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 안양시지회입니다.
집중호우 대비 행동 요령에 대하여 안내드립니다.
출처링크:https://blog.naver.com/tvanyanggokr/223155034147
📣 장마전선과 함께 강한 비가 계속되는 요즘, 침수 피해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안양시의 노력과 집중호우 대비 행동 요령을 알려드립니다! |
✅호우 대비 사전 조치
안양시는 집중호우에 대비해 지하공간 등 수방자재 전진배치(물막이판, 모래주머니) 및
빗물받이, 배수로 등 이물질 제거, 인명피해 우려지역 예찰 및 사전통제로 사고를 예방하고
위험기상 시 인명피해 우려지역 사전 주민 대피 및 자력대피가 어려운 안전취약계층은
조력자(통장, 자율방재단)지원을 통한 신속대피 실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위험지역 선제적 출입통제
취약지역ㆍ시설 현장점검 및 대비를 강화하기 위해 위험 기상 시
야영장 계곡 하천변 산책로 둔치주차장 등 선제적 출입통제 및
주민 차량 사전대피 명령이 발령됩니다.
강우 시 지속적인 하천변 예찰과 세월교, 진입로, 산책로에
안전선을 설치로 하천출입이 통제되오니,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민여러분께서도 출입을 금해주시기 바랍니다.
①자주 물에 잠기는 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등의 위험한 곳은 피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②실내에서는 문과 창문을 닫고, 외출을 자제하며, TV, 라디오, 인터넷 등을 통해 기상 상황을 파악합니다.
③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등 침수 위험지역은 급류에 휩슬릴 수 있으니 접근하지 않습니다.
④산과 계곡의 등산객은 계곡이나 비탈면 가까이 가지 않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⑤공사자재가 넘어질 수 있으니 공사장 근처에 접근하지 않습니다.
⑥농촌에서는 논둑이나 물꼬의 점검을 위해 나가지 않습니다.
✅차량침수
타이어가 2/3 잠기기 전,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고 침수된 경우
운전석 목받침 철재봉을 이용해 유리창을 깨고 대피
✅침수차량 탈출 시
차량 내 외부 수위차이가 30cm이하가 되면 탈출이 가능하므로,
침착하게 대기한 후 차량문을 열고 신속히 대피
✅강한 폭우 시 주행 금지
시간당 100mm의 비가 내리면 100m 이상 거리 표지판 식별 불가능,
차량을 즉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고 비가 약해질 때까지 잠시 대기
✅지하차도 진입 금지
지하차도 내 물이 고이기 시작하면 절대 진입하지 않으며,
진입 시 차량을 두고 신속히 대피
✅세월교(잠수교)횡단 금지
①교량에 물이 월류하면 절대 진입 금지하고 우회하거나 안전한 곳에서 대기
②차량고립 시 급류 반대쪽 문을 열거나 창문을 깨고 탈출
✅평상 시
차수판 설치, 모래주머니, 양수기 등 비치, 수방자재 설치자 사전 지정
✅호우 시
신속하게 차수판과 모래주머니 설치
✅대피 안내
지하공간 빗물 유입 시
즉시 대피 안내, 진입 금지
✅침수계단 탈출 시
성인 종아리 높이(약 40cm) 전, 가급적 운동화 착용 후 신속히 이동(마땅한 신발이 없을 경우, 맨발로 신속 탈출)
수심 | 신체위치 | 탈출여부 |
남자 | 여자 |
30cm | - | O | O |
40cm | 종아리 | O | O, X(하이힐) |
50cm | 무릎 | X | X |
*신체 위치는 일반성인 기준
✅침수공간 탈출 시
외부 수심이 무릎 이상일 경우 여러명이 힘을 합쳐 문을 열고 신속히 대피
수심 | 신체위치 | 탈출여부 |
남자 | 여자 |
30cm | - | O | O |
40cm | 종아리 | O | X |
50cm | 무릎 | X | X |
*신체 위치는 일반성인 기준
✅지하계단
물이 조금이라도 흘러 들어오면 즉시 대피 *어린이 노약자 즉시 대피
✅반지하주택, 지하 역사·상가
바닥에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거나 하수구 역류 시 즉시 대피
✅지하주차장
우수 유입 시 차량 이동 금지 ※확인을 위한 주차장 진입 절대 금지
①쓰러질 위험이 있는 나무, 전신주 밑으로 대피하지 말고 안전한 건물로 이동해주세요.
②지붕 위나 야외 작업은 위험하니 자제하고 가급적 집 안팎의 전기수리도 하지 않습니다.
③운전 중 강풍이 발생할 경우에는 반대편에서 오는 차량을 주의하고 가급적 속도를 줄여 방어운전을 해주세요.
④공사장과 같이 바람에 날아갈 물건이 있거나 낙하물의 위험이 많은 곳은 가까이 가지 말아주세요.
⑤강풍으로 파손된 전기시설 등 위험 상황을 발견했을 때에는 감전 위험이 있으니 접근 하지 마시고 119나 시청에
연락해주세요.
①자주 물에 잠기는 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등의 위험한 곳은 피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②실내에서는 문과 창문을 닫고, 외출을 자제하며, TV, 라디오, 인터넷 등을 통해 기상 상황을 확인합니다.
③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등 침수 위험지역은 급류에 휩쓸릴 수 있으니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④농촌에서는 논둑이나 물꼬의 점검을 위해 나가지 않습니다.
⑤공사자재가 넘어질 수 있으니 공사장 근처에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⑥산과 계곡의 등산객은 계곡이나 비탈면 가까이 가지 않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①낙뢰 예보 시 외출을 삼가하고, 외부에 있을 땐 자동차 안, 건물 안, 지하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②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빼고, 1m 이상 거리를 유지합니다.
③산 위 암벽이나 키 큰 나무 밑은 위험하므로, 낮은 자세로 안전한 곳으로 빨리 대피합니다.
④등산용 스틱이나 우산 같이 긴 물건은 몸에서 멀리합니다.
⑤평지에서는 몸을 낮게하고 물기가 없는 움푹 파인 곳으로 대피합니다.
⑥골프, 낚시 등 야외활동 중일 때 장비를 몸에서 떨어뜨리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카페 게시글
복지뉴스
집중호우 대비 행동 요령을 알려드립니다!
안양시지회
추천 0
조회 98
23.07.14 15:58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