림픽 반도의 높은 산들과 밴쿠버 섬 산맥이 강수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쪽
해안의 헨더슨 호수의 연 평균 강수량이 665cm인데 반하여 남동쪽 끝의 빅토리아의 최저 강수량은 불과 64cm였으며 가을과 겨울에 강우가 많고
겨울에 저지대에는 눈이 거의 내리지 않지만 산악지역에는 흔히 내린다.
밴쿠버
섬 기후의 특징으로 북위 50도에 이르는 지역까지 여름에는 지중해성 건조기후의 특징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같은 위도에 위치한 본토의 지역이 연중
평균적인 강수를 갖는데 반하여 섬의 최북단 포트하디는 여름에는 11월부터 3월의 우기의 불과 5분의 1정도의 강수를 갖는다.
밴쿠버
섬은 온대 우림 생물군계에 위치하여 더글러스 전나무, 웨스턴 붉은 삼나무, 아르부투스 나무, 개리 참나무, 살랄, 오레곤 그레이프,만자니타
등등의 나무들이 많이 살고 있다.
섬의
남동쪽 부분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레크리에이션도 주로 이 지역에서 이루어 진다. 북쪽과 서쪽에는 헴록, 삼나무, 더글라스 전나무, 가문비나무
등의 BC해안가에 주로 사는 침엽수들이 많으며 또한 단풍나무, 오리나무, 허클베리나무, 양치류에 속하는 식물들이 많이 살고 있다.
동물들은
본토의 것들과 비슷한데 그리즐리 곰, 야생 염소, 고슴도치, 무스, 스컹크, 코요테는 섬에는 살고 있지 않으며 루즈벨트 사슴이 많고 밴쿠버섬
마멋은 섬에만 살고 있다. 북미에서 쿠거가 가장 많이 밀집되어 살고 있는 지역으로도 유명하다. 섬의 강, 호수, 해안가는 송어, 연어,
스틸헤드 등의 낚시로 유명하다.
1946년에는
밴쿠버 섬 산맥의 동부에 위치한 포비든 고원지대가 리히터 지진계로 7.3규모의 지진의 진앙지가 되어 지금까지도 캐나다에서 가장 강력한 지진으로
기록되고 있다. 지진활동을 측정하기 위한 시설이 많이 설치되어 있다.
밴쿠버
섬은 수천년 동안 많은 원주민 부족이 거주해 왔으며 섬의 북쪽과 본토의 일부에 사는 콰크 와카 와크 부족, 섬의 북서 지역에서 남쪽에 이르는
지역에 살고 있는 누챠누트 부족, 동쪽의 아랫 쪽에 거주하는 코스트 살리쉬 부족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그들 모두 전통적으로 섬에서 산출되는
자연자원에 의존해 살고 있다.
과거에
유럽인들과의 접촉으로 1830년까지 누챠누트 부족은 성병, 말라리아, 홍역 및 문화적 소용돌이로 90% 이상이 사망 하였고 코스트 살리쉬 부족도
1862년에 홍역으로 인구의 절반이 사망 하였다. 콰크 와카 와크 부족도 유럽인과의 접촉으로 인한 전염병으로 상당수가 사망하였다고
한다.
유럽인들이
1774년에 섬을 탐사 하였고 러시아 모피상인들이 스페인으로 하여금 후안 호세 페레즈 헤르난데스가 지휘하는 탐사대를 파견하도록 하여 이들이
산티아고호를 타고 근처를 탐험했다고 한다. 1775년에 두번 째 스페인 탐험대가 후안 프란시스코 데 라 보데가 이 콰드라 선장의 통솔 하에 파견
되었다.
영국인
제임스 쿡 선장이 1778년 3월31일 섬의 서부 해안의 누트카 사운드에 상륙하여 이 지역을 영국령으로 선포하자 밴쿠버 섬이 세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 섬의 풍부한 모피자원은 영국의 동인도 회사로 하여금 누트카 섬의 원주민 마을인 유코트에 모피 교역소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이
섬은 이후 좀더 탐사되어 1789년에 에스테반 호세 마르티네즈가 이끄는 스페인 탐사대가 유코트 근처의 조그만 섬에 산 미구엘 요새를 설치하게
된다.
스페인이
캐나다에 가졌던 유일한 정착지였고 스페인이 영국의 선박들을 나포하자 두 나라의 관계가 악화되어 누트카 위기라 불리는 거의 전쟁상태 직전까지
이르렀으나 1792년의 누트카 협약으로 평화적으로 해결되어 양국은 서로의 권리를 인정하게 되었다.
영국은
이 지역에 대한 활동을 감독하기 위하여 쿡 선장의 부하였던 조지 밴쿠버 선장을 파견하였고 밴쿠버 섬의 이름은 이 사람의 이름을
딴것이다.
1792년에
스페인 탐험가 디오니시오 알칼라 갈리아노가 배로 섬을 일주한 최초의 유럽인이 되었다. 스페인의 이 지역에 대한 흥미가 감소되고 허드슨 베이
회사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1846년에
미국과 오레곤 조약이 체결되어 북위 49도선을 국경으로 정하였으나 북위 49도 밑으로 섬의 일부가 놓여져 있어도 밴쿠버 섬 전체는 캐나다의
영토로 인정 되었다. 밴쿠버 섬 식민지가 1849년 설치되었다. 리챠드 블랑샤드가 잠시 총독을 지낸 후 허드슨 베이 회사의 지역 책임자인 제임스
더글라스가 1851년 총독직도 겸하게 되었다.
섬의
최초의 영국인 정착지는 허드슨 베이 회사 교역소로 카모삭 요새가 1843년 설치되어 이후 빅토리아 요새로 이름을 바꾸었다. 빅토리아 요새는
1858년 프레이저 계곡 골드러시 당시 중요한 기지 역할을 하였다. 번창하는 마을이 1862년 빅토리아로 결성되어 밴쿠버 섬 식민지의 중심도시
역할을 하였다.
1861년-62년
사이의 카리부 골드러시가 끝나자 주의 경제가 악화되어 본토와의 합병 압력이 거세져 1866년 아더 캐네디가 총독으로 본토와 밴쿠버 섬이
합쳐졌다. 빅토리아가 뉴 웨스트민스터를 제치고 주의 수도가 되었다. 영국 해군의 기지 및 조선소 그리고 해군 병원이 에스키말트에 설치되어 운영
되다가 1865년에 캐나다 군이 기지를 인수 하였다.
빅토리아를
제외한 밴쿠버 섬의 경제는 주로 임업, 관광, 어업이 중심이 되고 벌채는 주로 펄프 원료로 키워지는 나무를 대략 30년마다 자르는 것이 주가
되고 있다. 오래된 나무들을 벌채 하는데 대해서 환경보호주의 단체들의 반발이 있다.
주
정부는 토피노같은 관광지로 좀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 하려고 애를 쓰고 있으며 최근에는 포도원이 늘어나서 포도주 생산이 많이 늘어 고품질의
우수한 포도주를 생산하고 있다. 밴쿠버 섬과 본토 사이에 HVDC라고 일컫는 고압 전기선이 연결되어있으며 IT분야도 급격한 발전을 이뤄 섬
전역으로 무선 인터넷이 연결되고 있다.
고등교육이
광역 빅토리아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50,000명이 넘는 학생과 관계자들이 여러 개의 고등교육 분야에 연결되어 특히 빅토리아 대학은
2006/2007년에 학생 19,475명과 4,124명의 스태프를 가지고 있었고 카모선 컬리지는 광역 빅토리아 지역에 여러 개의 캠퍼스를
유지하며 대략 17,000명의 학생과 1,000명의 스태프를 가지고 있다.
기타
로얄 로우즈 대학, 빅토리아 섬 대학, 캐나다 웨스트 대학, 레스터 B. 피어슨 태평양 컬리지 등의 여러 고등 교육기관이 있다.
하이웨이
19번은 일반적으로 아일랜드 하이웨이라 불리는데 북과 남을 잇는 주요 도로로 1912년 이후부터 밴쿠버 섬에 있어 왔다.
원래는
거친 자갈길이었으며 동쪽과 북쪽의 철도와 더불어 중요한 연결 통로였다. 포장된 도로는 1953년에 개통되어 너나이모와 캠벨리버 사이의 1번
고속도로 구간을 대체 하였다. 이후 1970년대 후반에 섬의 북단으로 연장되었고 전체 길이는 406km이다
밴쿠버
섬에는 현재 2개의 주요 철도가 남아있는데 빅토리아와 쿠트니 사이의 일반 화물을 수송하는 에스키말트 나나이모 철도의 남부선과 2001년 이후
사용하지 않는 포트 알버니 선이 있다. SVI가 VIA와의 계약 하에 여객 열차를 운행하고 있으며 웨스턴 임산제품 회사가 섬의 북단에서
캐나다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벌채 전용선을 워스에서 비버코브까지 운행하고 있다.
전에
캐나다 내셔날 철도에서 빅토리아에서 코위찬 밸리까지 운행하던 철도는 1980년대/90년대초에 운행이 중단되어 빅토리아와 수크사이, 그리고 쇼니간
호수와 코위찬호수 사이의 구간은 다목적 트레일로 사용되고 있다. BC임업 박물관은 공원을 도는 협궤철도를 운영하며 알버니 철도는 여름 동안에만
포트 알버니의 E&N 역에서 맥린 밀까지 운행한다.
빅토리아
국제공항은 2005년에 1,280,420명이 이용하여 캐나다에서 9번째로 바쁜 공항이었고 에어 캐나다, 에어 캐나다 재즈, 호라이즌 에어,
퍼시픽 코스트 에어라인, 웨스트 제트가 다양한 단거리, 중거리 항공편을 시애틀, 캘거리, 밴쿠버,토론토와 연결 운항하고 있다.
또
다른 국제공항인 CFB코목스에서 멕시코의 푸에르토 발라타와 일주일에 한편씩 연결하는 항공편이 있다.
나나이모와
캠벨리버에서 웨스트 제트가 2008년에 일주일에 3편씩 라스베가스로 운항 하였고 유나이티드 에어라인이 샌프란시스코 베이지역으로 계절 운항을
계획하고 있었다. 수상 비행기와 헬리콥터가 빅토리아 내항으로 연간 300,000 명의 통행을 추가로 가능하게 하여 밴쿠버 섬에서 2번째로 바쁜
공항 역할을 하고 있다,
대부분
하버에어, 웨스트 코스트 에어, 백스터 에비에이션 등이 빅토리아 중심가에서 밴쿠버 중심가 그리고 나나이모 항구로 날만 좋으면 매일
운항한다.
<자료 출처 : 2008 중앙 일보 오피니언, 이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