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은(素隱) 박홍규(朴洪奎, 1919-1994) 년표
1919 6월1일 광주 서창면 서창리에서 박하정과 송계남의 3남1녀 중 2남으로 태어났다.
19?? 광주 서방소학교(수창초등학교)
19?? 광주 서 중학교, “일본은 지금 벚꽃이 피듯이 흥하고 있지만, 바로 그 벚꽃이 지듯이 한꺼번에 망하고 말 것이다”라고 말하여 정학들 당했다고 한다.
1934 서울 중앙중학교, [1921년 4월 1일: 사립중앙고등보통학교(약칭 중앙고보)로 개칭 - 1938년 4월 1일: 중앙중학교로 개칭 - 중앙고보에 다닌 셈이다.(-1937)]
1937(열여덟) 4월 일본 와세다대학 제1고등학교[대학의 예과], 일본 아테네-프랑세즈 불어과 수학(2년)
1939(스물하나) 4월 일본 상지대 독어과 수학(2년)
1940(스물둘) 4월 와세다 대학 법학부에 입학.
1941(스물둘) 와세다 대학 철학과에 입학하여 졸업했다.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에 관한 졸업논문을 썼다고 알려져 있다.
1941년 4월 아테네-프랑세즈의 희랍어과와 라틴어과에서 수학(3년 7개월)
1943(스물넷) 8월 와세다대학(早稲田大学) 철학과 졸업.
1943 9월 와세다 대학 법학과 연구실 조교, 그로티우스의 “전쟁과 평화의 법” 번역팀에 합류 - [일우정웅(一又正雄) 一又正雄訳『戦争と平和の法』巌松堂、昭和15年.]
1945(스물여섯) 도쿄 대공습(東京大空襲, Bombing of Tokyo) 제2차 세계 대전이 막바지, 1945년 3월 10일 미군이 수도인 도쿄와 그 주변에 대량 소이탄을 투하한 사건. .
1945(스물여섯) 2월 경성치과대학 불어 강사. [2월인지(최화) 8월인지(강의록)]
1945년 08 15 조선 일제로부터 해방
1946(스물일곱) 10월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강사.
1948(스물아홉)년 1월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불어과 조교수.
데카르트의 방법서설(번역), 대성출판사, 1948.
1949(서른) 19세의 현영오와 결혼
1950년 06 25 남북전쟁. 서울에 남아 있다가 1.4 후퇴로 광주를 거쳐 부산으로 피난.
[1950, 11월 첫딸 혜영, 1953, 10월 아들 종면, 1955. 2월 셋째 선영.]
1951 일본 巖松堂書店(암송당서점)에서 1951년 와세다 대학 법학 연구실의 一又正雄(일우정웅)교수 번역으로 간행된 전쟁과 평화의 법 전3권이 당시 법학연구실 조교였던 박홍규선생에 의해 일차 번역된 것으로 一又(일우) 교수의 역자 서문에 기록되어 있음.
1954(서른다섯) 서울대 문리대 불어과 부교수.
1955(서른여섯) 1월 서울대 문리대 철학과 교수 1955(서른여섯)년부터 같은 대학교의 철학과 교수로 활동했다.
1959(마흔) 「고대철학과 근대철학」, 대학신문 276(1959. 11. 23.); 277(1959. 11. 30.); 278(1959. 12. 7.) 각 제3면.
1967(마흔여덟) 「서양철학 사상: 서장, 제1부 희랍철학, 제2부 기독교 세계에 있어서의 철학」, 철학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7, 329-412쪽
[1972년 8월 3일 긴급조치, 즉 사채동결 조치로 사채 놀이도 할 수 없었다.]
1975(쉰여섯) 3월 서울대 인문대 철학과 교수
「Bergson에 있어서의 근원적 자유」, 철학연구 10, 41-57쪽
1976(쉰일곱) 「Protagoras편에 대한 분석(1)」, 철학연구 11, 1976, 1-23쪽.
1977(쉰여덟) 「플라톤의 대화록 Sophist편의 분석(1)」, 철학연구 12, 1977, 1-21쪽.
1978(쉰아홉) 「Platon의 대화편 Euthydemos의 분석」, 인문논총 3, 1978, 113-140쪽: 문제를 찾아서, 종로서적, 1980, 211-246쪽 재수록.
1980 「희랍철학 소고」, 인문논총 5, 1980, 3-20쪽: 희랍철학연구, 종로서적, 1988, 5-25쪽에 재수록.
1981 「대학원 교육에 있어서의 희랍 철학 교과과목의 연구」(연구보고서), 1981, 조판 인쇄본.
1982 「Timaios편의 <필연>에 대한 Archer-Hind의 견해를 음미함」, 인문논총 8, 1982, 87-101쪽
1984(예순다섯) 서울대 정년 퇴임: 평생 공부만 했으나 남긴 글은 논문 7편뿐이었다.
「고별 강연」(1984년 6월 15일)({박홍규 전집 2: 형이상학강의 1}, 1995, 민음사, 7-55).
1985(예순 여섯) 5월. 필연(anankê, ἀνάγκη) / 박홍규, 형이상학 강의 1: 박홍규전집 2, 민음사, 2007(1995) pp. 56-93(P. 524). - 1985년 5월 11일 강의(녹음).
1986(예순일곱) 한국서양고전학회 창립, 이사 역임
1986 06 06 자기 운동 I: 파이드로스, 245c-246a. / 형이상학 강의1: 박홍규전집 2, 민음사, 2007(1995) pp. 94-129(P. 524). - 1986년 6월 6일 강의(녹음),
1986 06 21 자기 운동 II: 파이드로스, 245c-246a. / 형이상학 강의 1: 박홍규전집 2, 민음사, 2007(1995) pp. 130-162(P. 524). - 1986년 6월 21일 강의(녹음),
1986 12. 인식과 존재: 테아이테토스편 / in 인식과 존재: 테아이테토스편과 소피스트편. / 박홍규, 형이상학 강의1: 박홍규전집2, 민음사, 2007(1995) pp. 176-247(P. 524). - 1986년 12월 28일 강의(녹음),
1986 12. 인식과 존재: {테아이테토스편과} 소피스트편. / 형이상학 강의1: 박홍규전집2, 민음사, 2007(1995) pp. 176-247(P. 524). - 1986년 12월 28일 강의(녹음),
1987 06. 방황하는 원인(planômenê aitia): 티마이오스(Timée), 47e-48c. / 형이상학 강의 1: 박홍규전집 2, 민음사, 2007(1995) pp. 248-299(P. 524). - 1987년 6월 28일 강의(녹음),
1987 11. 앎의 개념. / 형이상학 강의1: 박홍규전집2, 민음사, 2007(1995) pp. 300-348(P. 524). - 1987년 11월 12일 강의(녹음),
1989 12. 플라톤과 허무주의 / 형이상학 강의2: 박홍규전집3, 민음사, 2004 pp. 135-167. (P. 467) - 1989. 12.
1990 06. 플라톤과 전쟁. / 형이상학 강의2: 박홍규전집3, 민음사, 2004, pp. 168-224. 1990년 6월 17일 강의,
1990 12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 / 형이상학 강의2: 박홍규전집3, 민음사, 2004, pp. 225-252. (P. 467). - 1990. 12. 2.
1991 06 퓌시스(Physis) I. / 형이상학 강의2: 박홍규전집3, 민음사, 2004, pp. 253-276. (P. 467). - 1991. 06 24.
1991 12 퓌시스(Physis) II. / 형이상학 강의2: 박홍규전집3, 민음사, 2004, pp. 277-314. (P. 467) - 1991. 12. 15 .
1994(일흔다섯)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별세. 조사는 윤구병이 썼다. 장지는 여주군 점동면 남한강 공원묘지 이다.
1995년 3월 묘소에 추모비를 세우다. 묘비(敎授忠州朴公洪奎之墓)
“素隱 朴洪奎先生 追慕碑”
- (앞면) “자유의 의미는 자유로 인하여 사물의 존재가 확보되는 데 있으므로 본질론적인 이장에서 자유의 가치는 본질의 진상 즉 모든 타자에 대한 영원한 무감동에서 성립하나 생명의 입장에서 진정한 자유는 끊임없는 자발성으로 타성의 지배를 뚫고 모든 사물과 관계맺음 속으로 들어가는 데 성립한다.”
- (뒷면) “소은 선생은 한국현대철학사 초창기에 철학에 입문하신 이래 서양철학의 중심을 꿰뚫고 있는 그리스 철학의 존재와 존재와 생성에 관한 형이상학적 문제를 평생 탐문해 오시면서 특히 플라톤과 베르그송의 철학에 대한 심오한 학문적 통찰과 그 학파를 이룩하신 우리나라 서양고대철학의 유일무이한 태두이시며 그 도정에서 세속의 이름 하나 드러냄 없이 오직 연구와 가르침 외길만 걸어오신 대의대덕의 학자이자 스승이시다. 다행이 그 일부가 제자들에 의해 녹취 정리되어 책으로 전해질 선생의 그 큰 가르침은 먼 훗날 선생의 학덕을 기리는 이 비석조차 한갓된 먼지로 화할지언정 한국철학사의 큰 족적으로 보존되어 언제나 당대를 일깨우는 소중한 철학적 유산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Xρή φάναι τουμον σώμα θάπτειν. [“내 몸을 묻는다고 말해야 한다”(파이돈, 115e). 나 자신이나 내 영혼이 아닌 몸만이 묻힌다는 뜻.]
1995년 3월 제자 일동
박전규 박종현 김완수 이창대 이태수 윤구병 김남두 양문흠 손동현 남경희 송영진 기종석 박희영 이정호 조인래 김내균 박홍태 최우원 염수균 박윤호 최정식 유종렬 이정우 우은주 김인곤 강상진 이경직
박홍규 전집: 전5권으로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1995 박홍규 전집1권, 희랍철학 논고, 1995, 민음사.
1995 박홍규 전집2권, 형이상학 강의1, 1995, 민음사.
2004 박홍규 전집3권, 형이상학 강의2, 2004, 민음사.
2004 박홍규 전집4권, 플라톤 후기철학, 2004, 민음사.
2007 박홍규 전집5권, 베르그송의 창조적 진화 강독, 2007, 민음사.
#
1893 현상윤(玄相允, 1893-1950) 호는 소성(小星), 기당(幾堂), 평북 정주, 일제 강점기와 한국의 교육인, 철학자. 일본 와세다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철학석사, 중앙고등보통학교 교사(1918) 교장, 고려대학교 초대 총장, 일제말 일제부역. / 박홍규의 학교 스승.
1934 박종현(朴琮炫, 1934-) 경남 남해, 서울대학교 문리대 철학과 대학원(석사)을 졸업, 성균관대 교수. 플라톤 저작 거의 전부 번역과 주를 다셨다.
1935 박전규(朴全圭, 1935-) 전북대학교 교수. /1966서울대 석사, 루방대학 1968, 1979 University of Paris I Pantheon-Sorbonne. 토마스 아퀴나스와 아리스토텔레스 전공.
[김우창(金禹昌, 1937-) 전남 함평, 서울대 문리대 정치학과에서 영문학과로, 영문학자, 문학평론. 박홍규와 라틴어 강독 같이 함]
1941 김완수(金完洙, 1941-) 1965년 서울대 철학과, 동 대학 석사·박사과정 수료. 그리스 아테네대학교 고전철학대학 졸업. 1980년 아테네대 서양고전철학 박사. 서울교육대 윤리교육과 교수를 거쳐,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 「그리스 고대·중세·현대 원어 : 플라톤의 이데아론의 연구」,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 개념을 중심으로 본 존재의 문제」.
1941 이창대(李昌大, 1941-) 인하대 명예교수 서양고전철학
1943 윤구병(尹九炳, 1943-) 전남 함평 출생, 변산공동체, 보리출판사 대표. 1995년-1996년 서울대학교 교환교수 1981년-1995년 충북대학교 철학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 1975년-1977년 뿌리깊은나무 초대 편집장, 편집주간. 있음과없음: 윤구병의존재론강의(2003), 철학 다시 쓴다
1944 양문흠(梁文欽, 1944-) 제주, 전 교수 출생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 전 동국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교수
1944 이태수(李泰秀, 1944-) 인천, 괴팅겐 게오르크아우구스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1947 김남두(金南斗, 1947-) 서울대학교대학원 소속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1947 김진성(金振聲, 1947-1984) “베르그송 연구”(문학과 지성사, 1985) 1980년 프랑스 몽펠리에 대학에서 <베르그송 철학에서 생명의 무관심과 주의(Desintéressement et attention à la vie dans la philosophie de Bergson>로 박사학위.
1947 손동현(孫東鉉, 1947-) 성균관대 교수, 박홍규 강의 수강.
1949 기종석(奇宗錫, 1949-) 서울대학교대학원 소속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교수
1949 남경희(南京熙, 1949-) 이화여대 교수.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편과 [소피스트]편에서 로고스, 인식, 그리고 형상(Logos, Knowledge, and Forms in Plato's Theaetetus and Sophist), 1982,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Woodruff.>
1949 박홍태(朴洪太 1949-) 동덕여자대학교 교수, 석사 서울대. 플라톤과 소크라테스 논문.
1950 송영진(宋榮鎭, 1950-)은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벨기에 ... 현재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1950 김내균(金來均, 1950-) 숭실대 학사, 서울대 석사, 서양고대철학.
1952 박희영(1952-) 대전고,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학력 파리소르본느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 경력 서양고전철학회 회장,
1952 이정호(李政浩, 1952) 서울대 박사과정 수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정암학당 이사장, 한국철학사사연구회 이사 역임
1953 조인래(趙仁來, 1953-) 서울대 석사 <1989, Johns Hopkins Univ. [무기명]>
1955 최우원(崔祐源, 1955-) 부산대교수, 1993, University of Paris I Pantheon-Sorbonne
1956 박윤호(1956-2003) 경남대 교수, 희랍 고전 철학,
[1956 최승환(1956-) 76학번 철학과, 경희대학교 법학과 교수]
1957 염수균(廉秀均, 1957-2014) 조선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철학과 교수
1958 최정식(崔晶植, 1958-) 필명 최화. 파리대학대학원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교수
1959 이정우(1959-) 서울대학교 섬유고분자공학 학사 「미셸 푸코의 담론 공간 개념과 주체의 문제(Le concept de l'espace du discours et le probleme du sujet」(1994, 02)
1959 김인곤(金寅坤, 1959-) 정암학당 당장 지냄.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편 연구, 1995, 서울대, 김남두>
1960 김경희(1960-) 이화여대, 서울대 석박사, 조직 신학, 백석대 교수, <아우구스티누스의 언어-기호 이론 연구, 2002, 서울대, 이태수.>
1961 강대진(1961-) 서울대, 홍익대 강사, <호메로스 <일리아스>의 전투장면의 구조, 2001, 서울대, 이태수>
1962 장영란(張英蘭, 1962-) 충남대, 외대석박사, 외대교수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이론, 1997, 외대, 박희영.>
1963 손윤락(1963-) 외대 서울대 석사, 동국대교수 <Hyle au seuil de l'ontologie. Une recherche sur l'Etre et la matiere chez Aristote(존재론의 문턱에 선 휠레(hyle).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존재와 질료에 관한 연구), 파리4대학, 2007, Gilbert Romeyer-Dherbey >
1963 김기영(1963-) 서울대, <Studien zu den Diptychondramen des Sophokles: "Aias", "Trachiniae", "Antigone"(소포클레스의 양분구성 드라마 연구: <아이아스>, <트라키스의 여인들>, <안티고네>), 2006, Freie Univ. Berlin, Bernd Seidensticker.>
1964 이경직(李景職, 1964-) 서울대 박사 수료, 교회론, 백석대 교수, <Der Begriff des Raumes im Zusammenhang mit der Naturphilosophie und Metaphysik in Platons(플라툰의 공간개념. 티마이오스편에 나타난 형이상학과 자연철학에 대한 연구), Univ. Konstanz(독일), Juergen Mittelstrass.>
1965 강상진(姜相溱, 1965) 서울대 철학과, 독일 프라이부르크대, 서양고중세철학, 서울대 교수
1965 이창우(李昌雨, 1965-) 카톨릭대학 교수, <오이케이오시스(οἰκείωσις, oikeiosis): 스토아 윤리학의 자연철학적 토대>
1965 김헌(金獻, 1965-) 서울대 박사 수료, <‘Logoi devant la foule' : La rhetorique et la poetique selon Aristote(대중 앞에 선 로고스 :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과 시학), 2004, Univ. de Strasbourg II (Marc Bloch), Laurent Pernot>
1966 강철웅(姜哲雄, 1966-) 강릉원주대학교, 서울대 학위 <파르메니데스에서 진리와 독사(Doxa): 세 텍스트 부분의 상호 연관에 주목한 파르메니데스 단편 해석, 2003, 서울대, 김남두>
1966 김진성(金振成 1966-) 동덕여대 강사, <아리스토텔레스의 모순율에 관한 연구: 형이상학 제 4권(Γ)을 중심으로, 1991, 서울대, 이태수>
1967 김대오(金大午, 1967-) 한신대교수 <플라톤의 후기 변증술 연구, 1996, 서울대, 이태수>
1968 강성훈(姜聖勳, 1968-) 서울대 철학과 미국 프린스턴 대학 박사, 고대철학 플라톤, 인재대를 거쳐 서울대 교수.
1969 전헌상(田憲尙, 1969-) 서울대, 서강대 교수, <Wish, Deliberation, and Action: A Study of Aristotle's Moral Psychology(소망, 숙고, 그리고 행위: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심리학 연구) 2004, Harvard University, Gisela Striker.>
1971 김혜경(1971-) [비공개] 서울대. 인제대 교수, 서울대 철학박사.
1972 한경자(韓慶子, 1972-) 서울대, 서양고대철학(헬레니즘철학, 스토아철학), 서울대 학위
1973 양호영(1973-) [비공개] 서울대, 시간강사 서양고대철학 (Philosophy of Cicero)
1975 이종환(李宗煥 1975-) 서울대 석사, 서울시립대 교수 <The Unity of the Philebus: Continuity in Plato`s Philosophy, 2013 Emory Univ. Richard Patterson>
2000 정암학당, 서양고대철학을 전공하는 학자들을 중심으로 2000년 3월 임의학술단체로 출범하였다. 플라톤 전집 완간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1 최화, 박홍규의 철학.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2011,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박홍규 형이상학의 세계: 플라톤과 베르그송(2015) (이태수, 윤구병, 송영진, 박희영, 이정호, 염수균, 류종렬, 김재홍, 이정우, 최화.) 도서출판 길, 2015, P. 310.
2019 박홍규 탄생 100주년 기념 논문집 준비 – 책임 이정호.
(3:11, 52PLG) (5:07, 52PLIJ) (6:23, 52RKE)
#
1952 한석환(1952-) 숭실대 명예교수, 아리스토텔레스 전공.
1955 김윤동(金潤東 1955-) 경북대교수 서양 고전 철학
1957 김재홍(金在洪 1957-) 숭실대, 아리스토텔레스전공
1958 이기백(李基伯, 1958-) 성균관대, 정함학당 당장을 지내다. <<필레보스>편을 통해 본 플라톤의 혼화사상, 1995, 성균관대, 박종현.>
1960 박영희(朴榮熙, 1960-) 「교사로서의 소크라테스 연구: 고대 그리스의 교육적 이상(A Study on Socrates as a Teacher: The Educational Ideal in Ancient Greece)」(2001, 서울대 사범대, 김안중)
1962 조대호(1962-) 연세대 서양고전철학, 아리스토텔레스전공,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 Ludwigs Univ. Freiburg) 박사.
1962 이상인(1962-) [연세대 교수, 독일 마르부르크대 철학박사. 서양고대철학] <Anamnesis im Menon. Platons Ueberlegungen zu Moeglichkeit und Methode eines den Ideen gemaessen Wissenserwerbes(<메논>에서의 상기. 형상에 따른 지식매개의 가능성과 방법에 관한 플라톤의 고찰), 1997, Philipps - Univ. Marburg, ArbogastSchmitt>
1963 손윤락(孫潤洛 1963) 경북 경주, 한국외대 스페인어과, 같은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플라톤 연구로, 서울대 서양고전학 협동과정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로 각각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프랑스 파리4대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론과 자연철학에 관한 연구로 박사.
1964 유원기(兪原基, 1964-) 성균관대, 계명대 교수, <Aristotle on Self-Motion, 1999, Univ. of Bristol, C.J.F. Williams, T. Johansen, A. Pyle>
1964 정준영(鄭濬英, 1964-) 성균관대 <<테아이테토스>편에서 논의된 인식의 문제:지각, 판단, 로고스, 1999, 성균관대, 박종현>
1965 김주일(金周一, 1965-) 성균관대 <파르메니데스 철학에 대한 플라톤의 수용과 비판, 2002, 성균관대, 박종현>
1965 김헌(金獻, 1965-) 서울 출생, 서울대 불어교육과, 동대학 철학과 대학원에서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편 연구로 석사, 협동과정 서양고전학과에서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연구로 석사,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수사학] 연구로 박사.
1968 안재원(1968-) 비공개, [서울대HK교수, 독일 괴팅겐대 문학박사. 고전문헌학]
1968 송대현(宋大鉉, 1968-) 성균관대 석사 파리1대학 박사 <La critique par Aristote du non-etre chez Platon, 2006, University of Paris I Pantheon-Sorbonne, Luc Brisson>
1969 이두희(李斗熙, 1969-) 서울대 독문과, 서울대 석사, [대한성서공회 번역실장, 철학박사. 성서신학, 서양고전학 <Luke-Acts and 'Tragic History', 2009, Graduate Theological Union, David Balch>
1970 김유석(金裕錫 1970) 서울태생, 숭실대 철학과 파리1대학
1970 유혁(兪爀 1970-) [영국 더럼대 박사과정수료. 서양고대철학] <Self-Knowledge in Plato's CHARMIDES, 2014, Univ. of Durham(영국) Christopher J. Rowe>
1970 이영환(李永煥, 1970-) [이화여대 교수, 미국 프린스턴대 철학박사. 서양고대철학] <Aristotle and Determinism(아리스토텔레스와 결정론), 2009, Princeton Univ. John Cooper.>
1971 송유레(宋유레, 1971-) 경희대 교수, 플로티노스 전공, <Die Ethik der Sorge bei Plotin,: 플로티누스의 돌봄의 윤리학, 2008, University of Hamburg, Dorothea Frede>
1971 성중모(成仲模, 1971-) 서울시립대 법학 <[미기재] 2010, University of Bonn, Martin Josef Schermaier>
1971 유재민(兪在玟, 1971-) <[미기재] 2014, 서울대, 강상진> [가톨릭관동대 강의전담교수, 서울대 철학박사, 서양고대철학]
1973 장미성(張美星, 1973-) 숭실대 강사 [미국 뉴욕주립대(버팔로) 철학박사. 서양고대철학] <Aristotle's Doctrine of the Mean, 2009, New York at Buffalo, Jiyan Yu>
1974 이준석(李濬碩 1974-)[한국방송통신대 교수, 스위스 바젤대 문학박사, 그리스 서사시] <Studies in the Telemachy(텔레마키아 연구), 2015, 스위스 Universitaet Basel, Rudolf Wachter.>
1975 이선주(1975-) 서울대 박사과정 수료 [서울대 고전학협동과정 박사과정 수료. 서양고전학]
1976 이준엽 1976- [영국 더럼대 박사과정수료, 서양고대철학]
1976 이윤철(李允哲 1976-) 이윤철은 충북대 철학과, 서울대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을 마쳤다. 영국 더럼 대학교 고전학과에서 「프로타고라스 객관주의 연구」A Study on Protagorean Objectivism로 박사학위(고대철학전공)를 취득했다.
1976 오지은(吳知恩, 1976-) 오지은[부산외국어대 교수, 고려대 철학박사, 서양고대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자기 운동 개념에 관한 연구, 2013, 고려대, 손병석.>
1977 장시은(張詩恩, 1977-) [서울대 문학박사, 서양고전학, 그리스 역사] <투퀴디데스의 『역사』에서의 연설문 연구, 2016, 서울대, 김덕수>
1978 김수진(金修眞, 1978-)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와 형이상학적 근거의 탐구 Platons Parmenides und eine Untersuchung des metaphysischen Grundes 쾰른대학교 201902 Christoph Helmig>
1979 허민준(許珉準, 1979-) <포르피리우스의 이사고게에 대한 보에티우스의 제 1차 주석 : 서문, 번역, 해설(Le premier commentaire de Boece a l'Isagoge de Porphyre : introduction, traduction et commentaire), 2013, 파리4대학 carlos levy>
1981 임성진(林成眞, 1981-)[서울대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서양고대철학]
(6:22, 52RKE) (8:09, 52RKG)
첫댓글 박홍규 선생님 태어나신지 100년되는 기념으로 - 그리스 고전 철학과 연관 속에서 - 철학아카데미에서 강의 첫시간에 생애와 작품들 소개 등, 그리고 직접 영향을 입은 학자들 그리고 그 학자들의 후학들을 정리해 본 것이다. 우리나라 고대 그리스철학의 현 상황을 그려 볼 수 있을 것이다.
χρή και φάναι τουμον σώμα θάπτειν
“내 몸을 묻는다고 말해야 한다”(파이돈, 115e). 나 자신이나 내 영혼이 아닌 몸만이 묻힌다는 뜻.
이 문장 바로 앞에, 화장을 하든 매장을 하든 너희들(제자들)이 알아서 하고라는 문장이 있다고 한다.
소크라테스는 신체가 죽고 난뒤에, 신체를 어떻게 하든 그것은 문제거리가 아니라는 의미란다.
그러면 영혼은? 영혼은 묻히지 않는다는 것인데,
- 나는 이점에서 소크라테스의 이뭣꼬라는 물음에서, 그의 관심의 중심에서 "뭣"은 영혼일 것이다.
때와 곳을 말할 수 없고, 그리스적 사유에서 "볼수 없는 것"의 둘이 때(시간)와 곳(공간)이다.
그 둘은 벩송이 학설로보면 움직이는 실체이며, 그 실체가 하나이다. 이 실체가, 말로 표현할 수 있다면 "신"이다.
이런 신관은, 소크라테스, 퀴니코스, 스토아학파, 플로티노스로 이어지면 우주영혼을 누스로 사유하는 계열일 것이다.
계열, 들뢰즈가 "의미의 논리"에서, 봉상스에 부정적으로 이어져 온 다른 한 계열(농상스)을 의미한다.
농상스가 독사이라고 철학사 일반이 말한데 대해, 들뢰즈는 봉상스가 파라독사라고 한다. (57P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