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불자광장
 
 
카페 게시글
학생들을 위한 붓다담마 스크랩 4) 이 `움켜쥐지 않고 집착하지 않음`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습니까?
일 행 추천 0 조회 20 10.12.11 18:13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4) Now suppose you are then asked,

“How is this non-grasping and non-clinging to be put into practice?”

4) 이제, 다음 질문을 받았다고 합시다.

“이 ‘움켜쥐지 않고 집착하지 않음’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습니까?”


IF YOU MEET a person from another country who asks by what means one may practise the essence of Buddhism, you can once again answer by quoting the Buddha. We don’t have to answer with our own ideas. The Buddha explained how to practise in succinct and complete terms. When seeing a visual object, just see it. When hearing a sound with the ear, just hear it. When smelling an odour with the nose, just smell it. When tasting something by way of the tongue, just taste it. When experiencing a tactile sensation by way of the general skin and body sense, just experience that sensation. And when a mental object, such as some defiling thought, arises in the mind, just know it; know that defiling mental object.

불교의 핵심을 실천하는 방법에 대해 외국인이 묻는다면, 붓다께서 하신 말씀을 또 다시 인용하여 대답할 수 있습니다. 각자의 생각으로 대답할 필요가 없습니다. 붓다께서 간결하고 완벽한 용어로 실천방법을 설명하셨습니다. ‘눈을 통해 시각대상을 볼 때는 보기만 하라. 귀를 통해 소리를 들을 때는 듣기만 하라. 코를 통해 냄새를 맡을 때는 냄새 맡기만 하라. 혀를 통해 맛을 볼 때는 맛보기만 하라. 몸을 통해 촉감을 경험할 때는 촉감만 경험하라. 그리고 마음을 통해 오염된 생각과 같은 정신적 대상이 일어날 때는 그 오염된 정신적 대상을 알기만 하라’는 것입니다.


Let us go over it again for those of you who have never heard this before. When seeing, just see! If at all possible, in seeing, just see. When listening, just hear; when smelling an odour, just smell the odour; in tasting, just taste; in detecting a tactile sensation by the way of skin and body, just experience that sensation; and on the arising of a mental object in the mind, just be aware of it. This means that these are not to be added to by the arising of the self-idea. The Buddha taught that if one can practise like this, the “self” will cease to exist; and the non-existence of the “self” is the cessation of suffering (dukkha).

이 말씀을 예전에 전혀 들어보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다시 검토해 봅시다. 볼 때는 보기만 하십시오! 가능한 모든 경우에 볼 때는 보기만 하십시오. 들을 때는 듣기만 하십시오. 냄새 맡을 때는 냄새 맡기만 하십시오. 맛 볼 때는 맛보기만 하십시오. 몸을 통해 촉감을 경험할 때는 촉감만 경험하십시오. 마음에 정신적 대상이 일어날 때는 단지 그것을 알기만 하십시오. 이 실천방법은 ‘자아라는 개념이 일어나 여기에 추가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붓다께서는 사람들이 이와 같이 실천할 수 있다면, ‘자아’가 소멸할 것이며, 자아의 소멸은 괴로움(둑카)의 소멸이라고 가르치셨습니다.


“Viewing an object by way of the eye, just see it.” This needs explaining. When objects make contact with the eye, observe and identify them; know what action has to be taken with whatever is seen. But don’t permit liking or disliking to arise. If you permit the arising of liking, you will desire; if you permit the arising of disliking, you will want to destroy. Thus it is that there are likers and haters. This is what is called “the self”. To go the way of the self is suffering and deception. If an object is seen, let there be intelligence and awareness. Don’t allow your mental defilements to compel you to grasp and cling. Cultivate enough intelligence to know which line of action is right and appropriate. And if no action is required, ignore the object. If some sort of result is wanted from this thing, then proceed, with full awareness and intelligence, not giving birth to the self-idea. In this way you get the results you wanted and no suffering arises. This is a very concise principle of practice, and it should be regarded as a most excellent one.

“눈을 통해 대상을 볼 때는 보기만 하라.” 이 말씀은 설명이 필요합니다. 대상이 눈과 접촉했을 때, 잘 보고 확인하십시오. 무엇이 보이더라도 그에 따라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 것인지 아십시오. 그러나 좋아함과 싫어함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십시오. 좋아함이 일어나면 가지려고 할 것입니다. 싫어함이 일어나면 없애려고 할 것입니다. 그래서 거기에는 좋아하는 자와 싫어하는 자가 있습니다. 이것을 ‘자아’라고 부릅니다. 자아의 길로 가면 고(괴로움)와 현혹(기만)이 있습니다. 대상이 보이면, 이해하고 알아차리십시오. 정신적 오염원에 의해 움켜쥐고 집착함에 이르도록 나두지 마십시오. 어떻게 행동해야 바르고 적절한지 알도록 지혜(이해력)를 충분히 계발하십시오. 어떠한 행동도 필요하지 않으면 대상을 무시하십시오. 보이는 사물에서 어떤 종류의 결과가 기대된다면, 자아개념이 일어나게 하지 말고 충분한 알아차림과 지혜(이해력)로 진행하십시오. 이 방법으로, 기대되는 결과를 고(괴로움)의 일어남이 없이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아주 간결한 실천 원리입니다. 이 방법을 가장 탁월한 것으로 여기십시오.


The Buddha taught: When seeing, just see. When hearing, just hear. When smelling an odour, just smell it. When tasting, just taste. When experiencing a tactile sensation, just experience it. When sensing a mental object, just sense it. Let things stop right there and insight will function automatically. Take the course that is right and fitting. Don’t give birth to “the liker” or “the hater”, and so to the desire to act in accordance with that liking or disliking, which is the arising of selfhood. Such a mind is turbulent, it is not free, it functions without any insight at all. This is what the Buddha taught.

붓다께서는, 볼 때는 보기만 하고, 들을 때는 듣기만 하고, 냄새 맡을 때는 냄새 맡기만 하고, 맛볼 때는 맛보기만 하고, 촉감을 경험할 때는 촉감을 경험하기만 하고, 정신적 대상을 지각할 때는 지각하기만 하라고 가르치셨습니다. 접촉하여 경험할 때 바로 거기에서 멈추면, 통찰력이 자동적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올바르고 알맞은 길을 취하십시오. 좋아하는 자와 싫어하는 자가 태어나지 않게 하십시오. 좋아함과 싫어함에 따라 행동하는 욕망에 따르면 자아가 생깁니다(태어납니다). 그 마음(자아가 생긴 마음)은 소란스러우며 자유롭지 못합니다. 그 마음에서는 통찰력이 전혀 작용하지 않습니다. 붓다께서는 이것을 가르치셨습니다.


Why, then, didn’t we mention morality, concentration, insight, merit-making, or alms-giving in connection with the most fruitful practice? These are helpful conditions, but they are not the heart of Dhamma, not the essential matter. We make merit, give alms, observe morality, develop concentration, and gain insight in order to become stable persons. When seeing, just to see; when hearing, just to hear. Achieving this, we become stable people. We have stability, unshakeability, and equilibrium. Although objects of every kind make contact with us in every way and by every sensory route, self does not arise. Merit-making and alms-giving are means for getting rid of self. Observing morality is a process by which we gain mastery over self, as is concentration practice. Acquiring insight serves to destroy self. Here we are not speaking of several different matters; we are speaking of one urgent everyday matter. Our eyes see this and that, our ears hear this and that, our nose smells odours, and so on for all six sense channels. We have to stand on guard, keeping a constant watch at the entrances of the six channels. This single practice covers all practices. It is the very essence of Dhamma practice. If you meet a person from another country who asks how to practise, answer in this way.

그러면 왜 가장 효과적인 실천과 관련된, 계율 지키기, 집중력 기르기, 통찰력 계발하기, 공덕 짓기, 보시하기는 언급하지 않을까요? 이것들은 도움이 되는 조건들이지만, 담마의 핵심이 아니고, 본질적인 문제가 아닙니다. 사람들은 안정된 사람이 되기 위해 공덕을 짓고, 보시를 하고, 계를 지키고, 집중력을 기르고, 통찰력을 계발합니다. 볼 때는 보기만 하십시오. 들을 때는 듣기만 하십시오. 이것을 이루면 안정된 사람이 됩니다. 안정되고 흔들리지 않으며 균형 잡힌 사람이 됩니다. 비록 모든 방향과 모든 감각통로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대상이 접촉되지만 자아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공덕을 짓고 보시를 하는 것은 자아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계를 지키는 것은 그것에 의해 자아를 지배하는 과정입니다. 집중력을 기르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통찰을 익히면 자아를 부수는 것에 큰 도움이 됩니다. 여기서는 여러 가지 다른 문제를 말하지 않습니다. 하나의 절박한 일상적인 일만 말합니다. 눈은 이것저것을 보고 귀는 이것저것을 들으며 코는 여러 가지 냄새를 맡는 등 여섯 가지 감각통로를 통한 일만 말합니다. 여섯 통로의 입구를 부단히 바라보면서 경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 한 가지 실천만 하면 모든 실천을 포함합니다. 이 한 가지 실천은 담마의 가장 근본적인 실천입니다. 외국인이 담마를 실천하는 방법을 묻는다면 위와 같이 대답하십시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