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 비생물의 종류와 기능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는 엔테로 ( enterotype ) 구분법으로 창자형과 미생물형, 장 유형으로 나눈다.
* 창자형은 전세계적으로 동일하게 발견되었다.
나이 , 인종, 국가, 거주지역, 등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미국 , 유럽, 일본의 공동 연구진이 4개국 피 실험자를 대상으로 밝혀낸 결과를 네이처 지에
" 인간의 창자속 미생물에 따른 구분법 ( enterotypes of the microbiome) 이라는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전문가들은 의약품 처방이나 식이요법, 적용의 효과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고 평가했다. 심사숙고할 문제지만 앞으로는 의료행위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 대해 알고 싶다면 혈액형이나, 사상체질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장내 미생물 검사부터 해야 할지 모른다.
*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발달한 인간 구분법으로 우리는 일상적인 생할에서 대화나 tv 토크쇼에서 도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맨트가 혈액형이라는 것을 볼수 있었다.
혈액형이란? 인체의 혈액속 적혈구가 특정 항원에 거부 반응을 일으키는 현상에 따라 나눈 것으로
1901년에 A,B,O,AB 형으로 4가지 구분법이 생겨났고 1940 년에는 RH- 형의 구분법이 발견되었다.
혈액형에 따라 인종의 우열을구분하던 독일나치스의 방식을 일본 과학자들이 받아들인 후 점점 퍼져 나가다가 1971년 노오미마사히코 라는 작가가 " 혈액형 인간학" 이라는 책을 펴내면서 일본과 우리나라에도 대 유행하게 되었다.그러나 수혈을 할때에 반드시 중요한 혈액형이 성격과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과학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지만 혈액형을 빗대어 평가하는 이유는 심리학자들의 필요에 따라 상대방의 심리 상태를 알아내기 위해서일 것이다.
필자의 경험상 소견으로는 물론 과학및 의학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지만 실제로 임상이나 생활에서 활용해 보았는데 잘 맞는 것도 같아 심리학에서는 많이 활용한바가 있다.
옛날 속담에 "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속은 모른다." 라고 했는데 변화가 심한 사람의 마음을 파악하기 위해서 불확실성을 줄이는 것은 인간의 본성일 것이다.
심리학자 매슬로가 발표한 이론에서도 확실한 것을 찾으려는 안전의 욕구는 생리적 다음으로 중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사람의 종류를 나누고 범주를 정하는 구분법은 의학분야에서도 사용되어왔다.
특히 1894년 동의수세보원에서 이제마는 사상체질을 발표했다. 최근 한의학계에서는 8가지 체질을 구분한다는 8상 체질로 식습관과 생활 방식을 개선시킨다는 치료행위도 행하고 있다.
의학에서 환자의 특징을 구분하는 이유는 사람마다 음식물과 약품이 서로 다르게 반응하기 때문이므로 음식도 사람에 따라 다르레 작용하므로 네이처지에 실린 창자 구분법 논문은 체질에 적합한 처방을 과학적 치료의 토대가 될 전망이다. 계속..
첫댓글 놀라운 연구 발표입니다.
현재까지는 혈액형이나 사상체질로 사람의 유형을 파악했었는데
장내미생물로 사람의 체질을 분석할 수 있다니..
한 동안 변검사 하지 않았었는데 이제 변검사가 필수가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