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출산을 제왕절개로 택일해 제왕절개 수술을 성공리에 마치면 과연 신생아의 사주필자가 신생아의 운수와 부모의 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실할까?
여러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2012년도 후반과 2013년도 2014년도에서 신생아의 명조를 무작위로 만들어 보기로 하는데, 가급적 최상의 명식命式과 최악의 명식을 보기로 들 것이니 최상의 명조는 여러분들의 제왕절개를 위한 기준으로 삼아도 좋은 마땅한 본보기가 될 것이다.
만약 출산예정일이 2012년 6월 20일경이라면
임진년壬辰年에 월주가 병오월丙午月로 결정되고, 명식을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 ◯ 丙 壬 |
|
◯ ◯ 丙 壬 |
|
◯ ◯ 午 辰 |
남 |
◯ ◯ 午 辰 |
여 |
|
|
|
|
년간이 임수壬水로 양간陽干이니 남자는 월주 병오丙午에서 순행한다. 여자는 월주 병오에서 역행한다.
순행과 역행의 방법은 십간의 순서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이니, 순행은 월간 병丙에서 시작해 정무기경신임계갑을丁戊己庚辛壬癸甲乙의 순서로 십간의 순으로 전진하면서 운행된다.
역행은 월간 병에서 시작해 을갑계임신경기무정병乙甲癸壬辛庚己戊丁丙의 순서로 십간의 역순으로 후진하면서 운행된다.
또 지지의 순행과 역행의 방법에서 십이지의 순서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이니, 순행은 월지 오午에서 시작에 미신유술해자축인묘진사오未申酉戌亥子丑寅卯辰巳午의 순서로 십이지의 순으로 전진하면서 운행된다.
역행은 월지 오午에서 시작에 사진묘인축자해술유신미오巳辰卯寅丑子亥戌酉申未午의 순서로 십이지의 역순으로 후진하면서 운행된다. 이 방법으로 남녀의 각각 대운을 아래에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월주가 병오월丙午月를 기준으로 남자는 순행하고 여자는 역행한다.
◯ ◯ 丙 壬 |
|
◯ ◯ 丙 壬 |
|
◯ ◯ 午 辰 |
남 |
◯ ◯ 午 辰 |
여 |
乙甲癸壬辛庚己戊丁 |
丁戊己庚辛壬癸甲乙 |
卯寅丑子亥戌酉申未 |
酉戌亥子丑寅卯辰巳 |
남자는 월주 병오丙午에서 순행해 정미 무신 기유 경술의 순서로 순행한다. 여자는 월주 병오에서 역행하니 을사 갑진 계묘 임인의 순서로 역행한다.
여기서 월주가 병오丙午이니 사주팔자의 역학적力學的 관계에서 역량力量을 따지는 방법에 대해서 알고 넘어가야 하는 것이 있는데, 시중에서 신강약을 따지는 방법이 정말 난무하고 있고 심한 경우는 신강약을 따질 필요가 없다고 말하고 강의하는 술가들이 있다.
정말 고수高手에 해당하는 대가大家의 말이라면 필자가 인정할 수도 있는데, 고수가 되기 전까지 선행되어야할 학습과정이 신강약을 따지면서 서서히 고수의 길로 접어들기 때문에 초보자인 때는 반드시 신강약과 신강약에 따른 용신의 적합과 부적합한 관계를 공부해야 하는 것이다.
필자의 수많은 경험상 신강하고 신약한 기준은 월지인 월령月令이 관장한다.
신강한 경우는 월지가 일간을 돕는 인비印比에 해당하면 다시 말해 일간을 돕는 형제나 엄마에 해당하면 신강한 조건을 갖추었는데, 일간을 제외한 7자 중에서 50%의 역량을 갖추었다고 말할 수 있으니 신강과 신약의 중간이라고 판단하면 된다.
여기에다가 일간과 월지를 제외한 6자 가운데에서 다시 1자라도 일간의 인비印比에 해당하면 다시 말해 일간을 돕는 형제나 엄마에 해당하면 신강한 조건을 충족한 것이다.
다시 한 번 더 정리하면 일간이 월지가 인비에 해당하고 다른 나머지 글자에서 1자만 더 인비에 해당하면 신강한 것이 된다.
물론 지지와 천간의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서 그 조건에 변동이 생길 수도 있지만, 그 경우는 조금 더 깊은 노하우가 있어야 되는 부분이니 여기서는 생략한다.
신약한 경우는 월지가 일간의 힘을 빼는 식신食神 상관傷官 재성財星 관살官殺에 해당하면 다시 말해 일간이 돌봐주는 부하나 자식이나 부인이나, 내가 복종하거나 제약을 받는 경찰, 상사, 군대 등등에 해당하면 신약한 조건을 갖추었는데, 일간을 제외한 7자 중에서 일간을 신약하게 만드는 50%의 역량을 월지가 갖추었다고 말할 수 있으니 신강과 신약의 중간이라고 판단하면 된다.
여기에다가 일간과 월지를 제외한 6자 가운데에서 다시 1자라도 일간이 돌봐주는 부하나 자식이나 부인이나, 내가 복종하거나 제약을 받는 경찰, 상사, 군대 등등에 해당하면 신약한 조건을 충족한 것이다.
다시 한 번 더 정리하면 일간이 월지가 식신食神 상관傷官 재성財星 관살官殺에 해당하고 다른 나머지 글자에서 1자만 더 식신食神 상관傷官 재성財星 관살官殺에 해당하면 신약한 것이 된다.
물론 지지와 천간의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서 그 조건에 변동이 생길 수도 있지만, 그 경우는 조금 더 깊은 노하우가 있어야 되는 부분이니 여기서는 생략한다.
그래서 위 병오월丙午月의 사주는 월지 오화午火와 월간 병화丙火가 같은 화기火氣이니 미완성된 사주이지만 화기가 사주팔자에서 가장 세력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신강하게 만들고 싶다면 월지와 같은 비겁比劫인 병정화丙丁火로 일간을 정하거나 무기토戊己土로 정하면 월주가 인성印星에 해당하기 때문에 신강한 사주팔자를 만들 수는 있다.
그러나 남녀 각각의 명조에서 대운상에서 신강약을 보조해 줄 수 있는 운세가 있는가를 살펴야 하는 것이니 대운의 흐름에서 일간을 돕는 인비印比가 많다면 신약하도록 일간을 정해야 하고, 대운의 흐름에서 일간의 힘을 빼는 식상食傷 재성財星 관살官殺이 많다면 신약하도록 일간을 정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대운의 흐름이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에서 15세-45세 사이의 운행이 어떤 오행이 많은가부터 판단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경우의 판단에서 대운은 지지를 위주로 해서 더 많이 참조하고 천간은 지지 다음에 참조하는 것이 운세의 신강약을 쉽게 결정하는 요령이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위 남녀의 사주에서 대운의 흐름을 살피면 남자는 신유술해자축申酉戌亥子丑의 금수金水 운행이고 여자는 을갑묘인축자해乙甲卯寅丑子亥로 목수木水의 운행이다.
남자는 화세火勢가 명국을 장악했는데, 금수金水의 운세이고 여자도 화세가 명국을 장악했는데, 목수木水의 운세이니 제일 먼저 일간을 어떻게 정하는 것이 운수의 흐름을 활용하는 것이 되겠는가를 판단해야 한다.
남자는 월주 병오화丙午火가 일간을 돕는 것으로 만들면 신왕해져서 금수金水를 용신하게 만들면 대운의 흐름을 잘 활용하게 되고, 여자는 목수의 흐름이니 월주 병오화와 일간을 관계를 결정하는 것에 애매한 부분이 발생한다.
먼저 남자의 사주로 자세히 분석해 보자.
남자의 일간을 병정화丙丁火나 무기토戊己土로 결정하게 되면 아래와 같아진다.
◯ 丙 丙 壬 |
|
◯ 戊 丙 壬 |
|
◯ ◯ 午 辰 |
남자 A |
◯ ◯ 午 辰 |
남자 B |
乙甲癸壬辛庚己戊丁 |
乙甲癸壬辛庚己戊丁 |
卯寅丑子亥戌酉申未 |
卯寅丑子亥戌酉申未 |
이 명조에서 A나 B나 둘 다 신강하지만, B 명조에 비해서 A 명조는 지나치게 화세火勢가 강해 년주 임진壬辰과 수화상쟁水火相爭의 상황을 연출하게 될 것이니 대운상의 흐름이 좋을지라도 오히려 B 명조보다 명식의 완성도에 흠결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A 명조의 일간을 정화丁火로 바꾸면 병화보다는 나아지지만, 일간 정화보다 병화丙火가 화기로서는 더 나은 조건이니 형제보다 못한 조건을 선택하기 때문에 정화 또한 결격사유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B 명조인 일간 무토의 명조가 더 나은데,
무토戊土의 경우 월주 병오丙午는 편인偏印에 해당하기 때문에 그래서 일간을 기토己土로 변경하면 아래에 무토와 기토의 명조가 된다.
◯ 戊 丙 壬 |
|
◯ 己 丙 壬 |
|
◯ ◯ 午 辰 |
남 B |
◯ ◯ 午 辰 |
남 c |
乙甲癸壬辛庚己戊丁 |
乙甲癸壬辛庚己戊丁 |
卯寅丑子亥戌酉申未 |
卯寅丑子亥戌酉申未 |
위 B 명조와 C 명조의 차이점은 월주가 똑 같은 병오화 인성이지만 무토는 편인偏印에 해당하고 기토는 정인正印에 해당하기 때문에 일간을 기토己土로 정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상태의 명식 구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 C 명조에서 인성으로 신강하고 년주 임진수壬辰水 재성財星이 일간에 비해서 약하기 때문에 식상食傷인 경신신유금庚辛申酉金과 재성財星인 임계해자수壬癸亥子水를 대운에서 바라게 되는데, 대운의 흐름이 신유경신금申酉庚辛金과 해임자계수亥壬子癸水와 수기를 담고 있는 진축토辰丑土도 용신에 속하는 것이니 약 60년의 대운을 얻고 누릴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일지와 시주를 금수기金水氣로 만들게 되면 사주팔자 내에서 미약한 용신을 강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기일의 시주는 갑자시 을축시 병인시 정묘시 무진시 기사시 경오시 신미시 임신시 계유시 갑술시 을해시로 정할 수 있는데, 그 중 임신시壬申時와 계유신癸酉時가 이 명조의 조건에 가장 합당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아래에 그 명식을 표기하면 아래와 같다.
壬 己 丙 壬 |
|
癸 己 丙 壬 |
|
申 ◯ 午 辰 |
남 C |
酉 ◯ 午 辰 |
남 D |
乙甲癸壬辛庚己戊丁 |
乙甲癸壬辛庚己戊丁 |
卯寅丑子亥戌酉申未 |
卯寅丑子亥戌酉申未 |
위 C 명조와 D 명조의 차이점 출생시간이 약 2시간 정도의 차이인데, 양력 2012년 6월7일 음력 4월18일이 기해일己亥日이고, 양력 6월 17일 음력 4월28일은 기유일己酉日이며, 양력 6월27일 음력 5월8일은 기미일己未日이다.
이중에서 기미일己未日은 천간지지가 같은 간여지동干與支同으로 지나치게 신왕하기 때문에 제외하고 기해일이나 기유일로 결정하는 되는 것이다. 그래서 완전하게 사주팔자를 완성하면 아래와 같다.
壬 己 丙 壬 |
|
癸 己 丙 壬 |
|
申 酉 午 辰 |
남 C |
酉 亥 午 辰 |
남 D |
乙甲癸壬辛庚己戊丁 |
乙甲癸壬辛庚己戊丁 |
卯寅丑子亥戌酉申未 |
卯寅丑子亥戌酉申未 |
위 C 명조와 D 명조의 차이점은 양임수兩壬水 정재正財와 임계해수壬癸亥水의 정편재正偏財의 혼잡에서 차이점이 있는데, 그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명조를 출산을 정해도 대단히 양호하기 때문에 누구나 출산일 선택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