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마하지관
한국어 표준본 김무득 역 우리출판사 : 1-5, , , 1995. 大止觀坐禪法
영어 표준본: The Great Calming and Contemplation, Neal
Donner and Daniel B. Stevenson, A Kuroda
Institute Book, University of Hawaii Press,
Honolulu, 1998.
원어 표준본 대정신수대장경 권 쪽 : , , 46 , 1-140 . 摩訶止觀
일어 표준본: , , , ,1998. 詳解摩訶止觀 池田魯參 譯 大藏出版 東京
법화현의
한국어 표준본:
영어 표준본:
원어 표준본: 妙法蓮華經玄義, , 33 , 681-814 .
대정신수대장경 권 쪽일어 표준본: , , , , 1995. 法華玄義 菅野博史譯 第三文明社 東京
천태소지관
한국어 표준본:
영어 표준본:
원어 표준본: 修習止觀坐禪法要 , , 46 , 462- 대정신수대장경 권
475 . 쪽일어 표준본: , , , , 1996.
「마하지관」 은 지의가 수의 개황 년 월 일 형주 옥천사에서
14 (594) 4 26 하안거 동안 강설한 내용을 제자인 관정 이 기록한 것이다
관정灌頂은
십광 으로 구성된 오략五略
십광 十廣
대의 大意
석명 釋名
체상 體相
섭법 攝法
편원 偏圓
방편 方便
정관 正觀
과보 果報
기교 起敎
지귀장 旨歸章 이고
오략五略이란
대의장大意章 을 다시 발대심發大心 수대행 修大行 감대과 感大果
열대망 裂大網 귀대처歸大處 의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 마하지관」 『법화경』의 전체 내용을 총괄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지의 는 10장의 내용이 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구성을 취한다고 했다
10장중
1장에서 5장까지는 발대심發大心 에,
6장과7장은수대행修大行에,
8장은 감대과感大果에,
9장은열대망裂大網에,
10장은 귀대처歸大處 에 각각 해당한다.
제 1 장에서 5장 대의장의 발대심 發大心 은 올바른 발보리심에 대해 설명했다,
6장과7장 의 수대행 修大行 은 보리심을 세운 중생이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실천해야 할방법으로서 사종삼매 四種三昧 를 설명하고
8장 의 감대과感大果는 수행의 결과 얻게되는 중도中道 의 커다란 과보에 대해
9장 의 열대망裂大網은 과보의 결과 주위의 중생 또한 깨달음으로 이끄는이타행 利他行 의 성립에 대해
10장 의 귀대처歸大處는 자리自利 와 이타의 수행이 궁극적으로 도달하는 귀착지로서
법신法身 반야般若 해탈解脫 의 세가지 덕[三德]에 대해 설명했다
제 1 대의장大意章 을 통해 마하지관 의 내용을 총괄적으로 설명한뒤 다시
제 2 석명장釋名章 에서는 止觀의 의미
제 3 체상장體相章 에서는 止觀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진리
제 4 섭법장攝法章 에서는 止觀이라는 개념을 통해 부처의 모든가르침 [敎]을 포섭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했다
제5 편원장 偏圓章 은 섭법장에서 설명했던 부처의 가르침에
대소大小
공共 불공不共
권실 權實
사의 思議 와 불사의 不思議 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제6 방편장方便은 止觀을 실천하기에 앞서 갖춰야 할
이십오방편二十五方便에 대해 설명하고
제 정관장正觀 은 「마하지」관 의 중심 내용을 이루는 부분으로
십경십승관법十境十乘觀法 에 대해 설명했다.
十境 중 觀境 이후부터 장까지는 하안거 기간이 끝남에 따라
지의가 더 이상 강설하지 않아 장의 이름만 있고 내용 章은 없다
그러나 이 부분의 내용은 대의장의 감대과 열대망 귀대처를 통해 추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