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닭’의 바른 발음은 [닥]이다. 그러나 ‘닭’ 다음에 홀소리가 이어지면 겹받침 ‘ㄹㄱ’ 소리를 모두 내야 한다. 그런데 요즘 서울말을 들어 보면 ‘닭을 잡다, 닭이 운다’를 모두 [다글 잡다, 다기 운다]고 발음한다. 겹받침 가운데 ‘ㄱ’ 소리만 낸다. 그래서 ‘통닭을 먹자’의 ‘통닭을’도 [통다글]로 발음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발음이다.
‘ㄹㄱ’ 겹받침이 있는 낱말이 홀로 쓰이거나 닿소리가 이어올 때는 ‘ㄱ’ 소리만 내지만, 뒤에 홀소리가 이어올 때는 ‘ㄹㄱ’ 두 소리를 모두 내야 한다. 그래서 ‘닭이, 닭을, 통닭을’는 [달기, 달글, 통달글]로 해야 올바르다. ‘흙’도 마찬가지다. ‘흙, 흙속에서’와 같이 홀로 쓰이거나 닿소리가 이어올 때에는 [흑, 흑속]과 같이 소리를 내지만, ‘흙에 살리라, 흙을 묻혀왔네’처럼 홀소리가 이어지면 [흘게, 흘글]로 소리 내야 한다.
‘맑다, 밝다’와 같은 형용사도 마찬가지다. 이들을 닿소리 앞에서는 [막다, 박다]로 해야 하지만, 홀소리 앞인 ‘맑은 물, 밝은 불’에서는 [말근, 발근]처럼 두 소리를 모두 발음해야 한다.
‘밟다, 읊다’에 쓰인 겹받침 ‘ㄹㅂ, ㄹㅍ’도 그렇다. 홀로 쓰일 때는 [밥다, 읖다→읍다]이지만, 홀소리 앞인 ‘밟아라, 읊어라’에서는 [발바라, 을퍼라]로 발음해야 한다. 이들을 [마근 물, 바근 불, 바바라, 으퍼라]라 하지 않듯이, ‘닭이, 흙에’를 [다기, 흐게]로 소리 내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닿소리와 홀소리는 닿소리 = 자음(ㄱ, ㄴ, ㄷ, 등) 홀소리 = 모음(ㅏ, ㅑ, ㅓ, 등)이다. 닿소리는 발음할 때 발음 기관에 의해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고 홀소리는 발음할 때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이다.
겹받침 발음 1)뒤에 아무런 글자가 없을 때, 2)자음과 연결될때 앞자음을 발음한다. 앉다[안따],값[갑], 여덟[여덜], 핥다[할다], 앉고[안코], 싫다[실타], 넓다[널따], 그러나 모음이 오면 연음된다.
예외 닭고기[닥고기], 삶[삼], 읊다[읍따], 밟다[밥따],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 등은 뒤 자음이 발음된다. 용언의 경움'-고, -게'와 같이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경우 'ㄹㄱ'은 'ㄹ'로 발음한다. 맑게[말께], 묽고[물꼬], 읽겠다[일껟다]
맛있다->맏읻다->마띧따(ㅇ) 맛있다->마싰다->마싣따(ㅇ) 중화규칙 적용안은채 연음하는것 허용 맛없다->맏없다->마덥따(ㅇ) 반드시 중화규칙적용 맛없다->마섭다(x)
얽히다->얼키다 어간의 'ㄺ'을 보게 되면 접미사 '-히-'와 결합할 때 항상 [ㄹ키]로 발음이 된다. 이 경우 겹자음의 'ㄱ'은 발음 안 된 것이 아니라 뒤에 나오는 'ㅎ'과 축약 현상이 일어나 [ㅋ]으로 발음된다. 그리고 이런 현상은 예외적인 것이 아니라 동일한 환경에서는 늘 일어나는 것이므로 규칙적인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 (예)얽히다 [얼키다], 긁히다 [글키다] 등
한국어의 겹자음의 숫자는? 11개 넋ㄱㅅ, 앉다ㄴㅈ, 여덟ㄹㅂ, 외곬ㄹㅅ, 핥다ㄹㅌ, 값ㅂㅅ, 않고ㄴㅎ, 싫다ㄹㅎ, [앞자음이소리남]
첫댓글제11항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닭[닥] 흙과[흑꽈] 맑다[막따] 늙지[늑찌] 삶[삼ː] 젊다[점ː따] 읊고[읍꼬] 읊다[읍따] 다만,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맑게[말께] 묽고[물꼬] 얽거나[얼꺼나]
첫댓글 제11항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닭[닥] 흙과[흑꽈] 맑다[막따] 늙지[늑찌]
삶[삼ː] 젊다[점ː따] 읊고[읍꼬] 읊다[읍따]
다만,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맑게[말께] 묽고[물꼬] 얽거나[얼꺼나]
맑고 맑은 하늘 아래 닭과 병아리가 흙을 먹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