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 물 재 배 기 술
❏ 연작과 기지
연작(連作) : 동일한 포장에서 같은 종류의 작물을 연이어 재배하는 것
기지(忌地) : 연작을 할 경우 작물의 생육이 현저하게 나빠지는 현상
❍ 연작의 필요성
대부분의 작물은 연작에 의한 기지현상이 나타나지만, 수익성이 높거나 수요량이 많고 입지조건상 다른 작물을 재배하기 곤란할 때에는 불가피하게 연작을 하게 된다.
밭농사, 시설재배 채소 등에서 연작이 이루어진다.
❍ 작물별 기지현상의 정도
1) 연작의 피해가 적은 것 : 벼·맥류·조·수수·옥수수·고구마·삼·담배·무·당근·양파·호박· 연·순무·아스파라거스·토당귀·미나리·딸기·양배추 등
2) 5~7년 휴작을 요하는 것 : 수박·가지·완두·우엉·고추·토마토 등
3) 10년 이상 휴작을 요하는 것 : 아마·인삼 등
(4) 연작에 의한 기지현상의 원인
- 비료분의 소모 - 토양 중 염류집적 - 토양물리성 악화 - 유독물질의 축적
- 토양선충의 해 - 토양전염병의 해
(5) 연작장해 대채(기지 대책)
- 윤작(輪作) - 담수(湛水) - 토양소독 - 객토(客土) 및 환토(換土) - 접목재배
- 지력배양
❏ 윤작
윤작(輪作, 돌려짓기)은 몇 작물을 특정한 순서대로 반복하여 재배하는 방식
❍ 윤작의 효과
1) 지력의 유지 및 증진
a. 콩과 작물에 의한 질소고정
b. 다비작물(多肥作物)의 재배에 의한 잔비효과(殘肥效果)
c. 심근성 작물에 의한 토양물리성 개량
d. 녹비작물에 의한 토양유기물의 증대
e. 사료작물의 순환에 의한 지력증진
2) 토양보호 3) 기지회피 4) 병충해 경감 5) 잡초경감 6) 수량증대
7) 토지이용도 향상 8) 노력분배 합리화 9) 농업경영의 안정성 증대
❏ 작부방식
(1) 간작
간작(間作)이란 주작물(主作物)의 고랑사이에 간작물(間作物)을 심어서 일정한 생육
기간 동안 주작물과 간작물이 같이 자라게 하는 방식
(2) 혼작
생육기간이 비슷한 두 종류 이상의 작물을 같은 포장에 섞어 심는 것, 콩밭에 수수나 옥수수를 점점이 혼작하면 콩이 주작물이고, 수수나 옥수수가 혼작물이 된다.
(3) 교호작
두 작물을 이랑별로 교호로 심어 재배하는 것으로 작물간에 주작물의 개념이 없다.
두 작물의 토양, 비료, 공간점유 등 생태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4) 주위작
주위작(周圍作)이란 포장 주위에 포장내 작물과 다른 종류의 작물을 재배하는 것으로
포장 주위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과 방풍효과를 겸할 수 있다.
❏ 종묘와 육묘
❍ 종묘
종묘(種苗)란 작물의 번식에 사용되는 것으로, 종자·구근(번식에 쓰이는 영양기관)·
묘 등을 말한다.
❍ 종묘로 이용되는 영양기관의 분류
1) 눈 : 마·포도나무 등
2) 잎 : 베고니아 등
3) 줄기
a. 지상경(덩굴) 또는 가지 : 포도나무·사과나무·귤나무·모시풀 등
b. 지하경(地下莖, 땅속줄기) : 생강·연·박하·호프, 등
c. 괴경 (塊莖, 덩이줄기) : 감자·토란·뚱단지 등
d. 구경(球莖, 알줄기) : 글라디올러스 등
e. 인경(鱗莖, 비늘줄기) : 나리·마늘 등
f. 흡지(吸枝) : 박하·모시풀 등
4) 뿌리
a. 지근(枝根) : 닥나무·고사리·부추 등
b. 괴근(槐根 ; 덩이뿌리) : 달리아·고구마·마 등
❍ 영양번식(무성번식)
(1) 영양번식의 이점
종자번식이 어려운 작물의 번식수단이 된다.
2) 우량한 형질의 유전질을 쉽게 영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3) 종자번식보다 생육이 왕성할 수 있다.
4) 암수 중 이용가치가 높은 쪽(포기)만을 재배할 수 있다.
5) 접목을 할 경우에는 수세조절, 풍토적응성 증대, 병충해저항성 증대, 결실촉진, 품질향상, 수세회복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2) 영양번식 방법
① 자연영양번식법
자연영양번식법은 감자의 괴경이나 고구마의 괴근처럼 모체에서 자연적으로 생성,
분리된 영양기관을 번식에 이용하는 것으로, 자구(子球)·목자(木子)·주아(珠芽) 등을
분리하여 증식시키는 분구(分球)가 있다.
② 인공영양번식법
인공영양번식법은 영양체의 재생 및 분생기능을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영양체를 분할
하여 번식시키는 것으로, 이에는 분주·취목·삽목·접목 등
(3) 분주
모주에서 발생하는 흡지를 뿌리가 달린 채로 분리하여 번식시키는 것
(4) 취목
취목(取木)은 가지나 새순을 모식물체에서 분리시키지 않은 채로 휘어서 땅에 묻거나 부정근 발생에 적당한 조건(암흑·수분·공기 등)을 만들어 주어 발근시킨 다음 절단하여 독립적인 개체로 번식시키는 방법
(5) 접목
두 식물체 가지의 형성층이 밀착, 유지되도록 하여 생리작용이 원활한 독립개체로 양 성하는 것을 접목(椄木)이라고 한다.
기부 쪽의 식물체를 대목(臺木)이라 하고, 정부 쪽의 식물체를 접수(接穗)라고 하며, 접목부가 유착되어 생리작용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는 상태를 활착(活着)이라고 한다. 접목 후 활착이 잘되어 정상적으로 발육과 결실이 이루어지는 것을 접목친화(椄木親 和)라고 한다.
- 접목의 이점(접목변이를 이용하는 이유)
1) 실생묘에 비하여 결과에 소요되는 연수가 단축된다.
2) 왜성 대목에 의한 왜화나 강화대목(强化臺木)에 의한 수세강화 등 수세조절이 가능하여 재배관리에 편리하다.
3) 대목의 종류에 따라 내한성·토양적응성(토양산도 및 건조 등) 등 풍토적응성이 증대된다.
4) 저항성 대목을 이용하여 병해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5) 과실의 품질향상 및 성숙이 촉진될 수 있다.
(6) 삽목
모체에서 분리한 영양체의 일부를 발근에 적당한 온도·습도·광(암소)의 조건 하에
심어 발근시켜서 독립개체로 번식시키는 것
② 삽목의 구분
1) 삽수의 종류별
엽삽(葉揷 : 베고니아·펠라고늄)
근삽(根揷 : 땅두릅나무·자두나무·앵두나무·사과나무·감나무·오동나무)
지삽(枝揷 : 포도나무·무화과나무)
2) 녹지삽(錄枝揷) : 당년생의 초본 녹지를 삽목(카네이션·펠라고늄·피튜니아)
3) 경지삽(硬枝揷) 또는 숙지삽(熟枝揷) : 묵은 가지를 삽목(포도나무·무화과나무 등)
4) 신초삽(新梢揷) 또는 반경지삽(半硬枝揷) : 1년 미만의 새 가지를 삽목(감귤)
5) 단아삽(單芽揷) : 눈 하나만을 가진 줄기를 삽목(포도나무)
❍ 육묘
(1) 육묘의 필요성 및 이점
- 직파가 곤란한 경우 - 증수 - 조기수확 - 토지이용도 증대 - 재해방지
- 노력절감 - 추대방지 - 종자절약
(2) 채소류의 육묘
① 육묘포트
근채류를 제외하고는 포트육묘를 하게 된다. 최근 육묘에는 cell이 수십 개 연결된 플라스틱트레이(plastic tray)가 쓰이고 있다.
② 상토(床土)의 구비조건
1) 배수가 잘되면서 통기성과 보수성이 높을 것
2) 적당히 비료분을 지녀 비절(肥切)이 없으면서, 비료분이 오래 간직될 것.
3) 병충해 발생의 염려가 없을 것.
③ 상토의 종류
1) 관행상토(숙성상토) : 퇴비와 흙을 섞어 쌓아 충분한 기간 동안 숙성된 것.
2) 속성상토 : 단시일내에 대량의 상토를 만드는 방법으로, 유기물과 흙을 5:5 내지 3:7의 비율로 하고 화학비료와 석회를 적당량 배합한 것.
3) 공정육묘(플러그육묘) 상토 : 속성상토를 말하며,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피트모스(peat moss)·펄라이트(perlite) 등을 혼합하여 사용, 기계화 파종에 적당한 물리성과 균일한 재현성을 갖추면서 가볍고 대량구입이 용이한 성질을 지닌 재료가 요구된다.
④ 묘상관리
1) 파종시기 : 작형에 알맞은 정식일로부터 작물별 필요한 육묘일수를 역산하여 파종일을 정한다.
2) 시비 : 상토량이 적은 공정육묘시에는 액비추비를 주체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3) 관수 : 과다한 관수는 좋지 않으며, 야간에 과습상태가 되지 않도록 오전중에 관수한다.
4) 경화 : 육묘 후기에는 관수량을 줄이고 온도를 낮추어 경화시킴으로써 정식 후 활착 및 생육이 잘되도록 한다.
❏ 재식
❍ 정지
(1) 경운의 효과
- 토양물리성 개선 - 토양화학성 개선 - 잡초경감 - 해충경감
❍ 파종
(1) 파종기를 지배하는 요인
작물의 종류, 작물의 품종, 재배지역, 작부체계 및 작형, 재해시기, 토양조건, 시장가격 및 출하기,노동력 사정,강우 등 기상조건 등이 파종시기에 결정에 영향을 미침
(2) 파종방법
1) 산파(散播, 흩어뿌림) 2) 조파(條播, 줄뿌림) 3) 점파(點播, 점뿌림) 4) 적파(適播)
(3) 파종량 결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
작물의 종류, 종자의 크기, 파종시기 및 작형, 재배지역, 재배법 및 파종방법, 토양
및 시비량, 종자의 조건 및 발아율 등을 고려해야 한다.
(4) 복토 및 진압
① 복토의 깊이
종자의 크기, 호광성 유무, 토양상태 등에 따라 복토(覆土)의 깊이기 달라지는데,
상추·담배 등 호광성인 것은 극히 얕게 감자·토란·튤립·수선화 등은 5~10cm 정도로
깊게 복토한다.
② 진압
파종 후 발아를 조장시키기 위하여 진압(鎭壓)을 하게 되는데, 소립 종자를 얕게
복토할 경우나 토양이 건조할 때에는 진압효과가 커서 발아가 잘된다.
❍ 이식
(1) 가식의 필요성 및 이점
- 작은 면적에 배게 파종하였다가 자라는 상태에 따라 간격을 띄어 가식(假植)함으로써 묘상면적을 절약할 수 있다.
- 가식과정의 단근에 의하여 잔뿌리(細根)가 발생하게 되어 정식 후 활착 및 생육이 좋아진다.
- 토양 및 기상상태가 불량한 시기를 회피하여 정식할 수 있고, 묘의 도장과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 시비
❍ 비료의 종류
1) 성분에 따른 분류 : 질소질 비료(황산암모니아<유안>·요소·질산암모니아). 인산질 비료(과인산석회<과석>·중과인산석회<중과석>·용성인비·용과린), 칼라질 비료(염화칼리·황산칼리), 복합비료(성분비율에 따라 다양함), 석회질 비료(생선회·소석회), 규산질 비료(규산고토석회·규회석), 고토질 비료(황산마그네슘·수산화마그네슘·고토석회·탄산마그네슘), 붕소질 비료(붕사) 등이 있다.
2) 효과의 지속성에 따른 분류 : 속효성 비료(황산암모니아<유안>·요소), 완효성 비료(깻묵, 완효성 화학비료), 지효성 비료(퇴비·구비) 등이 있다.
3) 화학반응에 따른 분류 : 산성 비료(과인산석회·중과인산석회), 중성 비료(황산암모니아·황산칼리·염화칼리·질산암모니아<초안>·깻묵·어박), 염기성 비료(용성인비·석회질소·재) 등이 있다.
4) 생리적 반응에 따른 분류 : 생리적 산성 비료(황산암모니아·황산칼리·염화칼리), 생리적 중성 비료(질산암모니아·요소·과인산석회·중과인산석회), 생리적 염기성 비료(석회질소·용성인비·재) 등이 있다.
(2) 비료의 유효성분과 비료
① 질소
질소비료 유효성분은 질산태·암모니아태·요소태·시안아미드태·단백태등으로 구별된다.
1) 질산태(NO3) : 질산암모니아(NH4NO3)·칠레초석(NaNO3) 등이 있다. 물에 잘 녹으며, 속효성으로 밭작물의 웃거름(追肥)에 적당하다. 음이온으로서 토양콜로이드에 흡착이 잘 안 되므로 유실되기 싶다.
2) 암모니아태(NH4) : 황산암모니아〔(NH4)2SO4〕·인산암모니아〔(NH4)2HPO4〕등이 있다. 물에 잘 녹으며, 속효성이지만 질산태보다는 흡수율이 떨어진다. 양이온이므로 토양에 잘 흡착되어 적게 유실되고, 밭토양에서는 질산환원균(窒酸還元菌)에 의하여 질산으로 변한다.
3) 요소〔(NH2)2CO〕 : 물에 잘 녹으며, 토양콜로이드에 흡착되지 않으므로 유실되기 쉽다.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탄산암모니아〔(NH4)2CO3〕로 변하므로 암모니아태 질소와 같은 비효를 나타낸다. 웃거름 및 엽면살포에 적당하다.
4) 시안아미드태(CN2) : 석회질소(CaCN2)가 있다. 토양 중 요소를 거쳐 탄산암모니아로 된다. 파종 1주일 전에 밭상태에서 사용하도록 한다.
5) 단백태(蛋白態) : 깻묵·어박 등이 있다. 토양 중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암모니아태로 변하는데, 암모니아화성작용이 느리다. 완효성으로 밑거름(基肥)으로 사용된다.
② 인산
인산질 비료는 인산(燐酸)의 용해성에 따라 수용성(水溶性), 구연산 암모니아에 용해되는 가용성(可溶性), 구연산에 용해되는 구용성(枸溶性), 불용성(不溶性)으로 분류된다.
1) 과인산석회(過燐酸石灰)·중과인산석회(重過燐酸石灰) : 수용성이며, 속효성으로 작물에 잘 흡수된다. 산성 토양에서는 철, 알루미늄과 반응하여 불용화하고, 토양에 고정되므로 흡수율이 낮다. 토양고정을 경감시키는 방법으로 토양반응을 조정하거나 퇴비와 혼합하여 시용할 필요가 있다.
2) 용성인비(榕成燐肥) : 구용성 인산으로 작물에 늦게 흡수된다. 토양 중에서의 고정은 적으며, 규산·석회마그네슘을 함유하므로 산성 토양을 개량하는 효과가 있다.
③ 칼리 :황산칼리(K2SO4)와 염화칼리(KCI)는 모두 수용성이고, 속효성이다.
(3) 시비에 있어서의 고려사항
실제 시비시에는 작물의 종류와 품종, 생육단계, 토양과 재배조건 등을 고려하여 시비
량이나 비료의 종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① 작물 종류에 따른 비료효과
1) 고구마 : 칼리질 비효가 크다.
2) 콩과 작물 : 석회의 비효가 크다.
3) 유채·셀러리·앨팰퍼·무·배추 : 붕소의 요구량이 많다.
4) 맥류 : 아연결핍의 해가 크다.
② 품종에 따른 시비
조생종보다 만생종의 시비량이 많아야 하며, 특히 질소질 웃거름의 시비횟수를 늘릴
필요가 있다.
(5) 시비방법
① 밑거름과 웃거름
인산·석회와 퇴비·깻묵 등의 완효성 비료는 전량을 밑거름(基肥)으로 주고, 요소·유안 같은 속효성의 질소질 비료는 밑거름과 웃거름(追肥)으로 나누어 준다.
누수와 비료분의 용탈이 심한 경우, 재배기간이 긴 경우 등은 분시횟수를 늘린다.
② 시비 위치에 따른 분류
작물의 생육특성에 따른 시비방법으로 평면적 위치에 따라 전면시비와 부분적 시비
(과수)로 구분되고, 입체적 위치에 따라 표층시비(채소류)·심층시비(과수)·전층시비로
구분된다.
(6) 엽면시비
① 엽면시비의 효과
1) 미량요소 공급 : 미량요소 결핍시 토양시비보다 효과가 빠르다.
2) 뿌리의 흡수력이 약해졌을 경우 : 뿌리가 상하여 흡수력이 저하되었을 경우에는 엽면시비(葉面施肥)가 효과적이다.
3) 급속한 영양회복 : 동상해나 병충해 등으로 급속한 영양회복이 요구될 경우에 효과적이다.
4) 품질향상 : 수확 전의 작물에 엽면시비를 하면 품질을 높일 수 있다.
5) 비료분의 유실방지 : 토양시비로 비료유실이 염려될 경우 비료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6) 노력 절약 : 농약과 혼합하여 살포할 경우 시비노력이 절약된다.
7) 토양시비가 곤란할 경우 : 초생재배를 하는 과수원 등 토양시비가 곤란한 경우에는 엽면시비가 효과적이다.
② 비료의 엽면흡수에 관여하는 요인
1) 잎의 표면보다 이면에서 흡수가 잘된다.
2) 잎의 호흡작용이 왕성한 낮에 흡수가 잘된다.
3) 노엽보다 성엽에서 흡수가 잘된다.
4) 살포용액의 pH가 미산성일 때 흡수가 잘된다.
5) 전착제(展着劑) 혼용은 흡수를 조장한다.
(7) 토양개량제의 효과
1) 입단형성 조장 : 크릴륨(krilium) 등은 토양입단의 형성을 촉진하여 통기성과 통수성이 좋게 한다.
2) 염기치환용량 증대 : 벤토나이트(bentonite)·제올라이트(zeolite) 등은 토양의 염기치환용량을 증대하여 보비력을 높인다.
❏ 재배관리
❍ 보식과 솎기
발아가 불량한 곳에 보충적으로 파종하는 것을 보파(補播)라고 하며, 이식 후 고사한 개체를 제거하고 다시 심는 것을 보식(補植)이라고 한다. 보파나 보식은 될수록 빨리 하는 것이 생육의 지연이 적게 된다.
발아 후 밀식된 곳의 일부 개체를 제거하여 재배에 알맞은 개체수를 확보하는 솎기작 업은 유전적·생리적으로 불량한 개체를 도태하고 우량개체만을 재배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 중경
(1) 중경의 이로운 점
중경(中耕)을 하면 ①발아가 조장되고, ②토양통기를 좋게 하며, ③토양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고, ④비효를 증진하며, ⑤잡초를 제거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2) 중경의 해로운 점
중경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피해가 있을 수 있다.
1) 단근(斷根) : 중경에 수반하여 필연적으로 단근이 되기 쉬운데, 재생력이 약한 작물이나 생식생장기의 단근은 피해가 크다.
2) 풍식(風蝕) 조장 : 중경에 의하여 표층토가 건조되고 토양이 분산되어 풍식을 받기 쉽다.
3) 동상해 조장 : 토양으로부터의 온열상승이 억제되어 유식물이 저온피해를 받을 수 있다.
❏ 잡초
❍ 잡초의 해작용
1) 작물과의 경쟁 : 수광·통풍 등 작물의 생육환경을 불량하게 하며, 작물과 양분·수분의 경합을 일으킨다.
2) 유해물질 분비 : 뿌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이 작물의 생육을 저해한다.
3) 병충해 전파 : 병원균의 중간숙주가 되거나 해충의 서식처가 되어 병충해 발생을 조장한다.
4) 품질저하 : 잡초 종자의 혼입에 의하여 곡물의 품질이 저하된다.
❍ 잡초 종자의 특성과 발아
1) 잡초 종자는 바람·물 등의 자연력에 의하여 전파되기도 하고, 동물이나 사람에 의하여 전파되기도 한다.
2) 많은 종류의 잡초 종자는 휴면을 가지는데, 자연상태에서의 저온·변온·광선 등의 영향을 받아 휴면이 타파되어 발아가 촉진된다.
3) 잡초 종자는 토양 중에서 1차 휴면, 2차 휴면을 거치면서 오랫동안 수명이 지속된다.
4) 잡초 종자는 호광성인 것이 많은데, 깊이 묻히게 되면, 광선이 부족하여 발아가 억제되어 장기간 수명이 지속된다.
❍ 잡초방제
1) 잡초의 예방 : 윤작, 방목, 소각 및 소토, 경운, 작물 종자의 선별, 재배방식, 멀칭(피복) 관개 등으로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다.
2) 잡초의 제거 : 기계적 및 화학적으로 잡초를 제거하거나 고사시킨다.
❍ 제초제의 이용원리
1) 작물을 파종하고 일정한 깊이로 복토(覆土)한 후 토양 표층에 제초제를 살포하면 작물에는 피해가 없고 발생심도가 얕은 잡초만을 효과적으로 죽일 수 있다.
2) 작물 생육중에는 선택성이 강한 제초제를 사용함으로써 작물에는 해가 없이 잡초만 죽일 수 있다.
3) 작물이 큰 상태일 때에는 저항성이 약한 유식물 단계의 잡초만 효과적으로 죽일 수 있다.
✪ 제초제 사용법
1) 사용시기에 따라 파종 전 처리, 파종 후 처리, 이식 전 처리, 생육 초기처리 등이 있는데, 살포시기에 따라 특성에 알맞은 제초제를 택해야 한다.
2) 제초제 사용시에는 기상조건과 토양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즉, 기온이 높을 때 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처리 후 비가 많이 오면 약제가 종자층에까지 침투하여 약해가 나타날 수도 있으며, 약제가 유실될 수도 있다. 토양수분의 과부족 상태에서는 작물의 저항성이 약해져서 약해를 입을 수도 있다. 또한, 사양토에서는 약제의 토양 중 이동이 심하게 된다.
✪ 제초제 사용시의 주의점
1) 약제의 선택, 사용시기, 사용농도를 적절히 한다.
2) 파종 후 처리시에는 복토를 충분히 깊게 한다.
3) 인축에 유해한 것은 사용시 주의한다.
4) 연용시에는 토양조건이나 잡초군락의 변화에 유의해야 한다.
5) 농약이나 비료분 등과의 혼용을 고려해야 한다.
❏ 멀칭
❍ 멀칭의 효과
1) 생육촉진 : PE(polyethylene)멀칭은 지온을 높이는 효과가 있어 조식·조파의 경우 생육이 촉진된다.
2) 한해의 경감 : 토양수분의 증발이 억제되어 한발의 피해가 경감된다.
3) 동해의 경감 : 월동작물의 동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4) 잡초의 억제 : 잡초의 발아(발생) 및 생육을 억제한다.
5) 토양보호 : 풍식·수식에 의한 토양침식을 방지한다.
6) 병해방지 : 빗물에 의한 흙튀김과 병원균의 전파(비산)를 막아서 병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7) 비료의 유실방지 : 빗물에 의한 토양 중 비료분의 유실을 막을 수 있다.
8) 토양입단의 형성 : 강우에 의한 입단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짚멀칭은 입단 형성을 촉진한다.
9) 시설내 멀칭 : 시설재배시 실내공기의 다습을 억제하므로 병해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 필름 종류에 따른 멀칭효과
필름 종류별로 투과되는 광의 파장이 달라짐에 따라 멀칭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투명필름은 지온상승의 효과는 크지만, 잡초발생이 많게 되므로 여름철 고온기의 피복재로는 적당하지 않다. 흑색필름은 지온상승 효과는 크지 않으나, 잡초발생을 억제한다.
녹색필름은 지온상승 효과도 있으면서 잡초를 억제하지만, 실제로 많이 쓰이고 있지는 않다.
❏ 배토
(1) 배토의 효과
1) 새 뿌리의 발생 조장 2) 도복의 경감 3) 무효분얼 억제 (벼·밭벼 등)
4) 괴경의 발육조장 : 감자의 경우 배토에 의하여 괴경의 비대가 촉진된다.
5) 배수 및 잡초방제 6) 품질향상 (대파의 연백, 당근 수부의 착색방지, 감자 괴경의 노출에 의한 녹화방지 등)
❏ 기타 생육형태 조절방법
1) 적심(摘心, 순지르기) : 원줄기나 원가지의 정단부를 잘라서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곁가지의 발생을 많게 하여 개화 및 착과를 많도록 한다. 과수·과채류·화훼류 등에서 실시한다.
2) 적아(摘芽, 눈따기) 및 곁가지 제거 : 필요하지 않은 눈이나 곁가지를 제거하여 생육을 조절한다.
3) 적엽(滴葉, 잎따기) : 늙은 잎이나 이병된 잎을 따서 통풍·수광을 좋게 하며, 호흡에 의한 여분의 물질소모를 억제하도록 한다.
❏ 병충해 방제
경종적인 방법, 생물학적 방법, 물리적 방법, 화학적 방법, 법(제도)적 방법 등이 있다.
1. 경종적 방제법
경종적 방제법(耕種的 防除法)에는 ①발병이 적은 지역 및 토지의 선정, ②저항성 품종의 선택, ③무병충해 종자의 선택, ④윤작, ⑤재배양식의 변경, ⑥혼식, ⑦생육기 조절, ⑧시비법 개선, ⑨정결한 관리, ⑩수확물의 건조, ⑪중간기주식물의 제거 등이 있다.
2. 생물학적 방제법
생물학적 방제법(生物學的 防除法)이란 천적(天敵)을 이용하는 방제법을 말하며, 이용하는 천적으로 기생성 곤충(寄生性 昆蟲)·포식성 곤충(捕食性 昆蟲)·병원미생물·길항미생물(拮抗微生物) 등이 있다.
3. 물리적(기계적) 방제법
물리적 방제법에는 ①포살(捕殺) 및 채란(採卵), ②소각(燒却), ③소토(燒土), ④담수, ⑤차단, ⑥유살(誘殺), ⑦온도처리 등의 방법이 있다.
4. 화학적 방제법
화학적 방제법(化學的 防除法)은 살균제·살충제·살비제(殺蜱劑)·살선충제·살서제(殺鼠劑) 등을 사용하는 방제법이다. 살충제에는 독제·접촉제·침투성 살충제·훈증제·훈연제·유인제·기피제·불임제 등이 있다.
5. 법적 방제법
법적 방제법(法的 昉除法)은 식물방역법에 의해 식물검역을 실시함으로써 위험한 병균이나 해충의 국내 침입이나 전파를 방지하는 방제법이다.
❏ 생력재배
1. 생력재배의 효과
생력재배(省力載培)에 의한 효과는 ①농업 노력비의 절감, ②단위수량의 증대, ③작부체계의 개선과 재배면적의 증대, ④농업경영의 개선 등이다. 또한 생력기계화 재배가 관행 인력재배에 비하여 단위수량 증대를 이룰 수 있는 요인으로는 지력의 증진, 적기 적작업, 재배방식의 개선 등을 들 수 있다.
2. 생력 기계화 재배의 전제조건
생력 기계화 재배에는 ①경지정리, ②집단재배, ③공동재배, ④잉여노력의 수익화, ⑤제초제의 이용, ⑥적응재배체계의 확립 등의 전제조건들이 필요하다.
❏ 채소의 분류와 특성
❍ 채소의 분류
1) 이용에 따른 분류
첫댓글 정보자료들 잘 보겠습니다..감사드려요..요 자료들 중에 시험문제 출제되는거 맞죠? ㅎ
회원여러분 모두 간새하면 안됩니다. 첨부파일을 잘 열어 보지 않기에 동의도 받지 않고 올렸습니다.
공 부 합 시 다.
시험감독은 제가...............
감사합니다^^
첨부파일도 부탁드립니다~~~!
너무잘봤습니다^^시험이라함은 어떤시험인가요??
즐기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