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어느 해보다 추운 겨울이였습니다. 눈도 많이 내렸고, 두 뺨을 붉게 만드는 칼바람도 참 매서웠습니다. 지구온난화로 북극 중심부의 온도가 오르면서 영하 50℃를 넘나드는 차가운 북극의 공기가 아래쪽으로 내려온 탓이지요. 강력한 한파로 전력 수요가 연일 최고치를 갱신하면서 급기야 정전 사태까지 벌어졌습니다. 이런 때일수록 집 안에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일이 시급합니다. 카페에서 준비한 친환경 하우징을 위한 작은 노력, 그 첫 번째는 에너지 절약을 위한 ‘단열’입니다. 단열의 기본이 되는 창호와 유리를 소개합니다.
우리 집 에너지의 35%가 창으로 빠져나간다 집 안에서 새어나가는 에너지를 잡으려면 열이 가장 많이 손실되는 곳부터 찾는 게 우선이다. 추운 북쪽 지방으로 갈수록 창의 크기가 점점 작았던 전통 가옥을 생각해보면 쉽게 답을 얻을 수 있다. 문, 벽, 지붕과 바닥, 환기구에 비해 월등히 많은 양의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는 곳은 바로 ‘창’이다. 약 35% 정도의 에너지가 창을 통해 빠져나간다. 집 안에서 창이 차지하는 면적이 가장 넓고, 창 소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유리가 본래 열을 잘 통과시키는 재질이기 때문이다.
벽면의 경우 단열재를 넣거나 더 두껍게 만들어 단열을 강화하는 방법이 있지만 창이나 유리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단열 성능이 뛰어난 기능성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창문을 통한 열 손실을 줄이는 것은 난방 에너지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난방비를 절약해주고,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낮춰 지구의 건강도 지켜준다. 오래된 창호를 새것으로 교체만 해도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실제로 단독주택의 오래된 창호를 교체한 후, 단열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단열성은 233%, 차음성은 7dB(실제 느끼는 효과는 평소보다 1/2 소음 정도)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알루미늄 창호보다는 열전도율이 낮은 PVC 창호가 단열에 더욱 효과적이며, 창틀뿐 아니라 유리 자체도 단열성이 높은 기능성 유리를 선택해야 단열 성능을 배가할 수 있다. 진공 유리는 유리 사이를 진공상태로 유지해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한 열 손실을 최소화한 제품으로 단열성과 방음성이 뛰어나며 일반 복층 유리에 비해 단열 성능이 60% 이상 우수하다. 에너지 절약과 난방비 절감을 위한 ‘단열’, 창호와 유리가 해답이다.
요즘 ‘유리’의 친환경 이야기
2012년부터 창호 에너지 효율 등급제가 실시되는 등 창호와 유리의 단열 성능이 더욱 강화될 예정이다. 최근 개발된 창호 제품은 기본적으로 단열, 방음, 내풍압성 등의 성능이 뛰어나다. 단열 성능 강화로 창틈으로 새는 공기를 완벽하게 차단해 에너지 절약은 물론이고 방음, 미세먼지 유입 차단 효과까지 있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해준다.
단열의 기본이 되는 창호 매해 겨울이 되면 늘 난방비가 걱정이다.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앞으로의 겨울은 더 추워질 것으로 전망되므로 대책이 필요하다. 난방비를 줄이고, 지구를 살리는 방법은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뿐. 창틈으로 빠져나가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우선 ‘단열’에 신경 써야 한다. 열전도율이 낮은 PVC 이중창, 단열성과 밀폐성이 뛰어나다. 단열을 위해 창문을 꼭꼭 닫아 놓았다간 실내 공기의 오염 지수가 증가하고, 공기가 건조해진다.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 사이에 집 안의 모든 창을 열어 30분씩 환기해주는 것이 좋다. 이 시간대는 햇볕이 강해 대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짧은 시간 내에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날씨가 너무 추운 날에는 베란다 바깥 창을 30분간 1cm정도 열어두는 것도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