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계룡산
2023년 03월 19일(일요일)
산행코스 : 상신리주차장(08:40) - 큰골삼거리(09:25) - 남매탑(09:55) - 삼불봉(10:15) - 관음봉(11:15) - 문필봉(12:00) - 연천봉(12:15) - 연천봉고개(12:30) - 갑사(13:20) - 주차장(13:45)
산행거리 : 12km
상신리주차장
마을을 지키고 있는 장승들
용산구곡 제1곡 심용문
용산구곡 제1곡 심용문(尋龍門)
"용이 문을 찾는다"
목장승
상신리 입석(공주시 기념물 제5호)
입석 전면에는 4글자씩 두줄로 "신야춘추 도원일월(莘埜春秋 挑源日月)"이라 씌어 있으면 이는 "상신리 자연의 춘하추동은 무릉도원의 세월이라네"라는 의미로 구한말 능주군수를 지내고 상신리에 은거하던 취음 권중면(1856~1936)선생이 새겨 넣은 것이라합니다.
공주 상신리 당간 지주(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4호)
제비꽃
상신리 마을 도로를 따라 걸어갑니다.
상신탐방지원센터
관음봉 5.3km, 남매탑 3.1km, 삼불봉 3.7km
계룡 08-01 이정목 해발167m
계룡 08-03 이정목 해발249m
용산구곡 제9곡 신룡연(神龍淵)
"용이 승천하여 신의 경지에 이르렀다"
큰골삼거리
남매탑 1.4km, 상신 1.8km, 금잔디고개 1.2km
계룡 08-05 이정목 해발 376m
계룡 08-06 이정목 해발 576m
동학사주차장 2.8km, 상신탐방지원센터 2.6km, 남매탑 0.4km
남매탑고개(590m)
동학사주차장 3.0km, 남매탑 0.2km
계룡 02-11 이정목 해발 595m
동학사 갈림길
동학사 1.7km, 천정탐방지원센터 2.8km, 남매탑
남매탑
좌측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보물 제1284호), 우측 공주 청량사지 칠층석탑(보물 제1285호)
남매탑 이름처럼 두개의 탑이 나란히...
상원암
보관을 쓰고 연꽃 가지를 들었으니 관음보살로 볼 수도 있겠지만, 보관을 자세히 보면 화신이 없기 때문에 관음보살로 단정할 수 없습니다.
상원 조사가 암자를 짓고 수도하다가 입적한 후 회의 화상이 이곳에 탑을 세웠는데, 당시에 문수보살이 강림한 도량이라 하여 청량사라고 하였으니 이 법당의 주인은 문수보살이어야 마땅할 듯합니다.
삼불봉 갈림길
삼불봉 0.5km, 갑사 3.0km, 동학사 1.7km, 천정탐방지원센터 2.8km, 금잔디고개 0.7km, 상신탐방지원센터 3.2km
계룡 01-07 이정목 해발 627m
삼불봉고개
남매탑 0.3km, 갑사 2.7km, 금잔디고개 0.4km, 관음봉 1.8km, 삼불봉 0.2km
계룡 01-08이정목 해발726m
삼불봉으로 향하는 급경사 철계단
삼불봉(775m)
삼불봉에서 바라본 관음봉 방향 파노라마
천황봉, 쌀개봉
당겨본 천황봉
관음봉, 문필봉, 연천봉과 우측 계룡저수지
당겨본 관음봉, 문필봉, 연천봉
칠갑산, 오서산 방향
계룡 07-06 이정목 해발740m
관음봉 1.3km, 금잔디고개 0.4km
뒤돌아본 좌측 삼불봉
계룡산 주봉 천황봉과 닭벼슬 능선
천황봉 방향 파노라마
천황봉, 쌀개봉
당겨본 천황봉, 쌀개봉
관음봉, 문필봉, 연천봉
시원한 조망과 함께 자연성릉으로
계룡 07-04 이정목 해발708m
관음봉 0.8km, 삼불봉 0.8km
계룡 07-03 이정목 해발 715m
본격적으로 자연성릉에 진입합니다.
뒤돌아본 삼불봉
좌측 천황봉과 중앙 관음봉, 문필봉
자연성릉
뒤돌아본 지나온 삼불봉
관음봉 방향 파노라마
천황봉, 쌀개봉
좌측 관음봉
관음봉 0.4km, 삼불봉 1.2km
관음봉으로 오르는 계단길이 보입니다.
관음봉으로 오르는 계단길
관음봉 오르는 길에 바라본 좌측 자연성릉 우측 쌀개봉 파노라마
수정봉
금잔디고개, 삼불봉, 장군봉, 갑하산
갑하산, 노적봉, 향적봉, 금수봉, 백운봉과 중앙에 동학사
우측으로 길게 뻗어 있는 능선은 도덕봉, 향적봉입니다.
쌀개봉
관음봉으로 오르는 계단
상부 철계단
관음봉에서 바라본 자연성릉과 그 뒤로 삼불봉, 맨 우측 신선봉, 장군봉
관음봉 정상이 보입니다.
팔각정
계룡산 관음봉(766m)
관음봉고개(계룡산국립공원 긴급재난 안전쉼터)
연첩봉 1.0km, 동학사 2.3km, 관음봉 0.1km
계룡 04-06 이정목 해발 706m
좌측 연천봉(740m), 우측 문필봉(756m)
연천봉 0.7km, 관음봉 0.4km
문필봉 가는 등로는 통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희미하게 보이는 등산로를 따라 올라갑니다.
문필봉 암봉 아래 기도터
문필봉 정상이 눈앞에
문필봉에서 바라본 관음봉 방향 파노라마
수정봉, 금잔디고개, 삼불봉
당겨본 삼불봉
삼불봉, 관음봉, 닭벼슬 능선
당겨본 관음봉
관음봉에서 천황봉으로 이어지는 닭벼슬능선
쌀개봉, 천황봉(846.5m)
군사보호지역으로 비탐방구역입니다.
당겨본 쌀개봉, 천황봉
문필봉
문필봉에서 바라본 연천봉
연천봉고개로 내려갑니다.
가야할 연천봉
연천봉고개 쉼터
연천봉고개
신원사 2.7km, 갑사 2.0km, 등운암 0.1km, 연천봉 0.2km
계룡 04-04 이정목 해발672m
헬기장에서 바라본 연천봉
연천봉 정상
연천봉 석각
조선이 건국된후 482년만에 망한다는 연천봉 각자
방백마각, 구혹화생 (方百馬角 口惑禾生)
연천봉에서 바라본 관음봉 방향 파노라마
수정봉, 금잔디고개, 삼불봉
삼불봉, 문필봉, 닭벼슬능선
쌀개봉, 천황봉, 머리봉
등운암 대웅전
아미타불을 본존으로 관음보살을 좌협시, 대세지보살을 우협시로 봉헌하고 있습니다.
등운암에서 바라본 천황봉
연천봉고개로 가는 길에 바라본 문필봉
연천봉고개
갑사로 향하는 급경사 너덜길
연천봉 0.6km, 갑사 1.6km
계룡 04-03 이정목 해발490m
갑사 0.9km, 연천봉 1.3km
계룡 04-01 이정목 해발375m
임도
갑사 0.3km, 연천봉 1.9km
연천봉 2.2km, 대자암 0.7km, 금잔디고개 2.2km, 신흥암(천진보탑) 1.2km
갑사9곡 제6곡 명월암 (明月潭)
약사전 옆의 계곡은 친일민족반역자 벽수 윤덕영이 만든 명월암이 보입니다.
윤덕영의 친필 "명월암"
윤덕영은 조선 순종의 비 순정효황후의 큰아버지이며 한일병합에 적극적으로 나선 인물입니다.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0호)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은 고려시대에 조성되었으며 갑사 중사자암에 있었던 것을 현재 위치로 이안하였다고 합니다.
관음전
관음보살을 모신 곳입니다.
공우탑(갑사 중건에 도움을 준 황소를 기리는 탑)
1층 탑신에 있는 臥塔起立 人道偶合 三兮乙乙 厥功届甲(와탑기립 인도우합 삼혜을을 궐공계간)은 간신 윤덕영이 새긴 것으로 "누운 탑을 일으켜 세우니 사람들 방책에 우연히도 부합된다네, 세번씩이나 힘들었으니 그 공덕이 으뜸이라네"라는 의미로 어쩌면 공우탑을 자신의 공적탑으로 만들었습니다.
제5곡 금계암(金谿嵒)
대적전 가는 길에 있는 "금계암" 표석, 갑사가 금계포란형 지형이고 이곳이 가장 핵심이 되는 곳이라 합니다.
이 표석 역시 친일 반민족 행위자 "윤덕영"의 글씨입니다.
홍매화
대적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6호)
대적광전이란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삼신불(석가모니, 아미타불,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법당입니다.
공주 갑사 승탑(보물 제257호)
갑사 부도는 전체 높이가 205cm로 고려시대의 것으로 전하며 통일신라시대의 부도양식을 겸비하고 있습니다.
본래 위치는 갑사의 중사자암에 위치했던 것을 현 대적전 앞으로 이전하였다고 전합니다.
공주 갑사 철당간(보물 제256호)
갑사 동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 이 당간은 통일신라시대의 당간으로는 유일한 것입니다. 네면에 구름무늬를 새긴 기단위로 철당간을 높게 세우고 양옆에 당간지주를 세워 지탱하였습니다.
철당간은 지름 50cm의 철통28개를 연결하였던 것이나, 고종35년(1899) 폭풍우에 벼락을 맞아 4절이 부러졌다고 하며 현재는 24절만 남아 있습니다.
갑사 동종 종각
갑사 동종(보물 제478호)
조선 초기의 종으로 국왕의 만수무강을 축원하며, 갑사에 봉안하기 위하여 선조17년(1584)에 만들어 졌습니다.
높이 131cm, 입지름 91cm로 전체적으로 어깨부터 중간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중간 지점부터 입 부분까지 직성으로 되어 있습니다. 종 꼭대기에는 음통이 없고, 2마리 용이 고리를 이루고 있습니다.
갑사 강당(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5호)
강당 현판을 보면 끝에 "정해국추 절도사 홍재희(丁亥菊秋 節度使 洪在羲)"라고 쓰여 있는데, 정해년이면 고종 24년(1887년)이며, 정해년 가을에 충청도 지방의 병마절도사 홍재희가 쓴 글씨입니다.
강당의 "계룡갑사(雞龍甲寺)"로 쓰여 있는데, 앞 글씨가 계(鷄)가 아닌 계(雞)로 쓰여 있는 것이 보이는데, 혼용된다고 하면 뜻은 모두 "닭계"로 같습니다.
갑사 대웅전(보물제2120호)
갑사 대웅전은 조선시대 중기 건축양식을 엿볼 수 있는 건물입니다.
17세기 건축으로서 갑사 대웅전은 전환기 건축의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정면5칸, 측면3칸의 건축규모는 사례가 많지 않으며 8척, 12척 등 간단한 비례로 구성하였고, 맞배지붕에서 정면과 배면 공포의 형식이 동일하고 등간격의 배치를 하고 있습니다.
대웅전 현판의 글씨는 강희8년기유6월서(康熙八年己酉八月書), 즉 1669년(조선현종 10년) 기유년 6월에 썼습니다.
대웅전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과 사보살입상(보물제2076호)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중앙에 봉안하고 우측에 아미타불, 좌측에 약사불을 봉안하여 삼세불의 봉안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협시불로는 문수보살, 보현보살,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의 4대보살을 봉안하고 있습니다.
삼존좌불과 사보살입상은 1617년(광해군 9)에 행사(幸思)등 9명의 조각승이 제작한 총 7존(尊)으로 구성된 대단위 작품이며, 특징은 진흙으로 만드 소조불상이며 평균 높이가 2.5m, 보상상은 평균 높이가 2m 이상으로 임진왜란 이후 조성된 7존불 중 현존 최대작(最大作)이자 최고작(最高作)이라고 합니다.
중앙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은 높이 255cm로 둥근 얼굴에 백호가 조각되어 있고, 목에는 삼도가 있으며, 법의는 통견으로 소조좌불입니다.
범종루
북쪽 다문천왕은 비사문천이라고도 하며 항상 부처님의 도량을 지키면서 설법을 듣고, 왼손에는 비파를 들고 있으며 야차와 나찰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동쪽 지국천왕은 안민의 신으로서 선한 자에게 상을 내리고 악한자에게 벌을 주어 항상 인간과 국토를 보호하기 위한 천왕입니다. 왼손에는 칼을 쥐고 오른손바닥에는 보석을 올려놓고 있으면 건달바를 거느리고 있습니다.
남쪽 증장천왕은 자신의 위덕으로써 만물이 태어날 수 있는 덕을 베풀겠다는 서원을 세운 천왕입니다. 오른손은 용을 잡고 왼손은 용의 여의주를 들고 있습니다. 구반다등 무수한 귀신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서쪽 광목천왕은 잡어, 악안으로 불리는데, 이는 웅변으로 나쁜 이야기를 물리치거나 눈을 크게 부릅뜬 위엄으로 나쁜 것을 물리치기 때문입니다. 왼손에는 보탑고 오른손에는 삼지창을 들고 있고 용과 비사사를 거느리고 있습니다.
사천왕문
갑사탐방지원센터
계룡산 갑사(鷄龍山甲寺) 일주문
갑사 매표소
갑사 초입에 당산목인 괴목대신(槐木大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