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문관(無門關) 이칙(二則)
*백장야호(百丈野狐) 백장과 들 여우,
*본칙(本則)
역(譯)
백장 화상이 설법할 때마다 한 노인이 항상 대중을 따라 법문을 듣다가 대중들이 물러가면 노인 또한 물러가곤 했는데, 하루는 설법이 끝나도 물러가지 않고 있기에 스님께서 물었다. 당신은 도대체 뉘시오? 노인이 말했다. 네, 저는 사람이 아니올시다. 과거 가섭불 시대에 이 산에 머물고 있었는데 어떤 학인이 크게 수행을 한 사람도 또한 인과(因果)에 떨어집니까?’라고 묻기에 인과에 떨어지지 않는다.(不落因果)라고 대답했다가 5백 생을 여우 몸에 떨어졌습니다. 이제 청컨대 스님께서 저의 대신 한마디 말씀을 해주시어 여우 몸을 벗어나게 해주십시오. 그리고는 물었다. 크게 수행한 사람도 또한 인과에 떨어집니까? 스님께서 말했다. 인과에 어둡지, 않느니라.(不昧因果) 노인은 말끝에 크게 깨닫고 절을 올리고 말했다. 저는 이미 여우 몸을 벗어나서 산 뒤쪽에 있으니 송구스럽지만, 화상께서는 죽은 승려의 사례에 따라 처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스님께서 유나(維那)로 하여금 목탁을 쳐서 공양 후에 죽은 승려의 다비식이 있음을 알렸다. 대중들은 모든 대중이 다 평안하고 열반당(涅槃堂)에도 또한 아픈 사람이 없는데 무슨 까닭에 그럴까? 하고 수군거렸다. 공양 후에 스님께서는 대중을 이끌고 산 뒤쪽 바위 아래에 이르러 지팡이로 한 마리, 죽은 들 여우를 꺼내서, 화장하였다. 스님께서 저녁에 상당(上堂)하시어 앞의 인연을 이야기하자 황벽이 곧바로 물었다. 옛날 분이 한마디 말씀을 잘못 대답하여 5백 생을 여우 몸에 떨어졌는데, 한 마디 한 마디 어긋나지 않았다면 도대체 무엇이 되었을까요? 스님께서 말했다. 가까이 오너라. 너에게 말해주마. 황벽이 앞으로 가까이 가서 스님의 뺨을 한 대 후려갈겼다. 스님께서는 손뼉을 치며 웃으며 말했다. 오랑캐 보리달마(菩提達磨))의 수염만 붉다고 여겼는데 여기 붉은 수염 달마가 또 있구나!
百丈和尚凡參次, 有一老人, 常隨眾聽法, 眾人退老人亦退, 忽一日不退, 師遂問. 面前立者復是何人. 老人云, 諾某甲非人也. 於過去迦葉佛時, 曾住此山. 因學人問, 大修行底人, 還落因果也無. 某甲對云, 不落因果, 五百生墮野狐身. 今請和尚, 代一轉語, 貴脫野狐. 遂問, 大修行底人, 還落因果也無. 師云, 不昧因果. 老人於言下大悟, 作禮云, 某甲已脫野狐身, 住在山後, 敢告和尚, 乞依亡僧事例. 師令維那白槌告眾, 食後送亡僧. 大眾言議, 一眾皆安, 涅槃堂又無人病, 何故如是. 食後只見師領眾, 至山後巖下, 以杖挑出一死野狐, 乃依火葬. 師至晚上堂, 舉前因緣, 黃蘗便問, 古人錯祇對一轉語, 墮五百生野狐身, 轉轉不錯, 合作箇甚麼. 師云, 近前來與伊道. 黃蘗遂近前, 與師一掌. 師拍手笑云, 將謂胡鬚赤, 更有赤鬚胡.
평창(評唱)
역(譯)
무문은 말한다. 인과에 떨어지지 않는다(不落因果), 하면 어째서 들 여우에 떨어지고, 인과에 어둡지 않다(不昧因果)고 하면 어째서 들 여우 몸을 벗어날 수 있었을까? 만약 여기에서 외짝 눈을 얻을 수 있다면 그 여우 노인(前百丈)이 5백 생 동안 풍류를 즐겼다는 사실을 곧장 알리라.
無門曰 不落因果, 為甚墮野狐, 不昧因果, 為甚脫野狐. 若向者裏著得一隻眼, 便知得前百丈贏得風流五百生.
송(頌)
역(譯)
게송으로 읊다. 떨어지지 않는다. 어둡지 않다. 한 주사위의 두 가지 무늬일 뿐. 어둡지 않다, 떨어지지 않는다, 천 번 틀리고 만 번 어긋난다.
頌曰不落不昧, 兩采一賽. 不昧不落, 千錯萬錯.
사족(蛇足)
이칙(二則)은 백장야호(百丈野狐)다. 백장선사(百丈禪師)가 백장산(百丈山)에서 매월 초 하룻날 법문을 하면 청법대중(聽法大衆) 맨 뒷자리에 백발노인(白髮老人)이 아무 말도 없이 법문만 듣고 갔다. 그런데 어느 날은 법문이 끝났는데도 가지 않고 혼자 앉아 있었다. 그래서 백장선사가 노인이 있는 곳으로 가서 물었다. 노인장은 누구시오? 노인이 대답했다. 저는 사람이 아닙니다. 옛날 백장산에 이 절에 방장 조실로 살았는데, 어떤 선객이 묻기를 크게 수행한 사람도 인과에 떨어집니까? 묻기에 인과에 떨어지지 않는다,(不落因果)라고 대답을 하고 나서 이렇게 500생 동안을 여우 몸을 받아서 축생으로 살고 있나이다. 청컨대 선사께서 저를 여우 몸을 벗어나게 법문을 설하여 주소서! 했다. 백장선사께서 그러면 물으시오. 노인이 물었다. 크게 수행한 사람도 인과에 떨어집니까? 인과에 매 하지 않느니라(不昧因果). 노인은 불매인과(不昧因果)라는 말을 듣고 바로 깨달았다. 그리고 백장선사께 공손히 절하고 청을 올렸다. 저는 이미 여우 몸을 벗었나이다. 저 뒷산 여우굴에 저의 시신이 죽어있을 터이니, 죽은 스님의 예로 화장을 부탁합니다. 백장선사께서 점심 공양을 마치고 대중을 운집하게 하여 뒷산 여우굴에 가서 죽은 여우를 꺼내서 열반한 스님의 예로 화장(火葬) 다비(茶毗)를 시켰다는 선화(禪話)다. 이 선화(禪話)의 핵심(核心), 포인트는 불락인과(不落因果)와 불매인과(不昧因果)의 차이점(差異點)를 찾아내는 것이, 수행자(修行者)의 안목(眼目)이고 혜안(慧眼)이다. 모르면 깨닫기 전까지는 묻지 말고 죽자 살자 수행 참구(參究)를 해야 하고, 이미 알았다면 방장 백장 스승의 뺨도 사정없이 후려치는 황벽선사(黃檗禪師)처럼 출격장부(出格丈夫)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 모르면 손에 쥐어주어도 모르는 것이 공안화두(公案話頭) 선문답(禪問答)이다.
*화옹송평(和翁頌評)
역(譯)
인과에 떨어지지 않는다고 답하고 오백생 여우몸을 받았는데, 인과에 어둡지 않는다는 말에 여우 몸을 벗어났다는데, 불락 불매가 무슨 뜻 차이가 있는가? 눈 밝은 납승(衲僧)은 한 마디 일러 보라! 不落因果五百狐 不昧因果脫狐身 不落不昧何差異 正眼衲僧直一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