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기타배우기 - 세하, 세히야, 바레, 하이코드, 바코드 용어 정리
ⓝ 세하(Ceja)는 틀린말!!! 세히야(Cejilla) 라고 해야한다!!! 허병훈 저 즐거운 클래식 기타 8 권 ------------------------------------------------------------ 세히야(바레 Barree[프])는 스페인어로 '기타에서 왼손 검지로 한번에 여러 줄을 누르는 기술' 을 말합니다. 또한 세히야는 까뽀 Capo[스] (카포타스토 Capotasto[이] 현악기의 음역, 조를 놓이는데 사용되는 도구) 를 지칭하는 말로도 사용 됩니다. <그동안 국내에 잘못 사용되어온 세하 Ceja[스] 는 일본식으로 사용된 말로 기타의 세히야 주법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임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세하는 스페인어로 눈썹(eyebrow[영]) 을 뜻하는 단어 입니다.>
--------------------------------------------------------------
세계적인 세하와 세히야에 관한 의견
(아래 글쓴이 : chokukkon)
1.세하,세히야,세후엘라는 같은말로 1934년 도밍고 프라트의 기타아 사전에 언급하고 있음(스페인어판 456페이지 용어정리편 하단) 2,세하,세히야,카포(타스토),바레도 같은 말로 세하(ceja)스페인어의 뜻은 1.눈썹 2. 산에 걸린 구름 3산등성이4.(악기 줄받이(본인주:상현주)로 1984년 호악사 발간 김이배 편저 스페인어 사전(199페이지 하단)에 서술되어 있음 3. 세하의 세분적 용법 6개의 줄을 다 누름-대바레(grand barre) B,C로 표기함 3개정도의 줄을 누름-소바레(Petit barre),세히야,피콜로 바레, 메디아 세하,해프 바레로 구분하고 b,c,1/2 C로 표기함 1989년 세광출판사간 기타사전 (104페이지 상단 일본책 번역판)김금헌,김종만역 배영식 감수 4,상현주(nut)를 스페인어로는 huesco cejilla라고 부름(주:huesco는 뼈의 뜻) 5. 바레barre는 불란서어로 막대기,바,bar를 뜻함 6. 세하는 일본에서만 쓰이는 용어가 아니라 타레가의 학파인 도밍고 프라트가 아르헨티나에서 언급하고 있음
-------------------------------------------------------------------------------------
(아래 글쓴이 : 이인하)
독일, 스페인, 미국 유학을 다녀와 한국에서 활동중인 클래식기타를 다루는 몇몇분의 의견
세히야보다는 세하라는 말을 주로 사용.
유학당시에도 세히야보다는 세하로 주로사용했다고 함
아직 우리나라에(외국은 몰라서~) 음악용어의 정립은 잘 되 있지 않습니다.
학파간에 또한 음악인들의 부족한 국문학적지식으로 혼동도 있고...
어떤 용어에서 "단정"을 짖는 것은 상당히 애매한 듯합니다.
위에 대세는 세하도 클래식기타 용어이다 인 듯하나...
진실(?)은 세하는 클래식기타가 아닐 수 있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언어는 위에서부터 결정을 짖기도 하나 절대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서 형성되기도 합니다.
고로 세하가 눈썹이라는 뜻 이외에 없다!! 라고 한다고 해도 세하는 클래식기타에서 바레를 뜻하는 것이 맞습니다.
왜냐면 전세계적으로 세하를 그렇게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거의 쓰지 않는 쏘니사의 워크맨은 고유명사이나 미니카셋트테이프 플레이어의 대체용어로 네덜란드에서는 인정받았으며, 스템플러(스템프?)는 호치케치라는 고유명사로 더 알려져 있고 실제 그것이 잘 못된 표현은 아닙니다.
단지 억지 일본어의 정화차원으로 호치케치는 잘 못됬다고 한다면 모를까~~~~
물론 현대교육뿐 아니라 음악일반교육에서 일본에서 선진 문물을 자의적 혹은 반강제적으로 받아들어진부분이 많아 정화작업은 해야하지만 호치케치같은 경우 우리일상생활의 쓰임에서 특별히 외국어를 쓸 이유없이 상품이름을 부르게 되었기에 일본의 잔재라고 보여지진 않습니다.
뒷판플라스틱인 오베이션 사에서 나온 픽업 기타라고 부르느니 그냥 비슷하면 오베이션 기타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죠.
어찌됫든 결론은
세하는 틀린말 세히야가 옳은 말이라는 말이 틀린 말일 확률이 무척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쓰는 세하라는 말은 계속 쓰셔도 전혀 무관할 듯합니다.
오히려 그것이 언어체계의 당연한 것일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