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초반으로 현재 시설관리(오피스텔) 현직자입니다.
이번 2회차 산업기사 실기시험은 68점으로 재수한 끝에 합격하였고
지난 1회차는 49점으로 불합된 바 있습니다.
먼저 명쾌한 해설, 부드러운 목소리, 쪽집게 특강으로 열정적 강의를 해주시는 조성안 교수님께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저와 같은 60대 현직자이면서 열공중인 동료분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드리고자 몇자 올립니다.
저는 토목을 전공, 지방공무원 퇴직자로 설비쪽은 비전공자이며
현 오피스텔에는 기계설비유지관리자가 2명(고급,초급)이 필요하여
2년간 공부중이던 전기산업기사를 일단 접어놓고
3월부터 필기를 시작하였습니다.
필기는 책을 사서 10일간 기출문제를 풀고 69점으로 통과하였지만
실기는 책만사서 인강없이 씨름하였지만, 이해도 되지않고 진도가 나아가질않아
할수없이 여러가지 인강을 찾아보던중, 조성안교수님 강의가 제일 나아보여 선택을 했습니다.
사실, 조성안교수님 인강은, 시설관리하는 60대 동료가 먼저 보고 있었고
강의내용중에 종종, 눈으로 익히지 말고 직접 풀어보라고 하는 등
좀, 설명 부실하다고 비추천하였지만 선택을 했습니다.
왜냐면, 다른 인강은 더 아닌것 같았기에...
그 동료도 1회차, 2회차를 응시하였지만, 이번에도 합격점 근처에도 상당히 미달, 불합되었습니다.
저의 작전은 산업기사를 합격한후에 기사를 도전하고자 했는데,
설비기사 역시도 조금만 더 공부를 하면 합격할것 같습니다.
고득점으로 합격하지 못했지만 저와 같은 연령대에게 공부하는 팁을 공유하자면..
냉난방 부하 단위계산 개념을 확실히 하지않으면 , 뒷장 넘어가면 안된다고 봅니다.
KJ과 W, 시간변화 단위 개념, 이것이 냉난방 문제의 핵심입니다. 아마 이게 실기의 40%는 차지하고
아직 본인도 습공기 선도를 100퍼 이해를 못했지만 노력하면 되겠고
위생, 적산은 암기에 가까우니까
인강을 반복해서 계속 들으면 될 것 같습니다.
조성안교수님 강의는 괜찬습니다. 다른건 안들었으니 모르겠고
강의를 불신하면 , 이해하기도 귀찬아지니까 반복해서 들어주세요... 뒤로 넘어가지 말고
냉난방 공조는 실기의 핵심이니 ,, 완전 이해를 하여야 합니다.
13문제가 나오니까 적어도 8문제를 완전히 작성해야합니다.
결코 만만한 실기가 아님을 느꼈습니다.
산업기사, 기사의 난이도는 분명히 있지만
산업기사를 통과하면 기사도 충분히 합격할 것 같습니다.
이번 합격률이 산업기사는 22%라고 본 것 같은데
60대 현직자분께 격려의 박수를 보냅니다.
그리고 교수님 고맙습니다.
첫댓글 축하드립니다.
축하드리고 기사 산업기사
난이도 차이 없어요~
2회 산업기사, 기사 둘 다 실기응시했고
기사는 합격
산업기사는 불합격했습니다.
산업기사 실력이시면
충준히 기사 붙으실 수 있습니다.
저도 필기 실기교재모두 기문사
한솔아카데미 인강 모두
조성안 교수님껄로 패스했습니다.
댓글 고맙습니다.....
아...합격을.축하드립니다....
그리고..채찍과 격려..감사합니다..
그리고 이렇게...후배님들을 위하여..
경험과..소감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네...제가 강의하면서..종종 <<각자 직접 풀어보세요.>>
를 자주 하는 편이지요..
저에 대한 불만중에 자주 듣는 소리입니다..
변명 ㅎ 을 좀 하자면..여러가지이유가 있지만..
기본적인 것은 설명을 드리지만..
실기 공부는 직접 풀어 보는게...가장 좋습니다..
그리고 강의를 듣다보면 느끼시겟지만..
같은 문제 유형이 여러번 반복되는 문제들이라서....
같은 설명을 계속하는것도 효율성이 아닌것 같아서.
그래서..직접 풀어보시면 됩니다..를 하는편입니다....
처음 강의를 들을때는 좀 불편할수도 있지만..
중간 정도만 진도가 나가면...갠찬아질겁니다..
어쨋든...최근에는 두번 세번 설명을 자세히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 자세히 강의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교수님의 강의방법에 동의합니다.
그러나 교수님의 강의가 비전공자에겐 좀, 어렵게 느껴지는것 같습니다.
저는 60대지만 토목 전공을 했고, 비전공인 전기산업기사 2년준비를 했기에
교수님의 인강내용을 거의 끄덕끄덕 하고,
교수님 말씀처럼 반복 숙달하면 됩니다.
기계설비도 전력으로 가동 되기에 전력량 계산이 필수이고 전기도 실기의 부분인것 같습니다.
특히 kJ/시간과 KW 변환이 헷갈릴것 같고, 별 준비없이 현직자로 도전하는
다수의 실무자, 비전공자는 상당히 어려울것 같습니다.
저와 같이 건축설비 자격증 공부중인 동료의 탄식소리에서 봤습니다. (실기60점에서 한참 안나옴)
인강수강생의 이해수준을 어느 관점에서 볼지는
교수님이 판단하시기 바라며
단원별 인강 제작시, 인사는 생략하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보통 인강은 오리엔테이션때 정도만하고 안하는 편입니다.
4회차 설비기사 실기때 인강 들으러 다시 오겠습니다. 저는 강의를 만족하며
고맙습니다.
저하고 같은 부분이 많습니다. 저도 6학년 중반입니다.
저도 토목직 공무원으로 정년퇴직했습니다.
전기산업기사는 요번에 취득했습니다.
건축설비기사 취득하려 카페가입했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선배님
반갑습니다.
시력 떨어지고 기억력은 감퇴하고 , 늦은 나이에 일 과 공부를 같이 하려니
전기산업기사 어렵던데, 아주 대단하십니다. ^^
전기기능사는 취득했는데 포기하려던
전기산업기사를 다시 준비해보려고 합니다.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합격 축하드립니다
앞으로도 전기기사도 합격하시길
화이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