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40대 여성 30%가 골다공증의 전 단계에 해당 하는
골감소증을 앓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3일 세란병원 검진센터에 따르면 건강한 20~40대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골밀 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30%가 골감소증에 해당됐다.
골감소증이란 골밀도(T값)가 -1.0〜-2.5 사이로, T값이 -2.5 이상인
골다공증의 전 단계에 해당된다.
골감소증은 특별한 증상은 없지만 20~30대의 골감소증은 중년기 골다공증으로
이어지기 쉬우며 특히 출산 전 골감소증은 출산 후 골다공증을 앞당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병원 산부인과 美雌� 과장은 "젊은층에서 골감소증과 골다공증 환자들이
늘 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다이어트와 운동부족 때문"이라며 "
문제는 대부분 여성들이 자신이 골감소증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골감소증은 골다공증으로 진행이 된 후에는 치료가 힘든 만큼 20~40대일 지라도 꾸
준히 검사를 통해 자신의 뼈 상태를 체크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골 감소증 예방법 1) 뼈 관리는 20∼30대부터 보통 골밀도의 수치는 30대에 가장 높아졌다가 그 이후를 기점으로 서서히 줄어드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시기에 뼈를 단단하게 만들어 놓지 않으면 나중에는 두 배 이상
의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잦은 다이어트를 한다거나 뼈가 가늘고 마른 여성들은 그렇지 않
은 여성들에 비해 골 감소증에 걸릴 확률이 4배 정도 높다. 따라서 1∼2년에 한번이라도 꼭
골밀� 검사를 해서 자신의 뼈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적절한 식사와 칼슘이 많
이 함유된 우유나 콩 두유 치즈와 같은 식품들을 꾸준히 섭취하는 것도 건강한 뼈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2) 꾸준히 운동하라! 운동부족은 젊은층 골 감소증의 가장 큰 원인. 뼈는 쓰지 않으면 약해진다. 실제로도 꼼짝
하지 않고 침대에만 누워 있으면 매월 5%의 골소실이 유발된다고 한다. 골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좋은 운동은 체중을 싣는 운동. 조깅이나 에어로빅, 웨이트 트레이닝, 테니스와 같
은 운동이 골 감소증이나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운동이다.
이 운동들은 체중이 부하되고 근육이 강하게 수축될 뿐 아니라 뼈에 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골 감소증을 예방할 수 있다. 골 감소증 진단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이
런 운동들을 통해서 골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일주일에 4∼5일 정도, 20분 이상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해서 30세 전후에 골밀도를 올려놓으면 폐경기 이후 골다공증 예방
에도 유리하다.
3)과도한 다이어트가 주요 원인 젊은층의 골 감소증이 급속도로 증가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바로 과도한 다이어트. 극심한
다이어트로 음식섭취가 부족하면 골다공증이나 골 감소증 위험이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여
성 호르몬은 뼈에서 칼슘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호르몬이
감소하게 되면 뼈에서 칼슘이 쉽게 빠져 나가 골 감소증이나 골다공증의 원인이 된다. 다이
어트를 심하게 해서 장기간 끼니를 거르게 되면 남성호르몬이 늘고 여성호르몬이 감소된다.
이 때문에 뼈의 칼슘이 쉽게 빠져 나가므로 젊은 나이에도 골 감소증이 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무조건 굶기식의 다이어트나 원푸드 다이어트는 절대 금물이다. 또 흡연여성은 비흡연
여성에 비해 골 감소증의 발생 빈도가 2배 이상 높으므로 금연하는 것이 좋다.
출처: Asia`s Latin City, 필리핀 꽃의도시 잠보앙가 원문보기 글쓴이: 섬나라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