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2형식 문형: S + V (불완전 자동사) + C
불완전자동사 : 동사만으로는 완전한 표현이 불가능하므로, 보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
(be, become, get, feel, grow, go, taste, smell, look, seem, turn, sound, keep etc.)
1) 명사보어와 형용사보어
2) become형 동사
become, grow, get, go, come, run, fall, turn 다음에 명사나 형용사가 오면
주격보어로 쓰여서 2형식 문장으로 『∼이 되다』와 같은 불완전 자동사가 됨.
3) remain형 동사
remain, keep, lie, hold, continue 다음에 명사나 형용사가 오면 본래의 뜻이 없어지고
"계속해서 ∼하다, ∼한 상태가 되다" 의 뜻인 2형식 문형이 된다.
4) 지각동사(감각동사) + 형용사
feel, smell, sound, taste 등의 지각동사 다음에 형용사가 오면 2형식 문장이 된다.
5) 기타
6) 유사보어
S + |
live, die |
+ |
명사 보어 : 주어와 equal 형용사 보어 : 주어의 상태, 동작 설명 현재 분사 : 주어의 능동적 동작 과거 분사 : 주어의 수동적 동작 |
marry | |||
go | |||
be born | |||
stand | |||
sit, return |
→ 완전자동사이지만, 다음에 보어가 오면 모두 2형식문장이 됨. (유사보어)
7) 보어의 형식
보어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외에 부사, 구, 절이 되기도 한다.
(사실은 나는 그것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른다; 절이 보어)
(그가 이렇게 된 것은 그 자신의 노력 때문이다; 절이 보어)
3. 3형식 문형: S + V + O (완전타동사)
1) 완전타동사
동작을 받는 목적어가 필요하며, 목적어만으로 표현이 가능한 동사.
(discover, catch, keep, smile, know, excuse etc.)
S |
V |
O |
S |
완전타동사 타동사구 자동사 + 전치사 |
명사, 대명사, 부정사, 동명사, 동족목적어, 재귀대명사 |
2) 동족목적어
자동사 중에서 그 동사와 같은 뜻을 가진 목적어를 취하여 타동사로 변한 것이 있는데,
이때 같은 뜻의 목적어를 동족목적어라고 한다.
최상급 다음에 오는 동족목적어는 생략함.
3) 목적어의 의미
① I dug the ground. (동작의 직접 대상)
② I dug a grave. (동작의 결과)
③ He overeats himself. (재귀 목적어)
④ They love each other. (상호 목적어)
⑤ He wiped off the table. (환유목적어) : the dust on the table의 의미
cf) He wiped off the dust. (동작의 직접 대상)
⑥ He sent me a letter. (방향 간접목적어) = He sent a letter to me.
⑦ He bought me a new bag. (이해 간접목적어) = He bought a new bag for me.
⑧ I envy you your good fortune. (2개의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
- 목적어의 순서를 전치사를 사용해서 바꿀 수 없다.
4) 목적어의 형식
목적어가 되는 것은 명사, 대명사, 명사구, 명사절 등이 있다.
① He gave ma a book. (me:대명사, a book:명사)
② Everybody wishes to succeed in life. (부정사가 목적어)
③ He always avoids making a promise. (동명사가 목적어)
④ I know (that) he is honest. (절이 목적어)
★ 부정사만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
wish, hope, decide, care, choose, determine, pretend, refuse etc.
★ 동명사만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
mind, enjoy, give up, stop, finish, avoid, escape, admit, deny, consider,
practice, risk, miss, postpone, resist, excuse, put off etc.
4. 4형식 문형: S + V + I.O + D.O (수여동사)
1) 수여동사
- 타동사의 일종으로, 어떤 것을 『주고받는』의미를 가진 동사이다.
-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를 필요로 한다.
(teach, lend, read, make, buy, ask, bring, show, give, send, write etc.)
I gave her the book. (4형식) = I gave the book to her. (3형식)
2) 4형식 문장 → 3형식 문장
- 4형식의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의 어순을 적절한 전치사를 사용해 바꾸어 주면 3형식이 된다.
- 이때 사용되는 전치사는 다음과 같다.
to + I.O → pay, bring, hand, deny, sell, send, lend, give...
for + I.O → buy, build, make, get, order...
of + I.O → ask...
on + I.O → play, impose, bestow, confer...
3) 간접목적어를 문미로 보낼 수 없는 동사
envy, save, forgive, pardon 등......
4) 수여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동사
- explain, introduce, announce, confess, describe, prove, suggest, propose 등...
- 위 동사는 4형식으로 쓸 수 없고, 우리말의 I.O에 해당되는 부분은 『to + I.O』의 형태로 부사구와 같이 사용.
5. 5형식 문형: S + V + O + O.C (불완전 타동사)
1) 불완전 타동사 :
목적어와 동시에 목적어를 설명해 주는 목적 보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
(make, elect, find, leave, call, name, keep, appoint etc.)
S |
V |
O |
O.C (목적격 보어) |
S |
V |
O |
+ 명사, 대명사 : 목적어와 equal + 형용사 : 목적어의 상태 설명 + 부정사, 현재분사 : 목적어와의 관계 능동적 + 과거분사 : 목적어와의 관계 수동적 |
① O·C가 명사 또는 대명사
= I believe him (to be) a great scholar. : 5형식
= The author is believed to be she by me : 2형식
주격 보어는 주격을 사용하며, 목적격 보어는 목적격을 사용한다.
② 목적격 보어가 형용사일 때
③ 목적격 보어가 부정사일 때
④ 목적격 보어가 원형 부정사 (지각·사역동사 다음)
S |
지각동사 사역동사 |
O |
O.C (원형부정사) |
S |
see, be hold, observe, hear, notice, look at, listen to, watch, feel |
O |
VR |
let, make, have, bid, help |
VR |
⑤ 목적격 보어가 과거분사
= I had my house built by him.
2) 타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자동사
3)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
4) 공급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