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오순절 교회개척자들의 모임[오교모] 원문보기 글쓴이: 조해강
지난 목요일 8월 29일 우리 모임에서 나눈 토론 후에 한국교회개혁포럼에서 자료를 찾아 올립니다.
이미 2011년에 이에 관한 활발한 토론이 그 안에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여기에 이승구 교수의 글을 소개하오니 우리들의 이야기에 부족함을 매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더 나은 목회자로 성장할 수 있는 자양분으로 삼을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위키백과사전에서는 이승구 교수를 이렇게 소개합니다:
이승구는 대한민국의 장로교 목사이며 신학교수이다.
2013년 현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1]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복음주의 신학회[2], 한국개혁신학회, 한국장로교신학회에서 학회지 편집
그리고 International Journal of Reformed Theology의 아시아 편집자로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서울 강일동에서 언약교회[1]를 담임하고 있다.
이승구 교수
N. T. Wright의 신학적 기여와 그 문제점
이승구 교수
현존하는 영국 신학자들 가운데 가장 영향력 있고 논란의 중심이 되어 있는 복음주의적 신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성공회(Church of England) 덜햄의 감독(Bishop of Durham)인 톰 라이트(Nicholas Thomas Wright)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1948년 12월 1일에 노떰벌랜드(Northumberland) 모르페뜨(Morpeth) 출생으로 1968년에 옥스포드의 엑스터 컬리쥐(Exeter College)에 입학하여 고전학(Classic)을 공부하고 1971년에 우등으로 문학사 학위를 받고(BA with First Class Honours), 위클리프 홀에서 영국 교회의 사제가 되는 과정을 하여 1973년에는 신학으로 문학사 학위(BA in theology with First Class Honours)를 하고, 1975년에는 석사 학위(MA)를 받고, 옥스퍼드의 멀톤 컬리쥐(Merton College)의 Junior Research Fellow, Junior Chaplain(1975-1977), 그리고 캠브리쥐의 다우닝 컬리쥐(Downing College)의 연구원(Fellow)과 Chaplain을 하면서 옥스퍼드에서 박사 과정을 하여 1981년에 옥스퍼드에서 바울 신학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한 후에, 카나다 맥길 대학교의 신약학 조교수(1981-86), 다시 옥스퍼드 올세스터 컬리쥐(Worcester College)의 연구원(fellow), Tutor, Chaplain, 그리고 옥스퍼드의 신약학 Lecturer를 하고서(1986-1993), 리취필드 대성당(Richfield)의 지방 부감독(Dean, 1994-1999), 웨스트민스터 사원(Westminster Abbey)의 신학자(canon theologian, 2000-2003)로 있다가 2003년에 덜햄의 감독(Bishop of Durham)으로 임직하여 섬기고 있고,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그가 다음 켄터베리 대주교가 되리라고 생각하므로 그는 현재 영국 성공회 신학을 이끌고 가는 매우 중심적 인물 중의 한사람이라고 평가될 수 있다.
톰 라이트는 성경을 신뢰하고 성경에 근거한 작업을 하므로 자유주의적이기보다는 복음주의 신학자로 보는 것이 옳고, 그가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신학적 입장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큰 기여가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톰 라이트의 신학적 기여는 바로 20세기 말과 21세기 초라는 맥락에서 성경을 존중하는 신학적 입장을 분명히 하며 성경신학적인 작업을 하려고 한 것에서 찾아져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런 긍정적 기여 속에 칭의 문제를 비롯한 몇 가지 문제들에 대한 그가 가진 독특한 입장의 표명으로 복음주의 권에서 상당한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복음주의적 이해를 풍성하게 되는 것이 될 수도 있고, 또 어떤 면에서는 오히려 복음주의를 모호하게 하거나 파괴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할 수도 있는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톰 라이트의 복음주의적 기여가 크면 클수록 그의 독특한 입장은 그 자신이 의식하지 않은 채 (아니면 그가 의식하는 것일까?) 복음주의에 큰 파괴력을 지닌 공격이 될 수도 있게 된다는 말이다. 이 발제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독특한 입장을 지닌 톰 라이트의 신학적 기여와 문제점을 개괄적으로 살피는 작업을 해 보기로 한다.
I. N. T. Wright의 신학적 기여
수 없이 많은 다양한 신학적 사조들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서 성경과 복음주의적 입장에 반하는 사조들이 주도적인 20세기 말과 21세기 초라는 역사적 맥락에서 톰 라이트의 신학적 기여로 말할 수 있는 점은 수없이 많이 있다. 그중에서 나는 특히 (1) 성경을 신뢰하는 입장을 분명히 한 점, (2) 성경의 역사성을 믿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점, (3) 구원에서의 하나님의 주도권을 잘 드러낸 점, (4) 성경신학적 작업을 하여 신약과 구약을 항상 연관시키면서 이해하도록 한 점, 그리고 (5) 신약 성경적 하나님 나라 이해에 근거한 신학을 잘 제시하고 있는 점 등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세 가지 복음주의적 기여와 두 가지 성경신학적 기여라고 묶어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1) 성경을 신뢰하는 입장을 분명히 한 점
라이트가 성경을 신뢰하고 있으며 그런 태도를 신학을 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런 점에서 그는 복음주의자이다. 이 점은 부인되어서는 안 되고, 오히려 강조되어야 할 점이다. 그는 자신에 대한 사람들의 비판을 의식하면서 “자신이 심령 깊은 곳으로부터 그리고 평생을 성경에 헌신하고 있으며 오직 성경의 원리에 헌신하고 있다는 것을” 아주 명백하게 말하면서 “교회가 성경을 더 잘 이해하고 그에 따라서 사는 만큼 교회의 예배와 설교와 공동생활이 더 잘 이루어 질 것”이라고 한다. 라이트는 “성경으로 성경 되게 하는” 것에 큰 관심이 있다. 그는 성경이 말하는 바를 매우 중요시한다. 특히 “바울이 실제로 말하는 바”를 중요시하면서 논의해야 하지 않느냐고 여러 곳에서 말한다. 그는 “참된 복음주의자들은 성경에 근거하고 있다”고 말한다.
더구나 라이트는 많은 신약 학자들이 바울의 저작이 아닌 것으로 여기려고 하는 에베소서나 골로새서도 바울의 저작으로 여기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하면서 자신의 논의를 할 정도이다. 물론 그는 이 문제에 모든 것을 걸지는 않고, 다른 가능성을 열어 두면서 논의하고 있다. 그 점이 아쉽기는 하지만 적어도 그는 아주 공공연히 에베소서조차도 바울의 저작으로 여기는 입장에서, 그리고 골로새서를 바울의 것으로 보면서 논의하고 있다는 점은 그가 얼마나 복음주의적인지를 잘 나타내 보여 준다고 여겨진다.
(2) 성경의 역사성을 믿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점
여러 다른 측면에 대해서도 그리하였지만 특히 예수님의 부활의 역사성을 분명히 하고 이에 대한 복음주의적 입장을 확고히 하는 데 라이트는 큰 기여를 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는 “그 누구도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증거들을) 만들어 낼 수 없다”고 말한다. 예수님의 말씀에도 불구하고 그 누구도 부활을 기대 하지 않았었는데, “예수님은 참으로 죽은 자들로부터 살아 나셨다.” 그래서 라이트는 “만일에 (그리스도의 부활)을 제거해 버린다면, 신약 성경 전체와 대부분의 2세기 교부들도 같이 상실하게 될 것이다”고 단언한다. 더구나 기독교가 처음부터 믿어 온 부활은 “공간과 시간을 차지하는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몸(a body in the sense of a physical object occupying apace and time)의 부활”이므로 우리는 부활 때에 옛 자료들(the old material)로부터 창조되었으나 새로운 특성을(new properties) 가지는 그와 같은 변화된 몸(a transformed body)을 가지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아주 분명히 한다. 라이트는 부활에서 우리가 가지게 될 "변화된 신체성"(transformed physicality)을 강조하면서 “transphysicality”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래서 라이트는 부활에 대한 수정주의적 제안들은 모든 설명력을 상실하게 된다고 말한다. 그는 이와 함께 역사와 역사 연구에 대해서 상당한 함의를 지닌 말도 하니 그것은 “과학은 반복될 수 있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고, 역사는 반복되지 않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다”라는 말이다. “역사는 한번, 그리고 유일회적으로 일어난 것들로 그득하다”는 말도 한다.
그런 점에서 라이트가 성경 기사에 충실하여 부활과 승천이 각기 일어난 사건이지 그 둘을 하나로 섞어 낼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매우 분명히 한 것도 성경이 언급하고 있는 각각의 사건들의 역사성을 분명히 한다는 점에서 큰 기여이다. 라이트는 예수님께서 하늘에서도 "철저히 몸을 가진 상태"(in his thoroughly embodied risen state)에 계심을 매우 분명히 말한다.
(3) 구원에서의 하나님의 주도권을 잘 드러낸 점
라이트는 구원에서의 하나님의 주도권을 아주 분명히 강조하고 있다. “신앙 자체가 성령님의 부르심의 첫 열매”라는 라이트의 선언은 인간이 스스로의 힘으로 신앙을 가지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그런 점에서 라이트가 교회는 예수님이 아니고, 성육신의 연장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은 우리 구원에서의 하나님의 주도권을 명확히 하는 일의 한 부분으로 인정받을 만한 것이다.
(4) 성경신학적 작업을 하여 신약과 구약을 항상 연관시키면서 이해하도록 한 점
이는 성경신학자로서의 라이트의 기여라고 할 수 있다. 점점 분과화를 지향해 가는 일이 많은 중에 라이트는 신약을 연구할 때 구약적 배경을 분명히 하는 작업을 하고, 특히 새언약을 아브라함 언약과의 연관성 가운데서 설명해 보려는 큰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라이트는 계속해서 우리의 신학적 작업에서 창조로부터의 역사와 특히 이스라엘의 역사를 측면적인 것(sideline)으로 취급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는 점을 지적한다. 그는 이스라엘의 오랜 역사가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목적의 역사의 한 부분임을 강조하면서 구약과 신약을 계속 연결시키려고 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언약 신학을 잘 전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성경 해석에서의 언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학자도 드물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이런 강조점은 잘 개발되기만 한다면 세대주의적 이해를 잘 극복하게 하는 좋은 논의로 여겨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라이트의 성경신학적 기여는 결국 언약 신학적 기여라고 할 수도 있다.
(5) 신약 성경적 하나님 나라 이해에 근거한 신학을 잘 제시하고 있는 점
그 과정에서 라이트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언약이 어떤 정확에 들어섰는지를 분명히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스도 사건이야 말로 그의 책 제목이 잘 드러내듯이 언약의 극치(the climax of the covenant)인 것이다. 그리스도 안에서 어떻게 아브라함에게 약속했던 세계만민이 언약의 복에 참여 하는 하나님 백성이 되었는지를 라이트는 잘 제시하고 있다. 큰 이야기(metanarrative)의 틀을 거부하는 포스트-모던 상황 속에서 라이트는 구약과 신약에 이르는 “창조와 언약의 이야기”(a grand story of creation and covenant)라는 메타-내러티브를 아주 분명히 각인시키고 있으며,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 나라가 이 땅에 임하여 왔으나 그리스도의 재림에서라야 극 극치에 이르게 되는 신약적 하나님 나라 개념에 충실한 신학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이미와 아직 아니”라는 틀로 주어진 하나님 나라의 틀을 아주 자명한 것으로 여기며 신학하는 학자들이 점증하고 있는 것은 매우 의미심장하다고 여겨진다. 라이트도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한 소망이 “나사렛 예수의 삶에서 이미 우리에게 임하여 왔다”는 것을 아주 분명히 한다. “나사렛 예수는 단순히 새로운 종교적 가능성이나 새로운 윤리나 새로운 구원의 길만을 도입해 들이신 것이 아니라, 새로운 피조계를 가져오신 것이다.” 예수님이 메시야이시므로 “하나님의 새로운 세대가 결국 현세 안으로 뚫고 들어 온 것이다.” 또한 예수님의 부활에서 “하나님의 새로운 피조계가 시작된 것이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런 하나님 나라적 이해에 근거해서 라이트는 매우 옳게도 우리 구원의 궁극적 목적이 단순히 죽어서 “하늘”(heaven)에 머무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와 같이 변화되고 영광스럽게 된 몸으로 변화되어 적극적으로 주를 위해 사는 데에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하고 매우 강조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라이트는 참으로 하나님 나라적 신학을 위한 좋은 토대를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우리는 톰 라이트의 신학적 작업이 얼마나 복음주의적인지를 살폈다. 이 모든 점에서 그는 다른 어떤 이들이 하기 어려운 큰 기여를 복음주의 권에 하고 있는 것이고,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성경신학적 작업에도 큰 기여를 했으며 지속적으로 그런 기여를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다음에 우리가 고찰하려고 하는 몇 가지 점에서 아주 독특한 이해를 가지고 있어서 그것이 복음주의에 대한 그의 큰 기여를 무색하게 할 정도로 복음주의권에 큰 논쟁의 중심이 되어 있다. 가장 심각하고도 중요한 문제인 칭의 이해와 관련된 문제부터 라이트의 문제점을 고찰해 보기로 하자.
II. N. T. Wright의 문제점 (1): 칭의 이해와 관련된 문제
톰 라이트의 가장 큰 문제는 역시 그가 전통적 복음주의자들과는 상당히 다른 칭의 이해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찾아 질 수 있다. 사실 이는 복음주의 자체를 위협할 수도 있는 심각한 문제라고 여겨진다. 이 문제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제임스 던(James D. G. Dunn)이 1983년에 그렇게 명명했다고 하고 (또한 던은 톰 라이트가 던 등이 앞자리에 있던 청중 앞에서 행한 1978년 틴델 하우스의 한 발제에서 그런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고 하는데), 여턴 그들을 따라 많은 이들이 그렇게 부르고 있는 소위 "바울에 대한 새로운 관점"(New Perspective on Paul) 학파와 라이트의 관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은 이미 이 논의가 30년이나 지난 오늘날에는 전혀 새 관점은 아니고, 이미 수많은 분들이 다양하게 비판한 소위 제2 성전 시대의 유대주의(second temple Judaism)와 바울에 대한 독특한 해석과 관점이다.
물론 라이트는 자신이 샌더스(E. P. Sanders)와 던(J. Dunn) 등이 말하는 견해에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음을 여러 곳에서 분명히 밝히고 그들과 자신의 입장을 차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샌더스의 바울에 대한 이해는 혼동되어 있고(muddled) 명확성이 떨어진다(imprecise)고 라이트는 말한다. 특히 샌더스의 주장에는 주해적 명료성이 결여되어 있고 주해적 근거지음이 부족하다고 한다. 또한 제임스 던은 바울의 기본적인 언약 신학을 전혀 이해하고 있지 못하고, 그의 전형적인 개신교적 반성례주의는 로마서 6장의 핵심을 놓치게끔 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기독론과 로마서 7장의 의미, “그리스도 신앙”(pistis Christou)의 의미에서 자신과 던의 30년간의 계속되는 논쟁을 언급하기도 하고, 근자에는 이스라엘의 계속되는 포수기 문제에 대한 입장의 차이와 논쟁을 언급한다.
특히 라이트 자신의 독특한 관심과 관점이 샌더스가 이 문제에 대한 중요한 저서인 『바울과 팔레스타인 유대주의』를 출판하기 이전, 자신의 옥스퍼드에서의 박사 학위 논문 탐구에서 비롯된 것임을 아주 분명히 제시한다. 그는 자신이 샌더스나 던 등에게서 이런 관점을 배운 것이 아니라 성경에 순종하여 “바울의 생각을 바울을 따라서 생각하려는” 투쟁에서 가지게 된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샌더스와 던에 대한 라이트의 이런 언급을 보면서 우리들은 새로운 관점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므로 새 관점들의 다양한 형태들을(types of New Perspective) 나누어 고찰해야 한다는 것, 다른 말로 하여 “단일한 새로운 관점”(the new perspective)이 있다기 보다는 “일련의 다양한 관점들”(a disparate family of perspectives)이 있다는 점에 동의함을 밝힌다.
그러나 샌더스와 던 등과 자신의 차이를 분명히 한 후에도 소위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t nomism)에 대한 입장에서는 아주 이상하게도 톰 라이트 자신이 공공연하게 이 분들과 비슷한 주장을 하고 있으므로 (라이트 자신이 기꺼이 인정하듯이) 각기 다른 다양한 새 관점들을 하나로 묶는 어떤 특성이 있다는 점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라이트는 유대주의에 대한 샌더스의 설명이 좀 더 다양한 뉴앙스를 염두에 두고 고쳐져야 한다고는 보지만 전통적 바울 이해에 대한 “새 관점의 도전은 다소간 확고히 수립된 것으로 보여진다”는 입장을 드러낸다. 그런 점에서 라이트는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의 입장에 서는 것이다. 이를 잘 살펴 본 많은 분들은 라이트가 사실 새 관점을 일반적 대중들에게 적극적으로 널리 보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러므로 그는 새 관점을 지켜보는 객관적인 평가자이기 보다는 새 관점을 더 좋은 것을 만들어 특히 복음주의자들에게 널리 보급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라이트는 샌더스의 책을 읽을 때 샌더스가 라이트 자신이 바울에 대해 이해를 통해 생각하고 있던 바를 1세기 팔레스타인 유대교의 입장에서 여러 방면을 통해 지지해 준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한다. 샌더스의 기본적 주장은 1세기 유대교는 율법주의적이지 않은(a nonlegalistic)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t nomism)를 가지고 있었다, 즉 은혜로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에 들어가서(“getting in") 율법에 대한 순종의 행위로 언약 안에 머무른다는("staying in) 것을 주장하는 입장을 지녔다는 것이다. 샌더스에 의하면, “바울에게서도 유대교 문헌에서와 같이 선한 행위들은 (언약) 안에 머무르는 조건(the condition of remaining in)이지, 그것으로 구원을 얻는 것은(earn) 아니다”는 것이다. 라이트는 이런 샌더스의 견해에 동의하면서 바울 시대의 유대교는 행위로 구원을 얻는다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하며, 바리새인인 사울은 당대의 많은 유대인들과 같이 이스라엘이 아직도 포수기 상태에 있었고 하나님께서 악을 파괴하시고 이스라엘을 빛나게 드러내실 날이 다가 오고 있다고 믿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바울이 회개하였을 때 바울은 율법을 지킴으로 구원을 받는다는 구원관으로부터 구원관을 바꾼 것이 아니라, 이제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에서 하나님이 포수기에 있는 이스라엘을 참으로 해방하시는 일을 하셨다고 믿게 된 것이라고 라이트는 말한다. 즉, 부활과 함께 오는 세대(the age to come)가 이미 왔으므로 이제 기존에 믿고 있던 바에 따라서 이방인들을 추수할 때가 이른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새관점 학파는 바울의 이전 사상과 이후 사상의 연속성을 좀더 강조하여 보려고 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라이트는 바울의 글에서 “율법의 행위”(the works of the law)는 그것을 행함으로 공로를 얻는 도덕적 행위가 아니고 그 행위를 행함으로 이교도들과 대조되어 규정되는 유대인의 율법적 행위들이라는 던(Dunn)의 제안이 아주 옳다고 말하며 이는 자세한 주해를 통해 확언되었고, 이를 부인하려는 여러 시도들은 다 실패했다고 주장한다. 라이트는 또한 던에게 동의하면서 바울의 글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의”라는 말이 “하나님 자신의 약속, 언약에 대한 하나님의 신실하심”이라고 말한다. 라이트가 이런 주장을 하는 것은, 그 자신이 잘 밝혀서 명확히 하고 있듯이, 샌더스나 던의 영향을 받아서 그리하는 것이 아님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가 자신의 독특한 성경 해석을 한 것에 근거해서 라이트 자신도 결과적으로는 새 관점 학파에 동의하는 말을 하는 것이다.
이는 결국 라이트로 하여금 칭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라이트는 칭의는 “한편으로는 언약의 관점에서, 또 한 편으로는 법정의 (하나님의 최후 심판은 큰 법정 상황과 같을 것이고, 이 법정에서 이스라엘에 승소하게 되는 상황과 같은 것이다!) 관점에서 보는(seen from the point of view) 구속과 구원의 큰 사건을 묘사하는 것”이라고 묘사한다. 그런 의미에서 라이트는 칭의는 구원론에 대한 것이기 보다는 교회론에 대한 것이며, “누가 (구원받은 자들 안에) 있느냐를 말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라고 말한다.
이런 라이트의 생각은 그가 바울의 글을 읽을 때 그가 하나님의 최후 심판이 삶 전체를 가지고 하시는 것이라는 것을 이것은 다른 말로 해서 “행위에 근거해서” 하시는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과 연관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라이트는 로마서 14:10-12, 고린도 후서 5:10에서 바울이 아주 분명하게 “행위에 근거한 심판”을 말한다고 한다. 또한 고린도 전서 3장의 교회 건축자들에 대한 무서운 구절에서도 이를 확언한다고 하며 이 주제에 대한 주된 구절은 로마서 2:1-6이라고 한다. “오직 율법을 행하는 자라야 의롭다하심을 받으리니”라고 말하는 로마서 2:13절 말씀을 매우 강조하면서 바울이 여기서 행위로 말미암는 칭의를 진술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로마서 2:7의 말씀인 “참고 선을 행하여 영광과 존귀와 썩지 아니함을 구하는 자에게는 영생으로 하시고”라는 말도 이는 이런 자들이 마지막 날에 의롭다 함을 받을 것이라는 뜻이라고 설명한다. 전통적 해석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실상 그렇게 율법을 지켜서 의롭다함을 받을 존재가 없다는 해석은 다른 해석들과 같이 이 구절들에 대한 주해에 의해서 견지될 수 없다고 라이트는 주장한다. 그리하여 라이트는 전체 삶에 근거하여 하나님께서 공개적으로 선언하실 것을 현재 칭의는 믿음에 근거하여 선언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로마서 2장과 3장의 연관성을 생각하며 로마서 3:9, 10의 명백한 선언을 생각할 때 라이트의 이런 주장이 오히려 정당한 주해적 근거를 가지지 못하거나 문맥에서 벗어난 것으로 여겨진다. 이것이 라이트의 칭의 개념이 잘못된 형식적 이유라고 여겨진다. 하나님의 칭의를 주로(mailnly) 그리고 일차적으로 미래 심판으로부터 이해하므로 하나님은 행위에 근거하여 칭의하신다고 주해하는 경향을 그가 가지게 된 것이다. 라이트는 이를 “종국적 칭의”(the final justification)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해서 이를 선취하여 적용시킨 것을 “현재적 칭의”(the present justification)라고 한다.
또한 이런 논의 과정에서 라이트는 내용적으로는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주장하는 다른 학자들과 같이 그리스도께서 적극적으로 얻으신 의를 믿는 자들에게 전가하신다는 개념을 거부하고 있다. 그는 이런 생각이 “의로운”(righteous)이라는 말이나 “의”(righteousness)라는 말을 잘못 사용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전가 개념을 거부하면서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라는 용어는 바울에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그 개념은 있다”는 패커의 말을 라이트가 인용하면서 바울의 전가를 말하는 것은 성경에 충실하지 않은 것임을 패커 같은 이도 인정하고 있다는 식으로 말하는 일은 매우 의아한 일이라고 여겨진다. 그 동안에 신학에서는 그 의미를 중심으로 논의하여 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라이트가 비판하려고 인용하고 있는 것이 라이트의 지나치게 현학적이려는 논의의 문제점을 잘 드러내어 준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이 그리스도의 공로로 얻으신 의의 전가를 거부하는 것에 라이트와 다른 새 관점 학파 학자들의 칭의 개념의 근본적 내용적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행위를 가지고 심판하신다는 이 계속되는 라이트의 주장은 사람들로 하여금 라이트가 “반-펠라기우스주의적”(semi-Pelagianian) 주장을 한다는 생각을 하게 한 것이다. 사람들이 자신들 스스로의 힘으로 하나님 보시기에 선한 것을 낼 수 없어도 하나님께서 주시는 은혜와 성령님의 능력으로 어떤 선행을 한 것이 마지막 날에 그에게 공로로 여겨진다는 것이 바로 천주교회적 “반-펠라기우스” 사상이 주장하는 바였기 때문이다. 라이트는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 약속의 성취에로 받아들여진 자들이 이 땅 가운데서 성령님의 은혜로 하나님 보시기에 선한 일을 행한다는 것을 강조하려고 하는 것 같다. 이 점에 대해서 부인할 사람은 없다. 그러나 그가 이를 강조하기 위해 성경을 주해하고 그 결과를 표현해낸 방식은 전통적 “반-펠라기우스”주의자들이 표현한 방식과 일치한다는 점에 문제가 있다. 그런 현상 앞에서 라이트가 자신을 “반-펠라기우스”주의자가 아니라고 하려면 적어도 자신의 주해 방식과 궁극적 표현 방식을 고쳐야 할 것이다.
(과연 어떤 것이 정당한 표현일까? 성경에 대한 바른 주해에 근거한 정통 개혁파적 이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표현해야만 할 것이다.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자녀가 된 사람들은 이 땅 가운데서 성령님의 능력 가운데서 자연스럽게 하나님의 뜻에 부합한 바를 향해 나아가고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일을 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런다고 해도 그것은 하나님 앞에 공로가 되지 못한다. 기본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에 근거해서 하는 일이기에 공로가 되지 못한다. 더구나 그것들조차도 다 부패한 인간성으로 물들어 있는 것이니 그런 일들도 공로가 되지 못하고 따라서 그 자체만으로는 그 누구도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함을 받지 못할 것이다. 최후의 심판대에서도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백성으로 헌신적으로 산 사람들 조차도 그들의 행위에 근거해서가 아니라 오직 십자가 공로만으로 공적으로 의롭다함을 선언 받는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이 세상에서 믿음으로 이미 의롭다함을 받았으므로 이미 받은 그 칭의를 공적으로 선언하시는 것이 최후의 심판의 의미이다. 이 세상에서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받은 사람들이 성령님의 능력으로 하나님 앞에 선한 일을 하게 되나 그것도 부족하여 오직 십자가의 공로에만 근거하여 공적인 칭의 선언이 최후 심판에서 울려 퍼질 것이다.) 그러므로 전통적 이해에서는 이신칭의를 중심으로 보고 이미 믿음으로 받은 칭의를 최후의 심판대에서 공적으로 선언하는 것을 말한데 비해서, 라이트는 무게의 중심을 미래 심판으로 보고 그로부터 현재의 칭의를 "미래에서 발생할 칭의의 현재적 선취"로 표현하는 것이다. 바른 신학적 구도가 유지된다면 이 표현 자체는 별 문제 될 것이 없으나 라이트의 무게의 중심을 미래에로 옮기는 성향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개혁자들은 그렇게 될 때 칭의와 성화가 혼동이 일어 날 것을 우려하여 천주교회의 칭의를 뒤로 미루어 이를 의화(義化)로 이해하려는 것을 경계하면서 항상 믿음으로 말미암는 칭의를 강조했던 것을 생각할 때, 라이트의 이런 표현 방식은 개혁자들의 의도와 배치되는 면이 많이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은 자신의 이해에 따라서 라이트는 칭의의 의미를 전통적 개념을 떠나서 자기 나름대로 정의한다. 여기서도 그에 대한 오해가 생길 수 있는 많은 혐의제기(charge)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라이트는 바울에게서 구원론적으로 중요한 개념이 “부르심”이라고 보면서 “그에 의해 죄인들이 우상들로부터 돌이켜 살아계신 하나님을 섬기라는, 죄로부터 떠나 그리스도를 따르라는, 죽음에서 떠나 예수를 죽은 자들 가운데서 살리신 하나님을 믿으라는 왕의 소환명령 같은 부름을 받는 것에 따라 나오는 어떤 것”이라고 정의하려고 한다. 즉, 라이트는 칭의를 하나님의 부르심에 따라 나온 사람의 삶의 결과에 대한 하나님의 선언하시는 판결(the verdict which God pronounces)이라고 정의한다. 다른 말로 하면 “성령의 능력 안에서 어떤 사람이 산 전체 삶에 근거해서 미래에 일어난다”고 한다. 그는 심지어 “바울에 의해서 재 정의된 대로의 행위에 근거해서 칭의가 일어난다고도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라이트는 (칭의가 미래와 현재에 두 번 일어난다는 그의 말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우리가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미래의 심판으로부터 칭의라는 용어를 이해하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칭의라는 용어 보다는 vindication이라는 말을 선호한다. 그리고 vindication은 부르심과 같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렇게 미래로부터 거꾸로 볼 때에 우리는 이 선언이 무엇이며 왜 바울이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이를 주장하는 지를 잘 알 수 있게 된다고 말한다. 우리는 위에서 칭의를 최후 심판과 일차적으로 연관시키는 이런 이해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 지를 이미 지적한 바 있다. 이와 같은 라이트의 칭의 이해는 칭의를 “무엇인가를 발생하게 하는 것”으로 보다는 법정적 선언, 즉 선언적 말(a declarative word)과 법정의 언어(lawcourt language)로 본다는 점에서는 종교개혁적 용례를 따른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를 일차적으로 미래 심판과 연관시키는 것에서 그가 칭의의 종교 개혁적 의미를 떠나는 것으로 생각하게 하는 모든 문제가 발생한다고 여겨진다.
(이 점을 떠나서 “하나님의 죄 용서에 대한 선언과 언약의 성원됨에 대한 하나님의 선언은 궁극적으로 두 가지 다른 것이 아니라”는 점은 개혁신학에서 항상 강조되어 오던 바이므로 이는 (라이트 자신의 주장과는 달리) 라이트가 새롭게 제안 하는 것이 아니고 성경을 잘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오랜 이해인 것이다. 특히 칭의에서 죄용서와 입양을 같이 다루어 죄 용서를 소극적 칭의로 말하고 입양을 적극적 칭의로 말하던 전통을 생각해 보라.)
또한 어떤 점에서는 라이트가 바울에 대한 옛 관점이 보지 못하고 새 관점이 가지는 장점이라고 말한 바는 필자가 보기에는 꼭 새 관점을 가져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는 “옛 관점에서 전혀 볼 수 없었고 몇몇 현대 바울 학자들이 강력하게 발견해 준 것이 배후의 기사, 즉 하나님과 이스라엘, 하나님과 아브라함, 하나님과 언약 백성에 관한 이야기에 대한 바울의 감각과 바울이 말하는 바와 같이 때가 찼을 때에 그 이야기가 그 극치에 이른 방식에 대한 이해”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해는 새 관점을 가지고서야 마침내 얻게 될 수 있는 이해라고 하기 어렵다. 성경신학적 이해를 가진 사람들은 누구나 바울의 생각 배후에는 그런 기사가 있다는 것을 알고 전제하며 논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라이트가 이런 기사적 이해를 리쳐드 헤이스(Richard Hays)에게서 매혹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은 좋은 점이지만 리쳐드 헤이스에게서 처음으로 이런 기사적 접근이 나타난 것이라고 하기도 어렵고, 이런 기사적 배경은 바른 성경신학을 하는 분들은 누구나 전제로 하든지, 더 명확히 하는 것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이 점을 중심으로 강조하기 원했다면 라이트는 굳이 오해받을 수 있는 새 관점적 입장을 취하여 자신의 입장을 표현 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라이트의 문제는 근원적으로 자기 나름의 독특한 성경 해석에 사로잡혀서 전통적 성경 해석에 대한 비판이 너무 크게 나타나게 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대개 이렇게 할 때 주해적으로 필연적 경우가 아니라면 이런 해석도 옳고, 저렇게 볼 수 있는 가능성도 용인해야 하는데, 주해와 논의의 과정에서 그것을 놓치는 데서 문제가 발생한다. 사실 라이트는 새로운 관점과 입장을 같이 하기 위해서 성경이 칭의에 대해서 말하는 문맥이 개인이 하나님과 바른 관계에 있게 됨(individual sinners being put right with God)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여러 번 언급한다. 예를 들어서, 라이트는 로마서 3:21-31의 문맥에서 바울은 개인의 하나님 앞에서 바르게 됨을 말하는 것이 아니니 만일 바울이 그런 말을 하고 있는 것이었다면 29절은 유대인과 이방인 문제를 다루는 구절이 갑자기 들어오게 된 것으로 여기게 된다고 말한다. 오히려 바울은 아브라함과의 언약에 대한 하나님의 신실성, 유대인과 이방인이라는 모든 죄인들로부터 하나님께서 어떻게 단일한 언약적 가족을 창조하시는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바울이 그 중요한 문제를 다르면서도 동시에 개인이 어떻게 칭의함을 받는 가의 문제가 같이 다루어지고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라이트는 바울은 그런 개인의 칭의를 언급하고 있지 않다고 주장함으로 종교개혁적 해석이 지나치게 나아갔다는 시사를 주고 있다. 마찬가지로 갈라디아서 2:11-21에서도 라이트는 여기서 문제가 되는 점은 어떻게 사람이 그리스도인이 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내가 누구와 식탁 교제를 해야만 하느냐의 문제라고 말하고 있는데, 비록 바울의 주된 논의는 식탁 교제 문제일지라도 그것은 이방인이 율법과 상관없이 하나님 백성으로 여겨진다는 것을 함의하므로 바울의 논의 중에 두 가지 문제에 대한 함의를 다 찾을 수 있다. 그런데도 라이트는 자신의 논의를 위해서 바울의 중심 논의만을 중심으로 논의하여 다른 한쪽의 논의가 함의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다.
이런 것이 극단적으로 드러난 예로 라이트가 전현 쓸데없는 “이것이야 저것이냐”(either/or)를 제시하면서 자신이 말하는 것만이 옳은 것이라고 주장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그는 “우리는 이신칭의를 믿는 믿음을 통해서 의롭다함을 받는 것이 아니라, 복음 자체를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받는다”고 말한다. 또 다른 곳에서는 “복음은 - ‘이신 칭의’가 아니라, 예수에 관한 메시지이다. 따라서 복음은 의, 즉 하나님의 언약적 신실성을 드러내어 주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나는 이런 식의 논쟁을 위한 논의가 무슨 유익을 주는지 모르겠다. 라이트가 이신칭의가 복음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면 말이다. 그가 왜 이 둘 다를 같이 생각하려고 하지 않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런 논의가 가져 올 종교 개혁 자체를 파괴할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극단적인 대립을 시도하는 것이 안타까운 것이다. 라이트가 교회는 바울의 칭의 이해를 이천년 동안 오해해 왔고, 로마서를 어떻게 사람이 그리스도인이 되느냐 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 읽으려 하는 것은 로마서를 수백년 동안 왜곡시킨 것이라고 말하는 것도 이와 같은 “불필요한 ‘이것이냐-저것이냐’”를 도입하여 우리를 오도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런 접근 가운데서 가장 큰 문제는 자신이 새롭게 해석한 성경 해석이 성경에 대한 바른 이해라고 생각하면서 비록 자신이 루터와 칼빈이 내용적으로 말하는 바와는 반대의 이야기를 하지만 자신의 입장이 루터와 칼빈이 말한 “오직 성경”의 원리에 충실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결과를 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야말로 톰 라이트가 복음주의권에 가장 큰 손상을 끼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로 하여금 복음주의적 가르침과 다른 가르침을 하여도 그것이 복음주의에 충실한 것일 수 있다는 인상을 주고, 소위 전통적 복음주의적 주장을 하는 분들은 자신들이 오직 성경에 충실하다고 하지만 사실은 오직 성경의 원리에 충실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신칭의”와 같이 교회가 그와 함께 서고 넘어지는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 이런 인상을 주게 되면 전통적 의미의 이신칭의 주장이 그른 것이라는 시사를 주는 것이므로 라이트 등은 자신들의 의도에 반하여 종교개혁을 무색하게 하는 결과를 내게 되는 것이다. 라이트는 중세기 신학자들의 의에 대한 너무나 지나친 집중 때문에 개혁자들이 한쪽으로 너무 나아가서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로 나아가게 되었고 “그렇게 함으로써 바울 자신이 말하는 바를 왜곡시켰다”고 말하고 있는데, 그렇게 말하는 라이트 자신이 개혁자들의 말과 바울의 말을 왜곡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라이트 자신은 자신의 입장에 대해서 “반-펠라기우스주의”(semi-pelagianism)라고 비판하는 것에 대해서 매우 의아해 한다. 자신은 그런 주장을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왜 사람들이 이런 비판을 하는 지를 잘 생각하지 않는 듯하다. 바울이 칭의가 (비록 “바울에 의해 재정의된 의미에서”라는 덧붙이고 있지만) “행위에 근거하여 미래에 일어난다고 했다”고 말할 때에 과연 어떤 반응이 일어 날 것인지를 많이 생각하지 않든지, 아니면 의도적으로 이런 선동적인 용어를 써서 표현하는 듯하다. 전통적 이신칭의 개념을 모호하게 하여 천주교적 해석이 옳을 수 있거나 하나의 해석으로서의 정당한 자리를 가질 수 있다고 할 토대를 마련하는 그의 작업과 그 결과에 대한 불안이 이런 비판을 낳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라이트가 자신의 비판적인 입장이 종교개혁의 “전통 가운데서 비판적으로 서 있을 수 있는 권리”(the right to stand critically within a tradition)를 강하게 요청할 때, 한편으로는 그럴 권리를 충분히 인정하면서도, 또 한편 그가, 전혀 다른 의도에서라도, 종교개혁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주해적 작업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그의 논의와 비판적인 대면(critical confrontation)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III. N. T. Wright의 문제점 (2): 지옥 이해와 하늘 이해와 관련된 문제
“지옥”(Gehenna)에 대한 라이트의 이해는 어떤 점에서는 칭의에 대한 이해보다 좀더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라이트가 한편으로는 “게헨나” 즉 “지옥”(hell)에 대해서 이것은 개념이 아니라 장소(a place)라고 말하는 점에서는 좋으나, 그가 이렇게 말할 때 그는 “지옥”이라는 장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예루살렘 옛 도시 남서쪽 밖에 있는 골자기의 쓰레기더미 장소, 즉 힌놈의 골짜기(Ge Hinnom)만을 생각하면서 말하고 있다는 것이 문맥상 매우 분명하다. 그러므로 지옥에 대한 예수님의 말씀(눅 13:3, 5)의 의미는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그와 같이 멸망하리라”는 것이라고 라이트는 설명한다. 또한 이 논의를 할 때 라이트가 말하는 바는 우리를 좀더 긴장시킨다. 그는 지옥에 대한 논의를 하면서 “하나님 나라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중요한 것은 이 땅에서가 문제이다 다른 곳에서가 아니고.”라는 말을 하고 있는데, 그가 지옥이나 하나님 나라 논의가 이 땅에서의 우리의 삶을 중요시하는 것이라는 정도로만 말하는 것인지, 그 이상의 함의를 지닌 말인지가 더 이상 논의가 있지 않아 알 수는 없으나 우리를 긴장시키기에는 매우 중요한 진술이라고 여겨진다. 더구나 자신이 지옥에 대한 전통적 이해와 멸절설의 견해의 장점들을 연관시킨 또 다른 안을 제안한다고 하면서 시사하는 것은 우리를 더욱 의아하게 만든다. 라이트는 사람들이 끝까지 참 하나님을 섬겨가지 않으면 그들은 점점 더 이상 하나님을 반영하지 않는 존재가 되어 간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그들은 죽음 이후에 그들은 “자신들의 유효한 선택에 의해서 이전에는 사람이었으나 더 이상 사람이 아닌 존재, 더 이상 하나님의 형상을 가지지 않은 존재가 된다는 것이다. 이런 이들은 몸의 죽음과 함께 희망도 없고(beyond hope) 동정도 없는(beyond pity) 상태에로 나아가게 된다”고 한다. 이전에 사람이었던 사람들이 이제는 더 이상 의미 있는 방식으로 창조주를 반영하지 못하게 되므로 스스로나 다른 이들로부터도 이 세상의 그 어떤 흉악한 범죄자에게 대해 나타나게 되는 동점심도 유발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라이트의 요점은 이전에 사람이었던 사람들이 없어지지는 않으나 더 이상 인간이 아닌 상태로 있게 되리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 그 형벌이 어떤 것이지를 더 이상 언급하지 않는다. 라이트는 이런 자신의 설명이 전통적 이해와도 다르며 멸절설과도 다르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 라이트가 한편으로는 이전에 인간이었던 존재가 멸절하게 된다는 개념도 배제하고, 또 한편으로는 우리의 지옥 이해에서 중세의 아름다운 성안에 있는 고문실(the torture chamber)이나 현대의 아름다운 들 한복판에 있는 수용소(concentration camp) 개념을 배제시키려고 하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나 이를 피하여 가려고 그가 제안하는 것이 과연 성경이 말하는 것과 같은 것인지, 또한 그가 제시하는 것이 과연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호소력이 있을지 잘 모르겠다. 라이트는 이런 제안이 매우 새로운 것이라는 것을 잘 알면서 이런 제안을 한다. 그런데도 자신이 신약 성경과 이 세상의 실재에 대한 인식 때문에 이런 논의에로 나아가게 된다고 한다. 많은 사람들은 라이트에게 있어서 지옥은 과연 무엇인가를 계속해서 질문하게 될 것이다. 더구나 그가 요한 계시록을 말하면서 생명수가 성 밖으로 흘러 나간다는 표현에 주의하면서 “여기에는 큰 신비가 있고, 하나님의 궁극적 미래에 대한 우리의 말에는 이에 대한 여지가 있어야만 한다”고 하고, 하나님의 심판에 대해 말한 모든 것을 의문시하게 만들어서는 안 되지만 “하나님은 항상 우리를 놀라게 하시는 하나님(the God of surprise)”이시라고 할 때, 우리는 더욱 큰 의혹을 가지게 된다. 그가 이와 같은 식으로 말한 것이, 또한 그가 이에 대해서 자신의 입장을 더 분명히 해 주지 않는 것이 상당히 안타까울 뿐이다.
“하늘”에 대한 라이트의 설명은 여러 해석 가능성이 있어서 그렇게 강하게 지적할 수는 없고 또 어떻게 보면 지옥에 대한 라이트의 생각보다는 문제가 덜 하지만, 라이트가 “하늘”(heaven)을 “우리의 일상적 삶의 또 다른 숨겨진 차원”(the other, hidden, dimension of our ordinary life)인 “하나님의 차원”(God's dimension)이라고 말할 때, 또한 예수님의 승천을 “하나님의 공간”, 즉 “하늘"(heaven)로 사라진 것이라고 말할 때, 혹시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해서는 매우 적극적으로 말하고 있는 라이트가 죽은 후부터 재림 때까지의 상황에 대해서는 혹시 적극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인가 하고 그런 표현에 대해 상당히 긴장할 사람들도 상당히 있을 수 있다. 하늘과 땅이 하나님의 선하신 창조의 두 가지 서로 다른 차원”이라고 하면서, 따라서 그 “하늘”은 땅과 접선적으로(tangentially) 연관되어 있어서 하늘에 있는 사람은 이 땅에 어디에나 모든 곳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고 할 때에 우리는 그의 진정한 의도에 대해서 의아함을 가지게 된다.
이 문제에 대한 라이트의 독특한 이해는 그로 하여금 “두 가지 다른 공간, 두 가지 다른 물질”, 따라서 “두 가지 다른 시간”이라는 말을 하게끔 한다. 특히 두 가지 다른 시간 등으로 나아 갈 때 다른 신학자들이 이런 개념을 사용하면서 아지 이상한 길로 나아 간 것을 보면서 라이트가 의도하지 않은 오해가 나타난 위험성이 잠재되었을 수도 있음을 생각하면서 걱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물론 다른 곳에서 예수님의 부활로 말미암아 오게 된 유대적 희망의 변화를 말하면서 누가복음을 인용하며 “낙원은 부활 이전에 하나님의 백성이 안식하는 복된 정원”이라는 말을 하고, 예수님께서 언급하신 하늘의 거할 곳(a temporary lodging)을 연관시키고 바울이 말하는 죽은 후에 주님과 같이 있는 상태를 말하기에 그렇게 심각하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그런 의미를 전달하려면 위에서 “하늘”에 대해 말한 바를 좀 수정하는 것이 좋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성도들이 죽은 후에 하나님의 사랑을 의식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현존을 의식하면서 안식적 행복의 상태에서 몸의 부활의 날을 기다린다고 하며, 그런 상태를 “하늘”이라고 부르지 말아야 할 이유는 없다고 하면서도 신약 성경은 일반적으로 그렇게 부르지 않으며 “하늘”(heaven)이라는 용어를 다른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하는데 왜 그 상태를 “하늘”로 부르는 것을 그가 어려워하는 지 잘 이해되지 않는 측면이 있다. 사실 그 자신도 어떤 때는 “하늘 또는 낙원에 있는 교회”라는 말을 자연스럽게 사용하면서 말이다. 그러므로 “하늘” 용어 사용에 있어서 라이트는 좀 일관성이 없는 측면이 있다고 판단된다. 적어도 그는 “지옥”과 “하늘” 용어 사용에 있어서 동료 복음 주의자들을 상당히 긴장시키는 시사들을 하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IV. N. T. Wright의 문제점 (3): 다른 문제들
이외에도 라이트는 여러 점에서 아쉬운 점과 안타까운 점을 드러내어 주고 있다. 라이트가 예정에 대해서 성경에 있는 바를 하나님의 주권과 연관하여 언급하면서도 바울이 그 어디서도 이를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았다고 하면서 가장 가깝게 다루는 것이 로마서 9장인데 여기서도 바울은 문제를 진술하는 것뿐이고, 에베소서 1:3-4의 말씀은 설명이기 보다는 찬양일 뿐이라고 언급하고 지나가는 것은 매우 아쉬운 부분이다. 그러므로 그가 로마서 8:29-30과 관련하여 하나님의 예지에 근거한 하나님의 주도권을 말할 때 그가 말하는 정확한 의미가 무엇인지가 잘 드러나지 않게 되고 만다. 필자가 보기에 그는 의도적으로 이 점을 명확히 말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어떤 곳에서는 여러 가지를 다 생각하거나 언급하면서 말해야 하는 데도 불구하고 오직 자신이 선택하여 중요한 것으로 언급하고 있는 하나만을 가지고 그것에만 집중하면서 자신의 논지를 펴고 있다. 예를 들어서, 바울 이전부터 그리스도인들은 예수가 참으로 메시야라고 믿고 확언했다는 중요한 주장을 하면서 그 근거를 “바로 그의 부활 때문에”라고 말하고 있는데, 물론 이는 옳은 것이지만 그 논의 양식에 있어서 예수의 메시야 됨의 근거를 부활에만 근거지우는 것은 여러 다른 증거를 무시하고 부활 만에 모든 것을 집중시키는 문제를 드러내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예수님의 부활의 실제성을 강조하려고 하다가 때때로 “인간 예수”(the human Jesus)를 강조하면서 표현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이런 것들이 혹시 그가 그리스도를 이해 할 때에 인간 예수 + 신성 식으로 이해하지나 않는가 하는 오해를 낳을 수도 있기에 좀더 주의하였다면 좋았을 표현이라고 여겨진다.
마찬가지로 라이트가 연옥(purgatory)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논박하고 있으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현재의 삶이 연옥의 기능을 하게끔 되었다는 것을 바울이 여러 곳에서 명확히 한다고 하고, “연옥의 신화는 현재에서 미래로 투사된 알레고리”라고 말하는 것에 대해서 어떤 면에서는 불안하다. 이런 말들이 천주교가 말하는 연옥이라는 곳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하는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현재 천주교에서 교황 베네딕트 16세라고 하는 라칭거가 한 바와 같이 연옥 용어를 유지하되 그 의미를 바꾸는 결과와 비슷한 것이 되지 않을까 걱정스러운 것이다. 라칭거는 고린도전서 3장을 주해하면서 주님 자신이 심판의 불이라고 하면서, 최후의 심판 순간에 그가 우리를 영광스럽고 부활한 몸으로 변화시키 것이라고 하면서 그것이 불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런 것이 고린도전서 3장에 대한 잘못된 주해임이 분명하다면, 라이트가 왜 연옥을 현세와 연관시키면서 논의하고 있는지 잘 이해되지 않는다. 차라리 좀더 개혁적이 되어 이 모든 용어를 버려버리는 것이 라이트 자신이 그토록 강조하는 성경에 더 충실한 것이 아닌가?
이렇게 되었기에 그는 아주 의식적으로 개혁자들에게 반하여 죽은 자들을 위하여 기도하는 것과 그들과 함께 기도할 수 있는 여지를 열어 두려고 하고 있다.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될 수 있는 생각이 아닐 수 없다. 그 바로 뒤에 하늘에 있는 이들이 이 땅을 사는 이들을 위해 기도하고 있다는 성경적 교부적 증거를 찾아보지 못했다고 하면서도 왜 우리가 그들과 함께 그들을 위해 기도할 수 있는 여지는 말하는 것인지 매우 의아스럽다. 만성절(All Saints Day)와 이를 연결시켜 생각하는 면에서 이는 다음에 언급할 그의 성공회적 의식에서 나온 생각인 듯하다.
또한 라이트의 성공회적 배경이 그의 주해를 일정한 방향으로 몰아가게끔 하는 면도 있다. 그는 세례 문제에 있어서는, 매우 복음주의적 성공회 신학자들과는 좀 달리, 좀더 고교회적인 성공회 신학자들과 함께, 마치 세례에서 메시야와 함께 죽고 그와 함께 살아나는 일 이 발생하는 것과 같이 말하곤 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이 특히 로마서 6장에서의 바울의 말에 대한 바르고 정확한 이해라고 하고 있는 것이다. “로마서 6장에 의하면, 하나님께서 세례 받은 그리스도인을 볼 때 하나님은 그/그녀를 그리스도 안에서 보는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를 그리스도의 vindication 안에서 보신다, 즉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살아 난 것으로 보신다.” 그리고 이것이 크리소스톰과 어거스틴, 그리고 심지어 루터의 이해였다고 하면서 이를 다른 분들이 언급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매우 기뻐하고 있다.
어떤 곳에서는 충분히 다른 생각을 할 수 있는 데서도 자신의 생각에 빠져서 다르게 볼 수 있는 여지를 놓치고 있는 듯이 보이는 부분도 있다. 바로 앞서 언급한 로마서 6장과 관련해서 라아트는 그렇게 그리스도 안에 있는 사람에 대해서 “바울은 그리스도의 얻으신 공로로 옷 입은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표현하고 있는데,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 있다고 하는 것과 다른 곳에서 바울이 말하고 있는 그리스도의 공로로 옷 입은 것으로 보고 있다는 말을 함께 적용하지 못할 이유가 없어 보이는 데도 라이트는 굳이 바울은 여기서 그리스도의 공로로 옷 입었다고 말하지 않는다는 말을 강조하고 있다. 라이트가 그렇게 말하는 것은 그렇게 하는 것은 “의로운” 이라는 말고 “의”라는 말의 잘못된 사용일 것이라는 이유 때문이다. 칭의를 그리스도께서 얻으신 의의 전가로 생각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이야 말로 선입견 때문에 전통적으로 생각해 왔던 일반적 의미를 배제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또 다른 예를 들어서, 라이트는 한 곳에서 “바울과 묵시자 요한은 단순히 구원 받은 것이나 죽은 자들로부터 일으킴을 받은 것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새로운 세상에 대한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통치에 참여하는 것에 큰 강조점을 둔다는 사실을 많은 교의학자들이 아직 잘 다르지 않은 요점”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과연 이렇게 단순하게 말할 수 있을까가 의문스럽다. 개혁신학적 전통 내에서 이미 이를 점들은 언급한 많은 교의학자들은 라이트의 이런 주장에 그저 미소로 응답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라이트의 언약 신학적 기여와 관련해서 그가 언약적 주제를 매우 강조하면서도 17세기 우리 선배 언약 신학자들이 심혈을 들여서 주해하여 정리해낸 행위 언약과 은혜 언약의 구별을 라이트 자신은 아주 명확히 하고 있지 않은 것에 대한 비평적 언급도 하고 지나가는 것이 옳을 것 같다.
V. 결론
우리가 이 발제에서 간단히 살펴 본 바와 같이 톰 라이트는 매우 크고 중요한 복음주의 신학자이다. 그만큼 복음주의적 주장(case for evangelicalism)을 우리 시기에 잘 하고 있는 신학자도 드물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그는 큰 인물이다. 예를 들어서, (물론 서로 다른 학문 분과에 속한 두 사람을 비교한다는 것이 이상하기는 하지만) 학계의 분위기를 살펴본다면 (톰 라이트가 자신의 칭의 이해의 변호를 위해 그의 칭의론 책을 기쁜 마음으로 인용하고 있는) 알리스터 맥그라뜨(Alister McGrath)가 복음주의에 대해 한 기여보다 톰 라이트가 한 기여가 더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복음주의에 대한 라이트의 기여가 크면 클수록 칭의 문제나 부활 문제나 지옥 문제 등에 대한 그의 독특한 입장 표명은 복음주의에 그만큼 큰 손상을 가하게 된다. 나는 톰 라이트와 다른 복음주의자들이 이 점을 잘 의식하였으면 한다. 라이트 자신은 자신이 바울의 말하는 바에 충실하며, 바울의 생각하는 것을 따라서 생각하며 극점을 자신이 표명해 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다른 복음주의자들이 자신의 이 논의를 따라 오지 않는 것을 매우 안타까워한다. 그러나 우리는 신학을 한 시대를 대상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미래 모두를 의식하면서 하는 것이다. 라이트는 미래는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평가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지금 그가 논의하는 것은 결국 성경에 충실하려는 개혁자들의 논의 방식을 사용해서 개혁자들의 논의 내용을 부정하는 것이 되며 이는 결국 종교 개혁이 내용적으로는 잘못된 것이거나 지나친 것이었다는 생각을 하게 하는 것이라는 점을 라이트 등은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그 주해의 과정과 결과만 가지고도 항상 라이트 등이 말하는 것과 같은 주해를 해야 할 이유가 없다. 라이트 자신도 자신의 주해가 최소한 20%는 틀릴 수 있으며 따라서 자신의 입장을 변경할 수 있다는 태도를 가진다. 이런 점들에 대해서 우리는 서로 열려진 논의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결국 그 논의의 과정에서 라이트 등은 다른 주해 내용을 가지고서 종교 개혁자들의 논의와 그 주장 내용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러면서 자신은 오직 성경에 근거해서 작업하고 주장하는 것이니 자신이 개혁자들의 의도에 충실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가 종교 개혁적 “이신칭의” 내용을 주장하는 입장에서 보면 내용을 상당히 왜곡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그가 성경 주해에 근거해서 작업하는 것에 대해서는 높이 사면서도 20% 틀릴 수 있는 주해 결과를 가지고 종교 개혁 시대의 종교 개혁에 반대하는 분들의 결론과 비슷한 결론을 주장하는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라이트의 복음주의에 대한 기여가 크면 클수록 그는 복음주의에 해를 가하는 결과를 내게 된다고 말했던 것이다. 이는 라이트만이 아니라 우리들 모두가 주의해야 할 일일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종교 개혁의 형식적 원리인 성경에 충실할 것과 함께 종교 개혁의 내용적 원리인 개혁자들이 이해한 이신칭의 교리에도 충실해야만 한다는 것을 항상 유념해야 할 것이다. 라이트에게 아쉬운 점이 바로 이점이다. 부디 라이트가 종교 개혁의 형식적 원리에만 충실하지 말고 그 내용적 원리에도 충실할 날이 오기를 원한다.
또한 라이트의 논의는 주로 자신의 논점을 밝히는 것으로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아쉽다. 많은 분들이 그의 칭의 이해가 가져 올 함의를 의혹에 차서 질문하는 데 그에 대해서는 별로 많은 논의를 하지 않는다. 지옥 등에 대한 우리의 논의에 대해서도 그저 자신의 논의만을 변증하며 나아가는 방식으로 반응할 때 우리의 의혹은 해소되지 않고 증폭해 갈 것이고, 대화의 의미를 잘 발견해 갈 수 없을 것이다.
그대로 몇 되지 않는 복음주의자들 사이에 칭의나 지옥, 하늘 등과 같이 심각한 문제에 대해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식으로 학문적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 안타깝다. 라이트 등이 이런 점을 의식하면서 학문적 작업을 하여 준다면 그는 자신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성경에 대한 신뢰를 더욱 높이는 방식으로 학문하여 그가 바라는 대로 교회를 유익하게 하는 학문적 작업을 하는 것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부디 그런 날이 속히 올 수 있기 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