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추진 기관은 비행체를 목표 지점까지 도달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추진기관은 로켓 추진기관과 포 발사 추진기관 및 공기 흡입 추진기관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로켓 추진기관은 화학 추진기관과 비화학 추진기관으로, 다시 화학 추진기관은 고체 추진기관, 액체 추진기관, 혼합 추진기관으로 분류된다. 이 중 고체 추진기관은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신뢰성과 저장성이 우수하므로 유도탄의 추진기관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
|
작동원리는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을 응용한 것이며, 밀폐된 공간에서 추진제를 연소시켜 발생한 고압 가스를 노즐을 통해 분출시켜 그 반작용으로 얻은 추진력에 의해 유도탄은 음속 또는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된다. |
|
고체추진기관 <고체 연료 추진제를 적용한 추진기관> |
고체 추진기관은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신뢰성과 저장성이 우수하므로 유도탄의 추진기관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중 장거리 전략 유도탄에는 액체 추진기관이, 전술 유도탄에는 고체 추진기관이 널리 쓰여 왔었으나, 최근에는 중 장거리 유도탄에도 고체 추진기관을 많이 채택하고 있는 추세이다. 구성품은 추진제 충전체와 노즐 조립체로 분류할 수 있다. 충전체에는 연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추진제와 고압 가스에 견디는 연소관, 추진제와 연소관을 접착시키는 라이너, 고온 가스로부터 연소관을 보호하는 인슐레이션, 추진제에 불을 붙이는 점화 장치가 설치된다. 노즐 조립체는 고압 가스에 견디는 노즐 구조체와 고온으로부터 노즐 구조체를 보호하는 노즐 내열재로 구성되며, 때로는 추력 방향을 조종하기 위한 TVC 장치(Thrust Vector Control Device)도 설치하게 된다. |
|
|
고체 추진기관의 핵심 기술 |
내탄도성능은 고체 추진기관의 성능을 설계하는 중요한 핵심 기술이며, 유도탄의 추력과 작동 시간, 총역적, 유도탄의 길이와 직경 등 체계 설계 요구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추진제를 선정하고, 추진제의 그레인 형상과 노즐 내면 형상을 설계하게 된다. 연소실 내에서의 침식 연소와 연소 불안정성 해석 및 추진제의 응력 해석에 의한 노화 특성 해석 등을 통해 최적의 그레인 형상을 설계하며, 노즐 내의 유동 해석을 통해 최적의 노즐 내면 형상을 설계하게 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