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동의 언어습득 이론 ◐◑
1.언어행동주의 이론; 1950년대 Skiner 중심
① 행동주의에 입각한 이 이론은 아동의 언어습득도 다른 행동들과 마찬가지로
자극-반응- 강화 메커니즘에 의한 조건화 과정 이라고 설명
② 부모의 언어(자극)를 아동이 모방(반응)할 때, 부모는 칭찬이나 물적 보상(강화)등
으로 아동이 그 행동을 다시 하도록 함
■언어는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된 행동
③ 이 이론의 한계점
a. 이 이론대로 아동이 모방을 통해서만 언어를 습득한다면 아동은 듣는 모든 것을
모방해야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다.
b. 부모들은 아동의 모든 올바른 구어를 강화해야 하는데 연구에 의하면 단지 3-5%
밖에는 강화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c. 아동은 오직 그가 들어본 것만을 말해야 하는데 많은 아동들은 그들이 한번도 들어
보지 못한 말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d. 모방(자극)-강화가 언어를 습득하는 경로라면 언어장애자에게 적용했을 때에도
효과가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강화법은 행동수정의 과정으로서만 효과가 있을 뿐
치료의 근거나 목표는 될 수가 없다.
2. 선천적 언어능력 이론: 1960년대 Chomsky
① Chomsky의 변형문법에서는 모든 문장은 심층구조(deep structure)와 표면구조
(surface structure)로 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 예) 철수가 영희를 때렸다 / 영희는 철수에게 맞았다
두 개의 표면구조를 가지나 철수를 행위자로 영희를 행위의 대상으로 하는 공통된
심층구조를 갖는다.
② 이 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문법구조에 대해 타고난 지식이 있으며 언어의 습득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 표면적 문법을 배우는 과정이다.
③ 언어의 형식적인 문장구조는 구어환경 속에서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선천적 구문
지식(inherent knowledge of syntax)으로부터 진화, 개발된다고 본다.
④ 이 이론의 한계점
a. 외부로부터의 언어자극의 역할을 과소평가 한다.
b. 선천적 언어능력은 매우 가설적인 개념이라 증명할 수 없다.
3. 인지적 언어습득 이론: 1970년대 전반기 Bloom, Brown 등
① 언어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인지적 발달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이론으로 아동 언어
내용에 역점을 둔다.
② 인지적 언어습득 이론을 뒷받침하는 명제
a. 의미관계 발달
아동의 초기 구문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구문능력의 표현이라기보다 인지된 의미
관계의 표현이다.
예) 엄마 양말은 명사+명사의 구문분석보다는 행위자+목적이나 소유자+소유등의
의미분석이 아동의 어의적 의도를 더 잘 설명된다.
b. 초기 언어에 있어서의 보편적 지식
아동 언어의 내용에는 인지적 기초에 의한 보편적 특징이 있다.
예) 사물의 영구성을 완전히 이해하기 시작하는 시기(12-18개월)에 그와 관련된
어휘‘또,더’ 등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c. 표현 혹은 상징행동의 발달
아동의 상징행동 발달과 언어발달 사이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Bates는 초기 단단어 사용과 단일 상징놀이가 시작되는 시기가 비슷, 두 단어
문장 사용 시기와 두, 세가지 병합 상징놀이가 시작되는 시기가 유사하다고 보고하
였다.
4. 사회언어 이론: 1970년대 후반기
① 1970년대 후반기는 사회적 문맥 속에서 어떠한 의도나 목적을 가지고 언어가 사용
되며 그러한 언어의 사회성이 아동의 언어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높아진 시기이므로 사회 혁명(pragmatic revolution)시기라고도 한다.
② Bares, Bruner, Halliday, Dore 등의 사회언어 이론의 학자들은 언어의 기능적
효과(예: 요구, 저항, 인사)를 경험함으로써 언어의 습득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여
부모-아동 상호관계를 통한 언어의 기능에 연구의 초점을 맞춘다.
③ 언어습득 이전에 아동은 의사소통의 영향력과 그 기능들에 대한 개념을 먼저 획득
하여야 한다고 보고, 언어의 화용론과 언어행동의 전제조건이 되는 구어 이전의
언어를 주요한 연구영역으로 삼는다.
5. 다원적 언어습득 이론: 1980년대 이후
① 다원적 발달이론은 언어를 언어학적, 인지적, 및 사회학적인 행동으로서 이해하며
언어 습득 과정도 언어를 구성하고 있는 영역들의 발달이 서로 상호적으로 이루어진다
는 이론이다.
② 통합된 이 이론의 내용
a. Skinner와 Chomsky 학파의 이론들은 언어습득의 언어학적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아동이 언어의 형식(구문)을 어떻게 습득하는지를 설명
b. 신 피아제(Piagetian) 학파의 이론의 인지언어 이론들은 언어습득의 인지적
기초를 마련하여 아동이 언어의 내용(의미)를 어떻게 습득하는지를 설명
c. Bruner나 Bates 등 사회언어 이론들은 언어습득의 사회적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아동이 언어의 기능(화용)을 어떻게 습득하는지를 설명
◐◑ 언어발달의 과정 ◐◑
1. 전 언어기(prelinguistic phase)
(1) 말소리의 지각
① 아동의 말소리 지각 능력
a. 아기는 모성어(motherese) -느린 속도와 높은 가락의 과장된 억양을 지닌 독특
한 말을 특별히 선호한다.
b. 신생아는 다른 여자보다 엄마의 말을 더 선호하며 특정한 청각적 자극에 반응할
수도 있다.
c. 생후 5개월이 되면 자기 이름이 불릴 때 고개를 돌리는 등 단어 수준의 말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② 영아 지향적 발화(infant-directed speech)
a. 영아 지향적 발화란 모성어처럼 언어사용 이전의 영아에게 정상 언어의 억양대비
를 과장하여 들려주는 발화 유형으로 영아는 이를 더 선호한다.
b. 영아 지향적 발화는 모국어의 획득의 관문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과장된 억양과
강세는 발화의 흐름 속에서 단어를 분리해 줄 뿐만 아니라 문법체계 획득의 기초를
마련해 줄 수 있다.
(2) 말소리의 산출
① 단계
a. 반사적 울음과 생리적 소리 단계: 신생아의 울음과 재채기, 트림 같은 생물학
적인 소리로 구성된다.
b. 쿠잉과 웃음소리 단계: 생후 6-8주 정도가 되면 영아는 쿠잉(cooing)이라
는 목구멍을 가르릉거리는 소리를 낸다. 이 소리는 주로 영아가 기분이 좋아보일 때
동반된다. 긴 모음 소리 같은 이 소리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좀 더 다양한 모음 소리
로 바뀌고, 숨쉬기로 구분되는 여러 개의 모음 소리를 함께 내기도 한다.
16주 정도가 되면 웃음소리를 낸다.
c. 음성놀이 단계: 생후 16-30주에 나타나며 다양한 자음 및 모음 소리를 내는
시기이다. 소리 목록이 다양하며 길고도 복잡한 소리로 조합한다. 이 시기의 끝
부분은 옹알이 경계로도 불리운다.
d. 반복적 옹알이 단계: 생후 6-9개월 사이에 영아는 옹알이를 한다. 이 시기에는
진정한 음절이 나타나 자음과 모음이 합쳐지는데 음을 반복적으로 산출한다
(예:/다다다/)
이런 반복적 옹알이는 청각장애아와 정상아의 분기점이 되기도 한다.
e. 비반복적 옹알이 단계: 쟈곤(jargon)이라고도 하며 이 때 영아가 내는 자음과
모음의 종류는 크게 확대된다. 운율(prosody)이라고 하는 일종의 발화 억양이
나타나며, 이들의 소리는 마치 말소리와 같은 느낌을 준다.
② 옹알이의 기능 및 모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a. 옹알이는 외적 환경이나 성숙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예) 청각장애아의 옹알이, 언어권에 따른 옹알이
b. 아기가 만드는 첫 단어 소리는 그 음운적 형태에서 같은 시기의 옹알이와 같다고
보거나 초기의 아기 말은 아기가 미리 준비해 온 조음들의 집합이라고도 본다.
③ 말소리 산출의 기초 과정
a. 신체적 성장과 발달: 갓 태어난 영아는 조음기관이 성인과 다르다.
입 안을 혀가 거의 다 채우고 있어 다양한 음성을 산출하지 못한다.
b. 신경계의 성숙: 웃을 수 있거나 다양한 정서적 상태를 표출하는 것은 대뇌의
변연계 발달이나 신경계의 변화 없이는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된다.
c. 경험: 아기 주변의 성인이 내는 말소리는 그대로 영아의 학습 내용이 된다.
주변에서 들리는 말소리는 영아의 옹알이 목록과 독특한 억양을 결정짓는 주요한
원천이 되기때문이다.
2. 한 단어기
아기의 초어(첫 단어)는 대개 생후 10-13개월 쯤에 출현한다.
초어기를 최소한 10개 정도의 단어가 보일 때라고 보기도 한다.
18개월 정도가 되면 급속히 사물의 이름에 관심을 가지면서 어휘가 확장되는데 데 소위
명명 폭발기에 들어선다. 이 시기에 아동들은 사물이 이름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게
될 뿐 아니라 그 이름을 알려고 상당히 노력한다.
(1) 사물어
① 대상을 나타내는 사물어(object words)의 비율이 행위를 나타내는 동작어
(actionwords)보다 높게 나타난다. 그 이유는?
a. 명사로 언급되는 개념들은 지각적 특성이 높고 응집성이 높으며 쉽게 감지되기
때문에 영아에게 접근이 용이하다. 이에 비해 동사는 대상물과 행위 사이의 관계를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개념적으로 훨씬 더 복잡하다.
b. 모성어와 같은 말을 성인이 쓸 때에 명사를 빈번히 사용하며 강세 둬서 말한다.
(2) 동작어
① 일부 연구들은 아동이 사물어보다는 동작어를 더 빨리 획득한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a. 한국어는 동사가 문장의 끝에 오기 때문에 아동의 주의를 더 끌 수 있다.
b. 한국어는 동사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 예) 들어가다/나오다, 입다/벗다 - go in/go out, put on/put off
② 다른 연구는 한국 아동에게서 동작어보다 사물어가 더 많이 나온다고도 하였다.
③ 우리 말의 경우 12개월 경에 동사(어부바)가 출현하여 의미 관계가 분명한 행위의
표현(은나-대변보는 것, 인나-일어나, 낸내-자다)으로 발전해 간다.
(3) 상태어
① 초기 상태어(state words)는 특정 행동의 결과인 대상물의 일시적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예) 1년 4개월에 ‘아퍼’,’없다’등의 상태어를 사용하기 시작
② 상태어는 대상과 행위를 구분하게 함으로써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 된다.
(4) 연결오류
① 아동이 새 단어를 상황이나 사태에 적절하게 적용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 예) 'old'와 'new'를 반대로 사용
(5) 과잉 확대와 과잉 축소
① 과잉 확대: 아동이 보편적으로 성인들이 사용하는 의미의 범주보다 더 넓게 확대
하여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
-> 예) 모든 동물을 개라고 칭하거나 모든 성인 남성을 아빠라고 부르는 경우
② 과잉 축소: 통상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의미의 범주를 축소시켜 특수한 경우에만
새 단어를 적용하는 경우
-> 예) 자신의 동생에게만 아기라는 말을 사용하는 경우
3. 두 단어기
생후 16-18개월 정도에 ‘아빠’,’맴매’ 어부바등 두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50 여개의 단단어를 표현할 수 있을 때 두 단어 연결이 시작된다.
(1) 전보식 표현
① 마치 우리가 전보를 보낼 때 가장 중요한 단어만 골라서 나열하듯이 아동은 단어를
조합할 때 조사, 조동사, 전치사 등의 문법적 형태소를 생략하여 표현한다.
② 기능어(function words)를 생략하고 내용어(content words)를 주로 사용한다.
(2) 주축어와 개방어
① 아동의 두 단어 말은 두 종류의 단어들, 즉 주축어와 개방어로 구성되었다 본다.
② 주축어(pivot words):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다른 개방어와 함께 사용되며 일련
의 제한된 수의 단어이다. 예) 아 추워, 아 이뻐, 엄마 물, 엄마 쉬
③ 개방어(open words): 주축어를 채워주는 단어로서 비교적 폭이 다양하나 주축어에
비하여 출현 빈도가 낮은 단어이다. 예) 아 추워, 아 이뻐, 엄마 물, 엄마 쉬
* 주축 문법으로만 해석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3) 의미론적 관계
① 두 단어 말의 주요한 의미관계는 주로 다음의 여덟 가지로 나타난다.
의미 관계 우리말(조명한, 1982) 영어(Brown, 1973)
행위자-행위 아빠 어부바 Mommy come
행위-목적 빵 줘 eat cookie
행위자-목적 엄마 밥 Eve lunch
행위-장소 빠방 가 sir chair
실체-장소 샘에 물 lady home
소유자-소유 고모 꺼 my teddy
실체-수식 엄마야 아퍼 box shiny
지시하기-실체 요거 불 this doggie
4. 문장 사용기
생후 2년 6개월 쯤 되면 아동은 점차 세 개 이상의 어휘를 사용하고, 수식어와 접속어
사용이 늘며, 보다 복잡하고도 수준 높은 언어 사용자가 되어 간다.
(1) 구문의 발달 및 측정
① 평균 발화 길이(mean length of uterance: MLU)로 아동의 구문 발달을 측정
형태소는 의미있는 최소의 단위로, 단어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단 계 연 령(세) Brown-MLU
I 1세-2세2개월 1 - 2
II 2세3개월-2세 6개월 2 - 2.5
III 2세 7개월-2세 10개월 2.5 - 3
IV 2세 11개월-3세 4개월 3 - 3.75
V 3세 5개월-3세 10개월 3.75 - 4.5
3세 10개월 이상 4.5이상
연령(세) 김영태 - MLU
2 3.01 - 3.75
3 4.0 - 4.95
4 5.46 - 6.31
(2) 의미론
아동 언어의 의미적 발달은 다음의 두 절차로 진행된다.
① 명제적 의미(propositional semantics)이다. 이것은 아동이 문장으로 단어들을
조합하는 능력과 함께 진행된다. 두 단어 말을 사용하던 시기에 나타나던 각각의
의미 관계들이 따로 나타나지 않고 보다 큰 단위로 조합되면서 주어-동사-목적어
있는 문장 등으로 표현하게 된다.
② 단어 의미의 획득의 발달에 의하여 일어난다. 아동의 빠른 어휘의 발달과 더불어
이미 알고 있는 어휘들의 의미를 정교화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몫을 차지하게 된다.
(3)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
① 단순한 말이 아니라 특정 주제를 놓고 타인과 대화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겨 점차
시공간적으로 장애를 받지 않고 인지적으로 수준 높은 구어 행위를 할 수 있게 된다
② 언어가 무엇을 요구하거나 무엇인가를 주장하고 질문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은
물론, 심리적 상태를 표현하고 자신의 미래 행동을 규정하기도 하고, 때로는 사태를
일신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③ 표현의 숨은 의도까지 알게 되고(예: ‘좀 시끄럽군’ 표현을 조용히 하라는
의미로 해석함), 자신의 표현과 듣는 것을 점차 청자나 화자의 입장에 맞추어 조절할
수도 있는 능숙한 소통자가 되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