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종목 중에는 몸과 몸이 부딪치며 힘으로 겨루는 격투기(권투, 유도, 태권도, 레스링, 씨름, 소싸움...)나, 체력 조건이 기록을 좌우하는 종목(역도)들은 공평한 경기를 위해 '체급'이라는 것을 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ㅎ'샘과 'ㅇ'샘은 체급이 안 맞다는 거지요.
그러므로 'ㅇ'샘은 체급이 같을것으로 예상되는 'ㅊ'샘과 싸워야 한다는... ???
그런데 이 체급이 '몸무게'로만 정해진다는게 함정!
키가 아무리 차이가 나도 몸무게가 같으면 같은 '체급'!
그러니까 'ㅇ'샘이 'ㅎ'샘하고 싸우려면 밥 많이 먹고 몸무게를 늘이면 된다는... ???
이거 뭔소리야!

차도 소형, 중형, 대형으로 나누듯이 컴퓨터도 크기와 처리 능력으로 체급을 나누는데요.
다음과 같이 슈퍼컴퓨터, 메인프레임컴퓨터, 미니컴퓨터, 마이크로컴퓨터로 나눕니다.
1) 슈퍼 컴퓨터(초대형 컴퓨터, Super Computer)

<우리나라 기상청의 슈퍼컴퓨터 3호기>
• 복잡한 계산을 초고속으로 처리하는 초대형 컴퓨터
• 처리 속도 : 슈퍼컴퓨터는 초당 200메가플롭 이상의 성능을 지님.
(메가플롭이란 초당 백만 개의 실수 연산을 하는 것을 의미)
• 사용 범위 : 원자력 개발, 항공우주, 기상예측, 환경공해문제, 예측시뮬레이션, 자원탐색, 유체해석, 구조해석,
계량경제모델, 화상처리 등
• 종류 : ILLIAC-Ⅳ, STAR-100, CRAY시리즈(CRAY-1,CRAY-2,CRAY-3등), CYBER-205, HITAC S-810/20,
FACOM VP시리즈, NEC SX 등
2) 메인 프레임(대형 컴퓨터, Main Frame)

<IBM의 메인프레임 System z>
• 슈퍼 컴퓨터보다 한단계 낮은 것으로 대형 컴퓨터라고도 하며 기억용량이 크고 처리속도가 빠름.
• 단말기(터미널)등을 이용해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한 다중 사용자 시스템
• 종류 : IBM 360계열
3) 미니 컴퓨터(중형 컴퓨터, Mini Computer)

<미니컴퓨터 DEC PDP-7>
• 대형 컴퓨터보다는 성능이 떨어지고 마이크로 컴퓨터 보다는 우수한 컴퓨터
• 다중 사용자 시스템으로 기업체, 학교, 연구소 등에서 많이 사용
• 종류: DEC사의 PDP-8, PDP-11, VAX 계열 등
4) 마이크로 컴퓨터(소형 컴퓨터, Micro Computer)
• '마이크로프로세서(MPU)'를 CPU로 사용하는 컴퓨터이며, 미니컴퓨터에 비해서 크기가 작고 값이 저렴한 편임.
• 마이크로 컴퓨터는 보통 한사람이 독점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 컴퓨터를 8비트, 16비트, 32비트, 64비트와 같이 워드(Word) 길이에 따라 구분하며, 숫자가 클수록 처리속도가 빠름.
• 구분 : 크게 나누어 워크스테이션과 개인용 컴퓨터(PC)로 나누며, PC는 크기에 따라 탁상용 컴퓨터와 휴대용 컴퓨터
로 분류
-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HP사의 워크스테이션 Z시리즈>
• 대부분 RISC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채택해서 사용하며, 고속으로 작업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말함.
• 고속 연산장치, 대용량의 주기억장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키보드와 마우스 등을 갖춘 장치로 다양한 형태의
보조기억장치를 가지고 있음.
• 고성능 컴퓨터로 그래픽, 미디(MIDI), 멀티미디어 제작용으로 사용되거나 네트워크 망에서 주로 서버(Sever) 역할을
하는 컴퓨터로 사용되기도 함.
• 기능 : 고도의 맨-머신 인터페이스, 화상처리 기능, 파일링(Filing) 기능, 메일링(Mailing) 기능, 네트워크 기능
• PC 성능의 비약적인 성장과 단가 하락으로 워크스테이션과 고성능 개인용 PC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는 실정임.
- PC(개인용 컴퓨터)
• 개인이 사용하는 소형 컴퓨터를 뜻하는 'Personal computer'의 약자
• 탁상용(DeskTop) 컴퓨터 : 책상 위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컴퓨터
• 휴대용 컴퓨터
- 랩톱(LapTop) : 노트북보다 조금 더 크고 먼저 나온 컴퓨터, 초기의 랩톱은 서류가방 크기 정도로 무거웠음.
- 노트북(NoteBook) : 일반 노트 크기로 휴대하고 이동하며 사용 가능한 컴퓨터
- 팜톱 (PalmTop = PDA) : 피코컴퓨터(Pico Computer)라고도 하며 손바닥위에 올려놓고 사용가능한 컴퓨터
• 크기순으로 보기 팜톱 < 노트북 < 랩톱 < 데스트톱
※ 펜기반 시스템
• 사용자가 키보드 대신에 전자 펜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명령어를 전달하는 컴퓨터로 키보드를 설치할 수 없는
휴대용 컴퓨터(팜톱)에 많이 사용
※ PDA(Personal Digit Assistant)
• 개인용 디지털 비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정보를 관리 할 수 있는 손바닥만한 크기의 컴퓨터

<PDA>
이렇게 처리 능력에 따라 컴퓨터를 나누어 보았는데, 이외에도 컴퓨터를 분류하는 기준이 더 있습니다.
컴퓨터가 데이터를 다루는 처리 방식에 따라 아날로그 컴퓨터와 디지털 컴퓨터, 하이브리드 컴퓨터로 나눕니다.
아날로그 컴퓨터는 상사형(相似型) 컴퓨터라고도 하며 전압, 길이, 전류, 온도 등의 연속적이고 계량적인 자료를 입력받아 곡선이나 그래프로 출력하는 컴퓨터로 미.적분 연산으로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데이터의 정밀도는 약간 떨어지지만 계산속도가 빨라서 프로세스 제어용으로 쓰입니다. 1931년 MIT에서 개발한 미분해석기를 그 시초로 하며 정밀도, 능률면에서 비효율적이나 설계, 시뮬레이션 등의 한정된 분야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디지털 컴퓨터의 급속한 발전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폴란드 아날로그 컴퓨터 AKAT-1>

<우리나라 최초의 아날로그 컴퓨터(1964년 제작)>
디지털 컴퓨터는 입력되는 자료를 문자ㆍ숫자와 같은 코드로 변환하여 처리하며 비연속적인 자료를 사용하여 사칙연산이나 논리연산을 주로 수행합니다. 기억능력과 정밀도가 높은 장점이 있는 반면, 연산속도가 느리며 온도ㆍ습도 등 연속적인 물리량을 데이터로 받아서 처리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보는 컴퓨터들이 디지털 컴퓨터입니다.

|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최초의 디지털 컴퓨터는 1972년에 만들어진 '세종1호'라고 합니다. 이 컴퓨터의 제작 목적은 산업적인 것이 아니라 정치적 목적이라고 하는군요.
(관련기사 : [전자산업 50년, 새로운 50년](22)`메모 콜`프로젝트 - 이티뉴스(전자신문))
■사진설명=1975년 10월 국내 최초로 개발된 미니컴퓨터 '세종1호'를 한국과학기술연구소(현 KIST) 한상준 소장이 설명하고 있다. |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를 비교하였습니다.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의 장점을 다 가지고 있는 컴퓨터입니다.
속도가 빠르고 가격이 싸며 직관적 판단이 가능한 아날로그 컴퓨터의 장점과 처리 능력이 크고 융통성이 뛰어난 디지털 컴퓨터의 장점을 결합한 컴퓨터입니다.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광범위한 적용 능력을 가지며, 다양한 문제 처리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동작 시뮬레이션이나 미분방정식의 신속한 해결은 아날로그의 이점을, 통계적·대수적 계산은 디지털의 이점을 이용해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형태의 신호를 입력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 출력하거나,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결과를 얻을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아날로그 컴퓨터보다 정확도가 훨씬 높으며 디지털 컴퓨터보다 속도가 빠릅니다. 프로세스 제어나 로봇 공학 등에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폴란드의 하이브리드 컴퓨터 WAT 1001>

<하이브리드 컴퓨터의 예 : 혈압측정기>
그리고, 컴퓨터를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범용 컴퓨터와 전용 컴퓨터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범용 컴퓨터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컴퓨터로, 디지털 컴퓨터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전용 컴퓨터
특수한 목적에만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컴퓨터로 자동 제어 시스템, 항공기술 등 산업용 제어 분야 등에 사용되며, 아날로그 컴퓨터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그럼, 이제 여러분의 집에서 책상위에 올려두고 사용하는 컴퓨터를 위의 컴퓨터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겠지요?

보통 가정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는 이런 모양이지요?
이 컴퓨터는 특수한 목적에만 쓰는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범용 컴퓨터라고 하겠습니다.
또 디지털로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처리하는 디지털 컴퓨터이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한 마이크로 컴퓨터이고, 책상 위에 올려 두고 쓰는 데스크탑 PC로 분류되겠습니다.
간혹 이런 컴퓨터를 아래 사진을 증거로 대며 휴대용 컴퓨터로 불러야 한다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렇게 우기면 안되겠지요. (^_^);

오늘 내용을 요점 정리하였습니다.
<요점정리>
◆ 컴퓨터의 분류
1. 데이터 취급에 따른 분류
● 디지털 컴퓨터 : 비연속적인 데이터(수치, 문자등)를 처리하는 범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컴퓨터
● 아날로그 컴퓨터 : 연속적인 데이터(전류, 전압, 온도, 속도등)를 처리하는 특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컴퓨터
● 하이브리드 컴퓨터 :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의 장점만으로 만든 컴퓨터
※ 아날로그 컴퓨터와 디지털 컴퓨터의 비교

2. 사용 용도에 따른 분류
● 범용 컴퓨터 : 디지털 컴퓨터로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기 위해 제작된 컴퓨터
● 전용 컴퓨터 : 아날로그 컴퓨터로서 특수 전문 분야(군사용, 항공기술, 의료용 등)에서 사용되기 위해 제작된 컴퓨터
3. 처리 능력에 따른 분류
● 슈퍼 컴퓨터(초대형 컴퓨터) : 최고 성능의 컴퓨터로 일기 예보, 우주항공 분야, 지형 분야등에서 사용함.
● 메인프레임(대형 컴퓨터) : 대규모 시스템으로, 병원, 은행,정부기관등에서 사용함.
● 미니 컴퓨터(중형 컴퓨터) : 중규모 시스템으로, 학교, 연구소등에서 사용함.
● 마이크로 컴퓨터(소형 컴퓨터) : 개인용 컴퓨터로서,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 역할을 함.
※ 마이크로 컴퓨터의 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