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야리아 반환 주도 인물들 참석
- 범시민 공감대 형성 중요성 강조
부산항 북항 재개발과 원도심 발전의 걸림돌인 부산 동구 범일동 주한미군 55보급창의 이전을 추진하는 운동이 닻을 올렸다. 하야리아 미군캠프(부산시민공원) 반환을 주도했던 시민사회와 55보급창 주변 지역 주민들이 힘을 모은다.
박삼석 동구청장은 지난 2일 범일동 주민 대표 6명과 도시계획 전문가 등 24명이 참석한 가운데 55보급창 이전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박 청장은 이날 "55보급창은 북항 재개발과 부산항대교 건설로 군사적 기능을 상실한 만큼 이전을 준비해야 한다. 정부는 국가 안보를 위해 수십 년간 희생했던 원도심 주민들에게 55보급창 터 22만7000㎡를 돌려달라"고 촉구했다. 그는 또 "지역주민과 전문가들이 함께 하는 원탁회의(라운드 테이블) 형식의 55보급창 반환 추진위원회를 구성·운영하겠다"고 덧붙였다.
간담회에는 하야리아 반환 운동을 주도했던 ▷김희로 우리물산장려운동본부 대표 ▷박인호 부산항을사랑하는모임 대표 ▷서세욱 부산을가꾸는모임 회장 ▷조정희 부산여성소비자연합 대표 ▷김해몽 부산시민센터장 ▷최수영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양미숙 부산참여자치연대 사무처장과 ▷최형욱 새누리당 중·동구 당협위원장 권한대행 ▷오미라 동구의회 의장도 참석했다.
김희로 대표는 "1990년대 진보단체가 하야리아 반환 운동을 시작했을 때는 '빨갱이' 취급을 받기도 했다"며 "지금은 부산시와 주민들 모두 55보급창 반환을 강하게 희망해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박인호 대표는 "2002년 한미연합토지계획(LPP) 개정 당시 55보급창을 반환받지 못해 두고두고 아쉬웠다. 북항 1·2단계 재개발이 끝나는 2030년까지 55보급창을 이전해야 한다"며 부산시와 정치권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서세욱 회장은 범시민적인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항~문현금융단지 개발과 부산역 철도시설 재배치 계획이 끝나면 55보급창에서 철도를 이용한 군수물자 수송이 불가능하다. 유사시 부산항대교가 파괴되면 군함의 북항 출입도 어려워진다"고 설명했다. 오미라 의장은 "55보급창 반환과 매축지·동천 살리기를 연계하면 시너지 효과가 클 것이다. 의회도 힘을 보태겠다"고 약속했다.
민관 원탁회의체와는 별도로 시민사회가 주도하는 '55보급창 반환 추진위원회'(가칭)도 구성된다. 김해몽 부산시민센터장은 "행정은 55보급창 반환 전략 수립과 대정부 협상을 맡고, 시민사회는 대정부 압박 투쟁을 해야 한다. 하야리아 캠프를 돌려받을 때도 민관이 역할을 분담했다"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