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레아플라즈마(ureaplasma)의 원인 :
일반적으로 유레아플라즈마(Ureaplasma)는 성병균으로 인식하고 있다. 물론 증상이 있는 여성에서 유레아플라즈마(Ureaplasma)가 일정부분 발견되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할 것이다. 사실 의료계에서도 이 균이 정말로 성병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조금씩 의견이 다르다.
유레아플라즈마(Ureaplasma)라는 균을 살펴보면 여성의 비뇨생식기에서 가장 흔한 균중의 하나이다. 어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여자어린아이의 경우 약 5%에서 발견된다고 한다. 젊은 여성의 경우에서는 성적인 활동이 별로 없는 경우 약 40%에서 발견되며, 성적으로 활발한 여성의 경우에서는 약 67%에서 발견된다고 한다. 또한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는 약 25%에서 발견된다.
남성의 경우를 보더라도 요도염이 없는 건강한 남성의 경우에도 약 63%에서 이 유레아플라즈마(ureaplasma)가 발견된다고 한다.
즉 유레아플라즈마(Ureaplasma)라는 균이 우리몸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될 수도 있는 균이라는 것이다.
좀 더 자세히 들어가보면 유레아플라즈마(Ureaplasma)라는 균은 한종류가 있는 것이 아니고 여러종류로 이루어져 있음이 최근에 계속 밝혀지고 있다. 이중에서 어떤 것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성병균으로 밝혀질 수도 있다.(예를 들면 Ureaplasma urealyticum) 이에 대해서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유레아플라즈마(Ureaplasma)라는 균내에서 어떤 종이 성병균으로 최종 확인될 수도 있다.
유레아플라즈마(ureaplasma)는 우리가 엄마배속에 있을때나 출산때 감염이 되기도 하며 성적인 접촉을 통해서 감염되기도 한다.
떠돌아다니는 유머중에 보면 딸이 성병에 걸린것을 알게 된 엄마가 의사에게 말하길 "아마도 화장실에서 걸렸을꺼에요"라고 하니 의사왈.... "그럴수 있습니다. 얼마나 급하면 그랬겠어요...."라고 하는 것을 보고 한참을 웃었는데.... 이런 이야기가 나오게 된 이유중의 하나는 아마도 이 유레아플라즈마(Ureaplasma)라는 균이 화장실등의 위생시설에서도 발견이 된다는 점때문일 것이다.
다만 일반적으로 발견될 수 도 있는 균이라고 치료를 안해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아직까지 더 밝혀져야 할 것이 많이 있으므로 진료를 본 의사선생님의 처방대로 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최선의 방책이다.
참고: 1. Volgmann T, et al. Ureaplasma urealyticum-harmless commensal or underestimated enemy of human reproduction? A review. Arch Gynecol Obstet 2005;273:133-9. 2. Viarengo J, et al. Ureaplasma urealyticum in the urethra of healthy men. Br J Vener Dis. 1980;56:169-72.
2. 유레아플라즈마(ureaplasma)이란?
유레아플라즈마 (Ureaplasma urealytiucm)는 비임균성 요도염의 한 종류입니다.
유레아플라즈마는 비임균성 요도염의 25-35%를 차지하며 그 유발율은 성교 파트너의 수에 비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성경험이 없는 유아에게서도 발견됩니다. 클라미디아와 관련된 질환은 임질과 비슷하며 폐렴이나 중이염 등의 합병증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비임균성 요도염에 대한 관련 글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3. 꼭 치료를 해야 하는가?
비임균성요도염은 임균성요도염에 비해 증상이 적은 경우가 많으므로 환자에게는 아무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비임균성요도염을 일으키는 균은 클라미디아, 유레아플라즈마, 트리코모나스 등이 있습니다.
유레아플라즈마는 보통세균보다 더작은 균으로 성접촉으로 전파되나, 여자분에서는 성과 무관하게 감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클라미디아에 비해 중한 합병증을 유발 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 안심 하시고. 일반적 검사로는 잘 검출되지 않으므로 세균유전자 검사(PCR검사)를 시행 받으셔야 합니다..
비임균성요도염의 원인균중 성병균(STD)으로 분류되고 있는 것은 클라미디아(Chlamydiae trachomatis), 유레아플라즈마(Ureaplasma urealyticum),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 genitalium), 트리코모나스(Trichomonas vaginalis)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대장균류(E coli & coliform bacteria), 클렙시엘라(Klebsiella), 슈도모나스(Pseudomonas), 프로테우스(Proteus),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fecalis), 칸디다(Vulvovaginal candidiasis) 등 수많은 세균이나 원충류, 진균류가 비임균성요도염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들 원인균들은 대부분 세균성전립선염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4. 만약 요도염인 경우 증상, 진단, 치료
요도염의 증상은 대개 성관계후 2일-1개월의 잠복기를 거친후 나타나게 됩니다. 요도의 불쾌감, 배뇨시 통증이나 작열감, 가려움등이 나타나며 요도를 통해 분비물이나 농이 나오는 수도 드물지 않습니다. 요도에서 고름이 나오고 극심한 고통을 호소하는 증상에서부터 아무런 증상이 없는 무증상감염까지 요도염의 형태는 매우 다양합니다.
비임균성 요도염의 진단은 주로 소변 검사를 통한 방법을 사용하는데 원인균을 판별하여 임균성요도염을 일으키는 원인균만 아니면 대부분 비임균성 요도염으로 판별하게 됩니다. 최근 진단의 정확성을 위해 유전자(DNA) 검사를 통한 진단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치료의 경우는 환자와 그 성파트너를 동시에 치료하여야 하며 대개 시작은 클라미디아에 유효한 약제로 시작합니다.
재발되는 경우에는 유레아플라즈마나 트리코모나스에 의한 경우가 많으므로 그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고 약제를 교체합니다.
환자분의 경우 이미 유레아플라즈마란 균이 검출된 것으로 보이므로 그에 맞는 약제를 쓰면 될 것입니다.
보통 에리스로마이신계통의 약제를 사용하며 치료에는 1-2주 정도 걸립니다.
즉 유레아플레즈마 감염은 젊은 여성에게 종종 발견되고 여성분에게서 훨씬 더 많은 빈도(약 3배)로 발견이 되며
기본적으로 질염, 방광염, 자궁 내 염증, 골반 내 염증의 원인균이 되고 나아가 불임, 습관성 유산, 주산기 사망 및 신생아 질환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만 의사에 따라 견해가 매우 다릅니다. 임신 중 균이 추출될 경우 그런 검사 자체를 왜 했는지 의아해 하시는 분도 계시고 꼭 치료할 것을 권유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본인의 경우 골반염이 있으시니 꼭 전문의를 찾아가 상담 받으실 것을 권합니다. 
-koh 곰팡이균 현미경 사진 
-ws 검사 트리코모나스 현미경 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