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 사회에서 ‘능력주의’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1-1. 한국 시민들은 ‘능력주의’를 부정하는가? ‘능력주의‘의 현실성을 부정하는가? 특권 없이 노력하여 성공한 사람들에게 찬사를 보내는 사회가 아닌가? 1-2. 저자는 능력주의 덕분에 경제적 성공과 함께 정당성을 얻은 상류계층이 존재하는 다른 나라와 한국을 대조한다. 대한민국 사람들이 상류 계층의 특권 추구에 거부감을 보이는 원인은 무엇일까? (상류 계층이 비합법적으로 특권을 추구하는 것은 시민들의 그같은 거부 때문이라고 보임)
첫댓글 1. 한국의 계급의식은 점점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필연적인 일일까?
2. 한국의 옅은 계급의식은 세계와는 다른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것을 어떻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까?
1. 한국 사회에서 ‘능력주의’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1-1. 한국 시민들은 ‘능력주의’를 부정하는가? ‘능력주의‘의 현실성을 부정하는가? 특권 없이 노력하여 성공한 사람들에게 찬사를 보내는 사회가 아닌가? 1-2. 저자는 능력주의 덕분에 경제적 성공과 함께 정당성을 얻은 상류계층이 존재하는 다른 나라와 한국을 대조한다. 대한민국 사람들이 상류 계층의 특권 추구에 거부감을 보이는 원인은 무엇일까? (상류 계층이 비합법적으로 특권을 추구하는 것은 시민들의 그같은 거부 때문이라고 보임)
1. 과연 프랑스처럼 입시의 과열을 막기 위해 대학서열의 균등성을 확보할 수 있을까.
2. 우리는 왜 특권중산층이 되고자 하는 것일까 (무엇이 경쟁사회로 내몰리게 한 원인이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