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타 루치아(Santa Lucia, 18세기 중반 나폴리에서 채보한 민요)
※ 산타(성녀) 루치아는 나폴리의 수호성인
• 남몰래 흐르는 눈물(Una furtiva lagrima(=A furtive tear), by 이태리 테너 Luciano Pavarotti(1988), 1732년 도니체티(G. Donizetti) 작곡)
※ 루치아노 파바로티(Luciano Pavarotti, 1935-2007)는 스페인의 플라시도 도밍고(Placido Domingo, 1941 ~ ), 호세 카레라스(Jose Carreras, 1946 ~ )와 함께 세계 3대 테너. 파바로티 는 하이 C(고음 처리)의 제왕이라 불리며 천상의 목소리로 지녀 역사상 최고의 테러라는 평 가. 세계에서나 국내에서도 가장 인지도가 높은 편. 그는 여성 편력이 대단해 본처와 이혼하 는 등 바람둥이였는데, 72세에 췌장암으로 사망
• 베르디의 리골레토 중에서 여자의 마음(La donna e mobile(=The woman is mobile), 1851년)
※ 리골레토 3막에 등장하는 아리아인 이 곡은 진정한 사랑에는 관심이 없는 난봉꾼 공작이 17세 순정파 여성을 울린 것에 분개한 아버지가 복수하기 위해 자객을 보내지만, 정작 그 공작은 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자기 딸만 죽는다. 이때 공작이 바람에 날리는 갈대와 같이 변하기 쉬운 여자의 마음을 의기양양하게 부르는 노래 • 마리아 마리(Maria, Mari, by Mario Lanza, 1876년 곡) ※ 마리오 란자(Mario Lanza, 1921-1959)는 이태리계 미국 이민자 출신으로, 카루소의 전기 영화 위대한 카루소(1951년)의 주인공
• 후나쿨리 후니쿨라(Funiculi, Funicula, 나폴리 민요, 1880년 작곡)
※ 이태리 나폴리의 베수비오 화산에 1880년 세계 최초로 케이블카를 설치했는데, 사람들이 무서 워서 타지를 않자 시 당국에서는 타는 걸 독려하기 위해 이 곡을 만들어 홍보
• 오 쏠레 미오(O sole mio(=Oh, my sun), by Enrico Caruso, 1916, 나폴리 민요, 1898 작곡)
※ 카루소(1873-1921)는 나폴리 출생 당대 최고의 성악가(테너의 제왕, 제2대는 파바로티)이자 뮤지컬 배우. 보통 세계적인 성악가는 그의 이전과 이후로 나뉘는데, 이는 처음 축음기 음반 을 통해서만 그의 노래를 들을 수 있기 때문(그 이전은 실력이 말로만 전해질 뿐 들어보기는 불가능). 그는 인류사에서 성악을 만개시킨 인물
• 돌아오라 쏘렌토로(Torna a Sorrento(=Go back to Sorrento), 나폴리 민요, 1902년 작곡)
※ 소렌토로(쏘렌토가 맞는 발음)는 이태리 남부 나폴리 항구와 마주하고 있는 작은 항구 도시 로, 깎아지른 절벽 위의 건물들과 아름다운 해변은 지금도 인기 있는 관광지(로마시대부터 휴 양지로 유명)
• 무정한 사람(Core 'ngrato(Catari, Catari), by Luciano Pavarotti(1985), 1908년 미국 이태리 이민자 Salvatore Cardillo 작곡, Core 'ngrato는 영어로 ingrate(은혜를 모르는) heart란 뜻) ※ 이 곡은 열렬히 사랑하지만 무정한 사람 때문에 고통스러워하는 연인의 슬픔을 노래 / 이 외 에도 그의 대표곡은 도니체니의 사랑의 묘약, 베르디의 리콜레토, 가면무도회, 푸치니의 라 보엠, 푸치니의 투란도트 중 Nessun dorma(공주는 잠 못 이루고) 등
• 리베라이(Libelei, by Milva, 1961, Libelei는 1933년 독일 영화, 1895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서 초연된 연극)
※ 우리나라에선 문주란이 리베라이란 곡으로 노래
• 물망초(Non ti scordar di me(=Don't forger me), by Luciano Pavarotti(1980), 1935년 곡)
※ 사랑을 구하기 위해 도나우 강 중간의 작은 섬으로 헤엄을 쳐 천신만고 끝에 꽃을 따내 그 꽃 을 애인에게 던져주고는 나를 잊지 마세요라고 마지막 말을 남기고 물에 휩쓸려 사라졌다는 순애보적인 사랑 / 우리나라에선 최양숙이 물망초란 곡으로 노래
• Chitarra Romana(=Roman guitar), by Luciano Pavarotti(1984), 1935년 곡)
• Vieni vieni(=Come come), by 미국 Rudy Vallee, 1937)
※ Rudy Vallee(1901-1986)는 가수(1920년대 중후반 최고의 인기 가수), 배우, 밴드 리더, 라이 오 호스트
• Bella ciao(안녕 내 사랑(=Nice hello), 1906년경 곡으로 원래 나치에 저항한 파르티잔(빨치산) 의 애창곡)
※ 이 곡은 인터내셔널가(2세기에 걸쳐 사회주의, 아나키즘, 환경 운동 등 진보세력이 애창하는 노래)와 함께 좌파 세력의 시위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노래로(우리나라에선 ‘애국투사의 꽃’으로 번안), 폭압적인 정권이나 권력자에 대항해서 자유를 갈구하는 곡. 그 가사는 애인 에게 작별을 고하고 죽음을 각오하여 전장으로 떠나는 파르티잔(빨치산) 용사의 각오를 다짐 한다는 줄거리
• 아마다 미아(Amada mia(=my dear), by Nilla Pizzi, 1948)
※ Nilla Pizzi는 1950년대 이태리에서 가장 유명한 가수 중 한 명 / 우리나라에선 최양숙이 아 마다 미아란 곡으로 노래 / 이 곡은 원래 1946년 미국 영화(Gilda)의 OST로 주연 리타 헤이워 드가 립싱크(실제 부른 가수는 Anita K. Ellis)
• La raspa(by Nilla Pizzi, 1950)
• Anema e core(=Heart and soul), 마음과 영혼, by 이태리 테너 Tito Schipa(1950), 1951년 Perry Commo의 With all my heart and soul 노래)
• Vola colomba(날아든 작은 비둘기(=Fly dove), by Nilla Pizzi, 1952년 산레모 가요제 우승곡)
• 루나 로사(Luna Rossa(=Red moon), 붉은 달, by Claudio Villa, 1954)
※ Claudio Villa는 이태리 가수(1950년대 중후반 이후 가장 인기 가수)이자 영화 배우 /우리나 라에선 최양숙이 루나 롯사란 곡으로 노래
• Tutte le mamme(=All mamas), 모든 어머니, by Giorgio Consoline & Gino Latilla, 1954)
• Gelsomina(La Strada(길), 1954년 이태리 영화 길(안소니 퀸 주연) OST, by 이태리 Nino Rota)
※ Nino Rota는 작곡자, 피아니스트, 밴드 지휘자로, 그는 1974년 아카데미 작품상과 작품상 등 을 휩쓴 대부(Godfather)의 주제곡 연주한 것으로 유명
• Buongiorno tristezza(=Good morning sadness), 슬픔이여 안녕, by Claudio Villa & Tullio Pane, 1955) • Arrivederci Roma(=Goodbye, Rome), 1955년 이태리 경음악, Bing Crosby(1956)/Dean Martin(1962) 노래)
• 낚시터의 즐거움(Don ciccio 'o piscatore, by Marino Marini, 1956)
※ Marino Marini는 1950년대 국제적 명성을 가진 이태리 뮤지션, 그는 6개월간 미국 방문 동안 Dizzy Gillespie 등 중요한 재즈 음악가들로부터 영향 / 우리나라에선 강병철과 삼태기가 낚 시터의 즐거움이란 곡으로 노래
• Come prima(=Like before), by 이태리 Tony Dallara, 1957)
※ Tony Dallara는 이태리 가수이자 배우
• La piu bella del mond(by 이태리 Marino Marini, 1957)
• 볼라레(Volare(=To fly), Nel blu dipinto di blu(=In the blue painted blue), by Domenico Modugno 작곡 및 노래, 1958)
※ 도메니코 모두뇨(1928-1994)는 가수, 작사.작곡가, 기타리스트, 배우, 영화감독, 연출가, 사 회운동가, 정치가(국회의원) 등 팔방미인. 그는 칸초네에 록 음악 요소를 도입한 음악 개혁 의 선구자로 칭송받는 뮤지션
• 챠오 챠오 밤비나(Ciao Ciao Bombina(=Bye bye Bambina), by Domenico Modugno, 1958)
※ 우리나라에선 정시스터즈가 챠오 챠오 밤비나란 곡으로 노래
• Nel blu, dipinto di blu(=In the blue painted blue), 파랗게 물든 하늘에서, by Domenico Modugno & Johnny Dorelli, 1958년 산레모 가요제 우승곡)
• 나의 사랑(Amore mio(=My love)(Sinno me moro), by Alida Chelli, 1959년 영화 OST)
※ Alida Chelli는 가수 겸 영화배우, TV 호스테스 / 우리나라에선 최양숙이 죽도록 사랑해서란 곡으로 노래
• 피노키오에게 보내는 편지(Lettera a Pinocchio(=Letter to Pinocchio), by Johnny Dorelli, 1959)
※ Johnny Dorelli는 가수 겸 배우. 그는 1958년 Domenico Mougno와 함께 산레모 가요제 우승곡 Nel blu, dipinto di blu를 불러 인기 상승 / 우리나라에선 유주용이 피노키오에게 보내는 편 지란 곡으로 노래
• Tout l'amor(=All the love), Passion Flower, by Caterina Valent(프랑스 출생 이태리), 1959)
※ 우리나라에선 정미조가 정열의 꽃이란 곡으로 노래
• Sur nel cielo(=Up in the sky), 하늘 위에, What a sky(1960년 영화 태양의 유혹(I Delfini) OST, by Nico Fidenco)
※ Nico Fidenco는 1960년대 인기 정상에 있던 가수
• Trust me(1960년 영화 정사(L'advventura(=The Adventure), 알랭 드롱 주연) OST, by Nico Fidenco)
• Romantica(=Romatic), by 이태리 Tony Dallara, 1960년 산레모 가요제 우승곡)
• Il gabbiano(=The seagull), by 이태리 Daisy Lumini, 1960)
※ 귀여운 외모의 Daisy Lumini는 가수, 작곡가, 피아니스트, TV 탤런트(5개 국어에 능통하여 여 러 국가에 TV 출연)
• 가방을 든 여인(La ragazza con la valigia(=Girl with a suitcase), 1961년 영화 주제가)
• 나의 손을 잡고(Stringiti alla mia mano(=Cling to my hand), by 이태리 Miranda Martino, 1961)
※ Miranda Martinos는 여가수 겸 배우
• Pepito(by Cocky Mazzetti, 1961)
• Al di la(=Beyond), by 이태리 Betty Curtis(1961년 산레모 가요제 우승곡), 1962년 이태리-미 국 Connie Francis 이태리어 노래) ※ Betty Curtis의 1959년 노래 Nessuno(=Nobody), Guantanamera(1967)도 유명
• Tango delle Rose(=Tango of rose), by Gigliola Cinquetti(1973), 1961년 곡)
• Il mare nel casseto(=The sea in the draw), by Milva, 1961)
• Quando quando quando(=When when when), by Tony Renis, 1962)
※ Tony Renis는 싱어송라이터, 작곡가, 뮤직 프로듀서, 배우. 그는 이 곡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
• Tango delle rose(by Gingliola Cinquetti(1973), 1967년 Connie Francis 노래, 1961년 이태 리-미국 Joe Domiano 곡)
※ 미국 여가수 Connie Francis는 이태리어로도 노래하고, 영어 제목 Love에 Italian style로도 노래 / 우리나라에선 배호가 장미의 탱고란 번안곡으로 노래
• L'eclisse(=The eclipse), by Mina & C. Tempia and his Orch., 1961)
※ 우리나라에선 현미의 태양은 외로워란 곡으로 노래
• Go-Kart Twist(선라이트 트위스트, by Gianni Morandi, 1962)
※ Gianni Morandi는 이태리 팝 싱어, 배우이자 엔터테이너
• 부베의 연인(La ragazza di Bube(= The Bube girl), by Carlo Rustichelli, 1963)
※ 1964년 이태리 영화 부베의 연인(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주연, 14년을 선고받고 복역 중인 애 인 부베를 기다리는 한 여성이 애절한 사랑 이야기) OST / 우리나라에선 이금희(또는 배호)가 부베의 연인이란 곡으로 노래
• Sapore di sale(=Flavor of salt), by Gino Paoli, 1963)
• 노노레타(Non ho l'eta(=I'm not old enough), by Gigliola Cinquetti, 1964)
※ 질리오라 칭케티(1947 ~ )는 1964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얼린 유로비젼 콘테스트에서 16세의 어린 나이로 이태리인으로선 첫 우승하면서 유명세 / 우리나라에선 조애희가 나이도 어린데란 곡으로 노래
• 첫사랑의 눈물(Il primo bacio che daro(=The first kiss I give), by Gigliola Cinquetti, 1964)
※ 우리나라에선 김추자가 첫사랑의 눈물이란 곡으로 노래
• 라노비아(La Novia, by Tony Dallara, 1964, 1962년 칠레 곡)
※ 이 곡은 영국 Julie Rogers가 1964년 불러 알려진 이래, 같은 해 이태리 버전으로 Tony Dallara가 노래. 그 가사는 사랑하는 사람이 결혼식을 올리는 것을 슬프게 지켜보는 실연이 그 줄거리 / 우리나라에서 유주용이 라노비아란 곡으로 노래
• 얼굴 위 한 방울의 눈물(Una lacrima sul viso(=A tear on the face), by 이태리 Bobby Solo, 1964)
• Ho capito che ti amo(=I understood that I love you), 사랑이 눈 뜰 때, by Luigi Tenco(1964), 1965년 Wilma Goich 노래)
※ Luigi Tenco(루이지 텐코)는 연인이었던 최고의 미모를 갖춘 달리다(Dalida, 미스 이집트 출신 프랑스 가수)와 1967년 산레모 가요제에 출전했으나 예선 탈락의 고배를 마시자 호텔 방에서 자살(달리다도 한 달 후 자살을 시도했지만, 미수에 그친 이래 우울증에 시달리다 1970년 전 남편이었던 프랑스 방송국 프로듀서 뤼시앙 모리스가 자살하자 큰 충격, 자신도 1987년 자살)
• In ginocchio da te(=Kneeling by you), 그대에게 무릎을 꿇고, by Gianni Maradi, 1964)
• Quando vedrai la mia ragazza(=When you see my girlfriend), by 이태리-산마리노 Little Tony, 1964)
• Beatie voi(by 이태리 Daniela Casa, 1964)
• E se domani(=And if tomorrow), by 이태리 Mina,
※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이태리의 중요한 가수. 그녀는 3옥타브의 음역대와 해방된 여성 의 이미지로 유명
• 사랑한다 말하지 않아도(lo che non vivo(=That I don't live), by Pino Donaggio, 1965)
• 방랑자(Vagabondo(=Vaganond), by Nicola Di Bari, 1965)
※ Nicola Di Bari는 이 곡 외에도 산레모 가요제 연속 우승한 마음은 집시(Il cuore e uno zingaro, 1971)와 무지개 같은 나날(I giorni dell'arcobaleno, 1972), La prima cosa bella(=The first beautiful thing, 1970), Era di primavera(=It was spring, 1984), Un uomo molte cose non le sa(=A man does not know many things, 1971) 등 /우리나라에서 박인희가 방랑자란 곡으로 노 래(당시엔 인터넷이 발달하여 일반인들은 외국곡을 접할 기회가 없었고, 그래서 표절이란 개념이 없었 던 시절. 지금은 무난한 용어인 번안곡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모든 가수들이 원곡의 작곡자에게 사전 동의 없이 공짜로 부른 것이므로 지금의 개념으로는 엄연한 표절)
• 축제의 노래(Aria di festa(=Aria of festival), by Milva, 1965)
※ 이태리 국민 가수로 칸쏘네의 여왕이란 별명을 지닌 밀바(1939 ~ )는 이 외에도 서글픈 사랑, 눈물 속 에 피는 꽃이란 곡으로도 유명. 그녀의 노래는 칸쏘네를 세계에 널리 확산시키는데 커다란 기여 / 우리 나라에선 트윈폴리오가 축제의 노래란 곡으로 노래 / 우리나라에선 박인희가 방랑자란 번안곡으로 노래
• 밤하늘의 트럼펫(Le silenzio(=The sillence), by 이태리 Nini Rosso, 1965) ※ Nini Rosso는 이태리 재즈 트럼펫 연주가 / 우리나라에선 유주용이 밤하늘에 트럼펫이란 번안곡으로 노 래
• 기타야 조용히 울려라(Chitarra suona piu piano(=Guitar plays more slowly), by Nicola Di Bari, 1965) ※ 우리나라에선 김욱이 기타야 조용히 울려라란 번안곡으로 노래
• Le colline sono in fiore(=The hills are in bloom), 꽃피는 언덕에서 눈물 흘리며, by 이태리 Wilma Goich, 1965)
• 내 사랑아(Vita mia(=My life), by 이태리 Tony Del Monaco, 1965)
※ 우리나라에선 조영남이 내 사랑아란 번안곡으로 노래
• Un grande amore e niente piu(=A great love for nothing more), 잃어버린 사랑을 찾아서, by 이태리 Peppino Di Capri, 1965)
• Io che non vivo senza te(=I don't live without you), 이 가슴에 설레임을, by Pino Donaggio, 1965)
• Se piangi, se ridi(=If you cry, if you laugh), 그대에게 눈물과 미소를, by 이태리 Bobby Solo, 1965)
• La casa del signore(=The house of the lord), by 이태리 Bobby Solo(1965), 1953년 미국 곡)
• Il mondo(=The world), by 이태리 Jimmy Fontana, 1965)
※ 이태리 가수 겸 작곡가, 배우인 Jimmy Fontana는 이 곡 뿐 아니라 1971년 Jose Feliciano & Ricci e Poveri가 Che sara(=Whatever will be)의 작곡으로도 유명
• Vedrai vedrai(=You'll see), by Luigi Tenco, 1965)
• E se qualcuno si innamorera di mi(=And if someone falls in love with me), 안개 낀 밤의 데 이트, by 프랑스 Marie Laforet, 1965) • 서글픈 사랑(Nessundo di voi(=None of you), by Milva, 1966)
• 꽃의 속삭임(In un fiore(=In a flower), by 이태리 Wilma Goich, 1966)
• Nussuno mi puo giudicare(=No one can judge me), 청춘에 산다, by Caterina Caselli, 1966)
※ Caterina Caselli는 이태리 가수, 레코드 프로듀서, 배우
• Dio come ti amo(=God, How I love you), 사랑은 끝없이, by Domenico Modugno & Gigliola Cinquetti,1966)
• 눈물 속에 피는 꽃(L'immensita(=Immensity), by Johnny Dorelli, 1967)
※ 이 곡은 Milva가 부른 원곡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실은 1967년 산레모 가요제에서 Johnny Dorelli 가 불러 입상 / 우리나라에선 한경애가 눈물 속에 피는 꽃이란 번안곡으로 노래
• 검은 장미(La rosa nera(=The black rose), by Gigliola Cinqutti, 1967)
※ 우리나라에선 바니걸스가 검은 장미란 곡으로 노래
• 첫사랑(Cuore matto(=Crazy heart), by 이태리 Little Tony, 1967)
※ Dalida도 같은 해 다른 프랑스어 제목으로 같은 멜로디의 노래 / 우리나라에선 펄시스터즈가 첫사랑이란 번안곡으로 노래
• Un anno d'amor(=A year of love), by 프랑스 Mina(1967), 1992년 스페인 Luz Casal 노래)
• Non pensare a me/Vita(=Don't think about me), by 이태리 Claudio Villa, 1967)
※ 가수 겸 배우 Claudio Villa은 생전에 3천곡 이상 녹음
• Gli occhi miei(=My eyes), 나의 눈동자, by Wilma Goich, 1968)
• Un uomo piange solo per amore(=A man cries only out of love), 사랑만을 위해 우는 남자, by 이태리(산 마리노) Little Tony, 1968) • Quando m'innamoro(=When I fall in love), 사랑이 꽃 필 때, by 이태리 Anna Identici & The Sandpipers, 1968) • Canzone per te(그대에게 바치는 노래(=Song for you), by Sergio Endrigo & Sergio Bardotti, 1968년 산레모 가요제 우승곡)
• La bambola(=Doll), by 이태리 Patty Pravo, 1968)
※ Patty Pravo(1948년 생)는 1960, 70년대 인기를 누렸던 여가수, 그녀는 이 곡 외에도 Pazza idea(=Crazy idea, 1973), Pensiero stupendo(=Wonderful thought, 1978) 등이 대표곡
• Yo soi Mari(스페인어, =I'm Mari), by Milva, 1968)
• 비(La pioggia(=The rain), by Gigliola Cinquetti, 1969)
※ 우리나라에선 펄시스터즈가 비란 번안곡으로 노래
• Gli occhi miei(=My eyes), by Wilma Goich, 1969)
• 검은 고양이 네로(Volevo un gatto nero(=I wanted a black cat), by Zecchino d'Oro(album), 1969)
※ 우리나라에선 김혜령이 검은 고양이 네로란 번안곡으로 노래
• Il volto della vita(=The face of life), by Caterina Caselli, 1968)
• 내 마음은 제비처럼(Volano le rondini(=Swallows fly), by Gigliola Cinquetti, 1969)
※ 우리나라에선 물레방아가 내 마음은 제비처럼이란 번안곡으로 노래
• Quando l'amore diventa poesia(=When the love became poetry), by Massimo Ranieri, 1970)
※ Massimo Ranieri는 가수 겸 배우 Massimo Ranieri
• Zingara(집시(Gypsy), by Bobby Solo & Iva Zanicchi, 1970)
• 내 생애 단 한 번만이라도(Magia(=Magic), by Massimo Ranieri, 1970)
※ 우리나라에서 조영남이 내 생애 단 한 번만이라도란 번안곡으로 노래
• 사랑의 눈물(Non no proprio casa dirti(=not no home to tell you), by 이태리 Lydia and Paul,1970)
• L'amore e una colomba(=Love and a dove), 사랑은 비둘기처럼, by 이태리 Marisa Sannia, 1970)
• 마음은 집시(Il cuore e uno zingaro(=The heart and a gypsy), by Nicola Di Bari & Nada, 1971)
※ 우리나라에선 맹인 가수 이용복이 마음은 집시란 번안곡으로 노래
• 케세라(Che Sera(=That evening), by Franco Migliacci 노래(1971), 1973년 푸에리토리코 Jose Feliciano 노래)
※ 스페인어 Que sera sera는 영어로 Whatever will be, will be?인데, 우리나라에서 될 대로 되라는 식으로 방관하거나 포기하는 의미로 쓰이지만(일본이 번역하는 과정에서 오류를 범한 것), 실제 의미는 이루어 질 일은 언제든 이루어지니까 억지로 바꾸려 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희망을 가지라는 뜻(즉, 우리는 부정적인 용어에서 초연한 느낌으로 그 의미를 변경해야 할 듯)
• 1943년 3월 4일 생(4/3/1943, by 이태리 Lucio Dalla, 1971)
※ 우리나라에선 맹인 가수 이용복이 1943년 3월 4일 생이란 번안곡으로 노래
• Rose nel buio(=Rose in the dark), 어둠속의 장미 또는 밤의 장미, by Ada Mori, 1971)
• 무지개 같은 나날(I giorni dell'arcobaleno(=The days of the rainbow), by Nicola di Bari, 1972)
• 나자리노(1976년 아르헨티나 영화 Nazarino OST, 1972년 Soleado(영어 주제가 When a child is born), 연주곡)
• 불타는 사랑(Il re di denari(=The king of money), by 이태리 Nada (Malanima), 1972)
※ 여가수 Nada의 본명은 Rosignano Marittimo. 그녀는 1971년 산레모 가요제에서 Nicola Di Bari와 함 께 마음은 집시(Il cuore e uno zingaro)를 노래하면서 유명세 / 우리나라에선 정미조가 불타는 사 랑이란 번안곡으로 노래
• Chi mai(=Whoever), by Milva, 1972)
• Il mio canto libero(=My free song), by Lucio Battisti, 1972)
※ Lucio Battisti는 가수 겸 작곡가, 기타리스트. 그는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까지 이태리 송라이팅 에 폭넓게 참여
• Questo piccolo grande amore(=The little, big love), 작지만 위대한 사랑, by Claudio Baglioni, 1972)
※ 이태리에서 국민가수 급 대우를 받는 Claudio Baglioni(1943-1998, 암으로 사망)은 국내에서 음반이 가장 많이 팔린 뮤지션 중 하나. 그는 가수 파올라 마싸리(Paola Massari)와 결혼했다가 이혼
• Vado a lavorare(=I go to work), 젊음과 땅, by Gianni Morandi,1972)
• Gira l'amore(=Love turns), 사랑아 달려라, by Gigliola Cinquetti,1972)
• Maria Mari(by 미국 Al Martino, 1972)
※ 미국의 이태리 이민자 출신 가수 겸 배우 알 마티노(Al Martino) 1950년대 초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 지 정상에서 활약한 이지리스닝 뮤지션. 그의 대표작으로는 I love you because, Spanish eyes, I love you more and more, Tears and roses, 영화 대부의 주제곡 Speak softly love, Here in my heart, Love is blue, Always together 등
• Nulla rimpiangero(=Nothing regrets), 아무것도 후회하지 않아요, by Milva, 1972), A
• 그토록 오랫동안(Da troppo tempo(=for too long), by Milva, 1973)
• Soleado(나자리노 연주곡, by 이태리 팝 그룹 Daniel Sentacruz Ensemble, 1974)
※ Soleado는 여러 나라에서 리메이크했는데, 독일에선 1974년 Tränen lügen nicht, 프랑스에선 가수 Mireille Mathieu가 1975년 On ne vit pas sans se dire adieu, 미국에선 가수 Johnny Mathis가 When a child is born이란 제목으로 노래하였고, 1975년 아르헨티나 영화 나자리노의 주제곡으로도 유명(프랑스 악단 Paul Mariat의 연주곡) / 우리나라에선 박건이 잊고 살리라란 번안곡으로 노래
• 토르네로(Tornero(=I'll be back), by 이태리 5인조 그룹 I Santo California, 1974)
• 그대여 안녕(Ciao cara, come stai(=Hello darling how are you), by Iva Zanicchi, 1974)
※ Iva Zanicchi는 이태리 가수이자 정치인(유럽의회에 진출), 그녀의 음색은 메조 소프라노 / 우리나라 에서 이숙이 그대여 안녕이란 번안곡으로 노래
• A serenata 'e Pulcinella(by Massimo Ranieri(1974), 1916년 오페라 곡)
• Buio in paradisco(=Dark in the mind), by Caterina Caselli, 1974)
• Anima latina(=Latin soul), by Lucio Battisti, 1974)
• Rimmel(=Mascara), by Francesco De Gregori, 1975)
※ De Gregoris는 가수 겸 시인으로, 밥 딜런과 레오나드 코헨의 영향을 많이 받은 싱어송라이터
• Musica ribelle(=Rebel music), by Eugenio Finardi,
※ Eugenio Finardi는 이태리 특유의 록 싱어(부르스, 클래식 로큰롤, 뉴웨이브 & 테그노 팝)이자 기타리 스트
• Fantasia(=Fantasy), by 이태리 밴드 Pooh, 1975)
• L'Appuntamento(=The appointment), by Ornella Vanoni, 1977)
• Bella da Morire(=Beautiful to die for), 죽도록 아름다운, by 이태리 밴드 Homo Sapiens, 1977)
• Come profondo il more(=How deep the sea, by Lucio Dalla, 1977)
※ Lucio Dalla는 싱어송라이터이자 배우, 클라리넷 연주가. 그는 여러 가수들이 부른 노래 카루소 (Caruso, 카루소 추모곡)의 작곡자
• 글로리아(Gloria, by Umberto Tozzi, 1979)
※ Umberto Tozzi는 록 싱어 / 이 곡은 이태리 작곡자이자 성직자 비발디(A. Vivaldi)는 Gloria(1715년 경 작곡)와, 미국 R&B 밴드 Enchantment가 부른 Gloria(1976년)와는 다른 곡
• Su di noi(=About us), by Pupo, 1980)
※ Pupo는 싱어송라이터, 작곡가, TV 사회자
• 귀여운 반항아(Sara perche ti amo(=It'll be because I love you), by Ricci e Poveri, 1981)
※ Ricci e Poveri는 팝 뮤직 그룹(3인조)으로 이태리 음반 판매고가 많은 뮤지션
• 오리의 춤(Il ballo del qua qua(=dance of qua qua), by Al Bano & Romina Power, 1981)
※ Al Bano & Romina Power은 이태리 팝 뮤직 듀오(부부 가수)로 음판 판매고가 많은 뮤지션. 대표곡으 로는 Felicita, Sharazan, Ci sara, Sempre sempre 등 / 우리나라에선 전영이 모두가 천사라면이 란 번안곡으로 노래
• Via con me(=Go with me), by Paolo Conte, 1981)
※ Paolo Conte는 이태리 가수, 피아니스트, 비브라폰 연주가, 작곡가(영화음악 등), 변호사
• (언덕 위의) 하얀 집(Casa bianca(=White house), by 그리스 Vicky Leandros(1982), 원곡은 1968 년 이태리 Don Becky 노래는 산레모 가요제 2위 곡)
※ 우리나라에선 정훈희가 하얀 집이란 번안곡으로 노래
• 페리시타(Felicita(=happiness), by 이태리 듀오 Al Bano & Romina Power, 1982)
※ 우리나라에선 이용이 사랑, 행복 그리고 이별이란 번안곡으로 노래
• Ci sara(=Yes, it will be), by 이태리 듀오 Al Bano & Romina Power, 1984)
• 카루소(Caruso, by Lucio Dalla, 1986, 세계적 이태리 테너 Enrico Caruso 추모곡)
• Lo amo(=I love), by Fausto Leali, 1987)
※ Fausto Leali는 이태리 팝 싱어이자 기타리스트
• Ci vorrebbe il mare(=It would take the sea), by Marco Masini, 1990)
• Vattene amore(=Go away love), by Amedeo Minghi & Mietta, 1990)
• La vita mia(=My life), by Amedeo Minghi, 1990)
• Mille giorni de te e di me(=A thousand days of you and me), by Claudio Baglioni, 1990)
• Perche lo fai(=Why are you doing it), by Marco Masini, 1991)
• La forza della vita(=The power of love), by Paola Vallesi, 1992)
※ Paola Vallesi는 이태리에서 아주 드물게 스페인어로 노래하는 싱어송라이터
• Di piu(=More), by Paola Vallesi, 1992)
• Tien An Men(천안문, by 이태리 Claudio Lolli, 1992)
※ Claudio Lolli는 싱어송라이터, 시인, 중학교 교사
• Mi rubi l'anima(=You steal my soul), by Laura Pausini, 1993)
• La solitudine(=Loneliness), by Laura Pausini, 1993)
※ 여가수 Laura Pausini는 싱어송라이터, 레코드 프로듀서, TV 고정 출연자로, 이태리 뿐 만 아니라 스 페인, 네덜란드, 포르투갈, 영국 등 1990년대 중반 이후 2000년대 초까지 세계적으로도 명성
• Time to say goodbye(by 팝페라 가수 Andera Bocelli & Sara Brightman, 1995)
• La mia storia tra le dita(=My story between my fingers), by Gianluca Grignani, 1995)
※ Gianluca Gringnani는 이태리 싱어송라이터이자 기타리스트. 그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Tom Waites 에 영향을 받은 가수
• Notti senza amore(이태리어, =Nights without love), 한없는 사랑, by 영국 Kate St. John, 1997, 오보에 연주)
※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여가수 Kate St. John은 싱어, 작곡가이자 프로듀서로, 오보에, 콜린, 색소폰, 피아노 등 다양한 악기로 전문가적 연주
• Il dito e la luna(=It says the luna), by Angelo Branduardi, 1998)
※ Angelo Branduardi는 이태리 folk song 가수(싱어송라이터),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그리스 등에도 인기
• In assenz di te(Without you), by 이태리 태생 브라질 Deborah Blando, 1998)
※ 가수이자 작곡가 Deborah Blando는 브라질과 이태리의 음반 판매에 힘입어 미국의 히스패닉에게 인기 를 끌며 세계적으로도 유명세
• Oggi sono io(=Today It' me), by Alex Britti, 1999)
※ Alex Britti는 이태리 가수이자 기타리스트, 17세부터 클럽에서 밴드를 결성하여 브루스 연주
• Luce(=light), by Elisa, 2001) ※ Elisa(본명 Elisa Toffoli)는 이태리 싱어송라이터로, 거의 모든 곡을 영어로 녹음하는 뮤지션. 그녀 가 취급하는 장르는 이지 팝은 물론 얼터너티브 록, 전자음악 등이며 유럽에선 이름이 알려진 편
• Tu es foutu(by 이태리 In-Grid(2002), 쥬얼리의 2008년 One more time의 원곡)
※ 여성 3인조 댄스 그룹은 주얼리는 2008년 One more time을 불러 최고의 인기를 구가. 그런데, 이 곡은 이태리 출신 댄스 가수 In-Grid가 2002년 유럽 댄스계에 데뷔한 곡(아코디언 연주가 조화된 경쾌한 리 듬). 쥬얼리(Jewelry)의 표절곡이란 말도 많은데, 애초 보도 자료에 리메이크란 사실을 명시했다고 설 명하지만 다소 미심쩍은 부분이 좀 있는 듯
• Lacrime dalla luna(=Tears from the moon), by Gianluca Gringnani, 2002)
• Ricomincerei(=Recreate it), by Gianni Fiorellino, 2002)
※ Gianni Fiorellino는 이태리 싱어송라이터이자 피아니스트
• Ovunque proteggi(=Whenever you protect), by Vinicio Capossela, 2006)
※ Vinicio Capossela는 이태리 싱어송라이터. 그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Tom Waites(특유의 쉰 가성과 음유시인 이미지)에 영향을 받은 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