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icit / implicit knowledge(learning)
& analyzed / unanalyzed knowledge
analyzed knowledge와 unanalyzed knowledge는 이번 영어교육론 수업에서 처음 들어보는 생소한 용어였습니다. 지난 학기에 수강한 영어독해 시간에 explicit learning과 implicit learning을 잠깐 다룬 적이 있는데 PLLT교재 공부를 하며 이들이 각각 analyzed knowledge와 unanalyzed knowledge에 대응된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먼저 explicit knowledge(명시적 지식)는 말이나 글 등 언어로 상술 가능한 지식으로 어떤 형태로 형상화될 수 있는 것입니다. 즉, 언어 수행과 관련된 복잡한 규칙을 명시적으로,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같은 맥락에서 analyzed knowledge는 지식의 구조를 인식(awareness)함으로써 알게 되는 지식의 형태입니다. 반면에 implicit knowledge(암시적 지식)은 언어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가 언어의 음운, 의미, 통사 등 다양한 영역에 관한 규칙을 알고 이를 자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입니다. 이 때, 이를 반드시 말이나 글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교수님께서 implicit knowledge는 ‘완전히 자신의 것이 된 지식’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unanalyzed knowledge역시 같은 맥락으로 지식의 구조를 인식하고 있지 않지만(without awareness) 대부분의 사항들을 알고 있는 지식의 형태입니다. 이러한 지식들은 명시적으로 노출되기보다는 accidental, incidental하게 이용됩니다.
위와 연관시켜 언어 학습에 있어서의 explicit learning과 implicit learning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explicit learning은 의식적인 자각과 의도를 포함한 학습으로, intentional learning이라고도 불립니다. 반면 implicit learning은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 없이 그리고 학습되는 것이 무엇인지 인식하지 못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학습으로, incidental learning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단어리스트를 주며 단어 시험을 공지한 후 단어공부를 한다면 이는 explicit learning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일반적 독해 수업을 한 후에 예고 없이 그 지문에 나왔던 단어들을 시험 치는 경우에는, 학생들이 읽기를 하는 중에 우연히 부수적으로 단어공부를 하게 되므로 implicit learning에 해당됩니다. 교수님께서 들어주신 예로 PLLT Glossary note 정리를 하며 PLLT 원서를 베껴 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은연중에 작문 실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게 어휘 공부를 하게 됩니다. 이는 학생들이 의도하지 않은 학습이기 때문에 implicit learning, incidental learning으로 볼 수 있습니다.
explicit learning은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특성을 가진, 은연중에 이루어지는 학습보다 rule-based instruction에 익숙한 성인 학습자들에게 유리합니다. 한편 implicit learning은 과제 해결 중에 자연스럽게 언어 습득을 유도하는 교수법인 task-based instruction에 익숙한 어린아이들에게 유리한데, 어린아이들은 언어 습득에 대한 인지 능력이 비교적 부족하기 때문에 implicit learning으로 큰 성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교수님께서 이 모든 것은 학습자가 처한 상황이나 학습자의 능력 등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교재에 implicit과 explicit에 관한 내용이 군데군데 많~이 있었습니다.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만 간추렸는데도 글이 길어졌네요
키워드만 뽑은 표도 함께 올리겠습니다
analyzed knowledge | unanalyzed knowledge |
explicit | implicit |
w/ awareness, consciousness | w/o awareness, consciousness |
verbalizable | non-verbalizable |
intentional | incidental (accidental) |
through nonautomatic processing | through automatic processing |
rule-based instruction | task-based instruction |
advantageous for adult learners | advantageous for children learners |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첫댓글 잘 정리했습니다. 위의 이상한 ! 같은 열 제거하고, 도표에 task-based 앞에 (strong form of)를 추가(수업시간 질문하세요), "자발적"이란 말이 잘 이해 안될겁니다: spontaneous의 번역인것 같은데, spontaneous를 우리말로 번역하기가 적절한 단어가 잘 없어요(Anybody?),
거침없이, effortlessly(노력안들이고도), 이런 뜻인것 같은데, 자연스럽다는 말이 그런 뜻이 있기는 하죠. 자연스럽다는 말이 ambigous합니다.인위적이지 않은 꾸밈없는 이런 뜻도 있죠. Anyway, however, that's probably the clos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