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페이카드는 RFID 기술을 이용한 u-Payment 카드입니다.
단순히 대중교통 지불에만 머물지 않고, "ONE CARD ALL PAY"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그래서, RFID 기술에 대해서 잠깐 언급해 보고자 합니다.
RFID는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앞자입니다.
용어를 굳이 풀자면, 무선주파수 인식기술이라고 할수 있을까요?
<구성요소>를 잠깐 살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좀 쉬울듯 하여, 한페이카드를 예로 들겠습니다.
1. 태그 (한페이카드) : IC칩과 안테나가 내장되어 정보를 제공해 주는 대상

2. 리더기 (버스/도시철도/유통 단말기) : 태그(한페이카드)의 정보를 읽어오고, 각종 시스템과 연결되어 정보를 처리하는 대상

<작동원리>
패러데이 법칙 :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자석을 원형코일내로 움직일때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현상으로
한페이카드 내 감겨져 있는 안테나(코일)이 버스단말기로 가까이 가져가게 되면 전자기 유도법칙에 의해 전류가 흐르고 카드가 활성화 되면서 카드정보를 단말기에서 읽을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즉, 평상시 카드는 소지자의 정보(카드번호나 환승정보 등)을 담고는 있지만, 죽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다가 자기장이 발생되고 있는 단말기로 카드를 가까이 가져가게 되면, 순간적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카드가 활성화가 되고, 그때의 정보를 단말기에서 읽거나 쓰게 되는 겁니다.
이런 과정이 한페이카드의 경우에는 400ms내에 일어나게 되고, 굳이 비교를 하자면 서울 티머니 카드의 경우에는 1000ms내에 일어나게 됩니다. 카드내에 정보가 많이 담기면 담길수록 읽어오는데 시간이 좀 걸리겠죠? (참고 : 1초는 1000ms임)
<활용처>
해당기술이 우리나라에서는 보편적으로 교통카드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활용처는 무궁무진 합니다.
유통분야에서는 이미 시범사업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진행을 했었지만, 바코드를 대체할 차세대 인식기술로 꼽습니다.
운영프로세스는 이렇습니다.
1. 제조품에 바코드 대신 태그를 붙입니다. (해당 태그에는 물품명, 생산년도, 생산자 등등의 정보를 담고 있죠..)
2.사용자는 해당 물건을 구매해서 장바구니에 담습니다.
3.계산하려고 계산대에 오면 출입구에 설치된 리더기에 의해 한개,한개 물품을 찍지 않더라도 자동스캔하여 정보를 동시에 읽어옵니다.
4.사용자는 계산대에 찍힌 금액을 보고, 지불을 합니다.
롯데마트, 홈플러스, 이마트, 월마트 등등에서 이미 시범사업으로 진행을 했습니다. 국내 마트에서는 아직까지 상용화하여
시행하고 있지는 않은데요....왜 그럴까요? 그거는 바코드 만큼 태그 단가가 싸져야 하고, 또 바코드를 태그로 대체함으로 인해 갖춰야 할 시스템 투자비로 ROI에 대한 답이 있어야 상용화 될수 있겠지요?
이외의 활용처에는 물류관리, 항공/선박 접근제어, 이력관리, 도서관 출입관리, 생산관리, 재고관리 등등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와 연계하여 무궁무진하다고 할수 있겠습니다.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관련해서는 농산물 생산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안개가 방문한 강진군 농업기술센터에서도 딸기농장에 u-IT를 구축해 놨더군요..(2012년도에)
작동원리는 이렇습니다.
1. 비닐하우스 내에 센서를 설치 합니다.
2. 해당센서는 온도, 습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3. 작목이 최상으로 성장할 조건들을 설정해 놓습니다. (예를 들면 딸기의 경우 온도 몇도, 습도 몇도)
4. 센서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의해 자동으로 물을 주거나, 환기를 시켜 온도를 조절하거나 습도를 조절하여 최상의 생육조건을 자동으로 갖추게 하여, 사람손을 덜 타게 합니다.
RFID 태그와 센서와의 차이는 태그는 밧데리, 즉 전원이 없지만, 센서들은 밧데리,전원이 있어야 합니다. 그게 가장 큰 차이입니다. 그러다 보니, 센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명이 긴 밧데리 또는 전원을 어떻게 공급해야 하는가가 기술적 이슈입니다.
<한페이카드>
한페이카드는 현재 대중교통 분야는 기본으로 하고, 주차장, 공공수수료, 택시, 아파트 관리비, 마트, 편의점, 제2순환도로, 고속도로, 일반음식점 및 주점, 문방구 등등 활용처를 점점 더 넢히고 있으며, 전국최초 광주광역시를 시범 운영지역으로 모든 결제 인프라가 한페이카드로 될수 있도록 사업을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비가 들기 때문에, 광주광역시 지자체 및 광주광역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사용과 협조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