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빙랩(Living Lab)은 특정 공간에서 사용자들의 참여하에 문제를 해결하는 개방형
혁신모델로서 유럽 지역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생활세계에서 구현되는 랩이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력 증대와 동시에 새로운
사회·기술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선구적 모델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리빙랩은 최근 혁신정책의 주요 이슈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혁신모델로 탈추격 혁신,
수요지향적 혁신, 지역혁신,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 생태계 형성 지원, 사회·기술시스템 전환 등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혁신정책의 경향을 반영한
정책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빙랩의 운영 체계와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7가지의 평가
및 시사점 제시와 한국형 리빙랩의 예시를 들고 있다.
[평가 및 시사점]
1. 사용자 참여형, 문제해결형 혁신모델의 구현
2. 지역혁신의
새로운 모델
3. 사회적 혁신활동의 구현
방안
4. ICT 인프라 사업의 새로운 개편 방향
제시
5. 사회적 혁신주체 육성 및 생태계 조성의 계기
마련
6. 사회-기술 기획의 방법론
제시
7. 공공서비스 주체에 대한 재인식과 서비스 디자인 관점
강조
[한국형 리빙랩 예시] 1. 지하
공간 고도화 리빙랩
2. 고가 문화예술 대중화
리빙랩
3. 교통체계 개선
리빙랩
4. 음식쓰레기 선처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리빙랩
5 .햇빛발전
리빙랩
6. 독거노인 돌봄서비스
리빙랩
7. 보건의료 제품 및 서비스 개선
리빙랩
8. 문화·관광 관련 리빙랩
[STEPI] 2013 리빙랩의 운영 체계와 사례.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