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소 밀봉 계통은 발전기 케이싱 내부의 수소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 원리는 발전기 내부의 수소 압력 ( 75 psig )와 밀봉유의 압력(83 psig)을 차압조절 밸브를 이용하여 일정한 차압(8 psid)을 유지하여 밀봉링으로 밀봉유를 주입하여 유막을 형성하여 발전기 내부의 수소(순도 98%)를 밀봉한다. 밀봉장치(Seal Housing)는 발전기 양쪽끝부분 (End Shield) 에 용접되며 하우징은 2개의 밀봉 밸브링을 포함하는데 밀봉유 공급 계통으로 부터 공급받는 Oil은 밀봉유 장치내의 밀봉유 공급홈을 지나 Spring을 통해 각 밀봉 장치의 밀봉링 사이로 주입되어 Generator Shaft (회전자)와 Seal Ring사이에 유막을 형성하여 Shaft를 따라서 End Shield를 통과하는 수소가스 누설을 방지한다. Seal Ring의 내경은 발전기Shaft의 직경보다 2 - 3 mm크며 각 Ring의 Segment는 Garter Spring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지지한다. 밀봉유 공급계통으로 부터 진공처리된 Oil은 Housing안에서 밀봉유 공급 Groove에 의해 Ring과 회전자 사이를 흐른다. 이 사이의 Oil 유막이 Shaft 를 따라 양쪽 End Shield를 흘러서 밀봉을 형성하여 누설을 방지한다. 이 Seal Ring을 통과한 Oil은 Air측과 수소측으로 분리되어 수소측은 H2 Detraining Tank로 배유되고, 공기측은 Aux. Detraining Section 을 통해 Bearing Oil과 혼합되어 배유된다.
1. 주요 구성기기
주요 기기 | 기능 및 구조 | 비고 |
진공탱크 | Float에 의하여 유위 유지 밀봉유 펌프의 흡입원 제공 불 응축성 가스, 공기와 습분 제거 | 터빈 중심 아래의 지면에 설치 고유위 경보 : 정상이상 4" 저유위 경보 : 정상이하 6" |
주밀봉유펌프(MSOP) | 밀봉유를 발전기로 공급 | 3/4-518-M-PP02; 1대/Unit; 162GPM; 120 psig; 25HP; 460V AC; 1150RPM; G.E |
재순환 펌프 (RSOP) | 수분,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거 MSOP 기동시 항상 기동 | 3/4-518-M-PP03;1대/unit; 180 GPM; 30 psig; 10 HP; 460V AC; 1150 RPM; G.E |
비상밀봉유 펌프(ESOP) | MSOP(160GPM)운전 정지시 자동기동 흡입원은 Oil Feed Line | 3/4-518-M-PP01; 1대/unit; 180GPM; 120psig; 30HP; 240V DC; 1750 RPM; G.E |
진공밀봉유 펌프(SOVP) | 불응축성 가스 제거 밀봉유 탱크 내부에 진공(0.5" Hga)형성 | 3/4-518-M-PP04; 1대/unit; 312GPM; 762 mmHga; 3HP; 460V AC; 1750/280 RPM; G.E |
밀봉유여과기 (HFI Seal Oil Filter) | 1대운전, 1대 예비용 Differential Governor의 후단에 설치 | 정상 운전중 여과기 카트리지 교체 가능(3Way Valve이용) |
밀봉유strainer (HDS) | 베어링 윤활유 INLET 배관에 설치 1대운전, 1대 예비용. | 차압 고경보 설정치 : 4 psid |
Hydrogen Detraining Tank | Oil을 발전기측(H2측)으로 부터 수용 진공 상태를 유지 Oil Reservior로 공급되기 전에 큰 Bubble을 방출 | 고유위 경보 : 3"증가 |
액체 검출기 | Oil이 발전기 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 | 수위 증가시 경보 동작. |
Float Trap | Detraining Tank내 압력/수위 유지 |
1.1. 진공탱크
a. 수소 밀봉유 계통용 Reservior는 진공 탱크인데 터빈 중심 아래의 지면에 설치된다.
b. 진공 탱크의 주기능은 H-10의 Float에 의하여 유위를 유지하여 밀봉유 펌프의 흡입원을 제공하고 밀봉유에 섞여 있는 불 응축성 가스인 공기와 습분을 제거하고 Oil에 섞여있는 수소가스는 큰 Bubble의 수소는 H2 Detraining Section (밀봉 배유 Enlargement에서 분해)으로, 작은 Bubble은 진공탱크로 이송되어 분해된다.
c. 계통 정상 운전중 Oil은 윤활유 계통으로 부터 Oil Flow를 조정하는 Float Valve(H-10)와 분사 노즐을 통해 진공 탱크로 돌아간다. 이 입수 분사 노즐은 탱크에 Oil이 공급될 때 위로 분사되면서 Oil에서 가스를 분리한다.
d. Oil내부에 남아있는 가스의 대부분은 이 탱크의 하부측 재순환 밀봉유 펌프 노즐 (RSOP)에서 탱크 천정 부분에 아래로 향하고 있는 노즐을 통해 2번째 분사를 시키면서 분리되는데 이 분사의 방향이 Foaming을 방해한다.
e. Float Operated Switch (63-L10)는 Oil이 탱크 정상 수위 이하이거나 정상 수위보다 3"이상으로 상승시 경보 장치가 동작한다. 만약 정상 윤활유 계통이 사용 중지시 밀봉유는 재순환 밀봉유 펌프 (RSOP) 에 의해 자체 순환된다. - 수위 고 경보 : 정상수위 이상 4" (TCLS002A), 수위 저 경보 : 정상수위 이하 6" (TCLS002B)
f. 진공 밀봉유 펌프(SOVP)는 불응축성 가스를 제거한다. 가스와 수증기는 상기의 Oil Feed계통으로 부터 분산에 의해 분리되고 또 RSOP에 의해 자체 순환 분사되어 진공펌프에 의해 빠져나간다. 밀봉유는 주 밀봉유 펌프(MSOP)에 의해 발전기로 공급된다. Reservior의 Float Valve(H10)에 의하여 유량이 조정된 Oil은 베어링 헤더로 부터 공급되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한다.
1.2. 주밀봉유 펌프 ( Main Seal Oil Pump )
밀봉유는 주 밀봉유 펌프(MSOP)에 의해 발전기로 공급된다
1.3. 재순환 펌프 ( Recirculation Seal Oil Pump )
밀봉유 속의 수분 및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밀봉유를 재순환시킨다 (MSOP 기동시 항상 기동 되어야 한다.)
1.4. 비상밀봉유펌프(Emerenncy Seal Oil Pump)
a. 수소가스는 공기와 혼합시 폭발되므로 밀봉유 계통이 필요하게 되는데 주밀봉유 펌프 (MSOP)가 정지되면 밀봉유를 계속 공급하기 위하여 비상 밀봉유 펌프가 자동으로 기동된다.
b.비상 밀봉유 펌프 (ESOP)의 흡입원은 진공 탱크에서 공급되지 않고 Oil Feed Line을 흡입원으로 이용한다. 이 경우 역지 밸브 H-16을 통하여 가버너 쪽으로 밀봉유가 공급되는데 역지 밸브 H-17 및 H-13을 통해 탱크로 역류 되지 않도록 한다.
c. ESOP는 MSOP(160GPM)운전 정지시 자동으로 가동하는 회로가 있는데 이것은 MSOP Discharge압력을 감시하는 (95 Psig이하) 압력 스위치 (63-P7,63-P7A)와 교류 감지 계전기 상실 (Loss of AC Sensing Relay)에 의해 이 공급 압력이 정상치보다 10Psig이하로 떨어지면 ESOP에 기동신호를 Relay한다.
d. ESOP와 MSOP가 동시에 운전 정지시 밀봉유 공급쪽에서 H-17을 통해 직접 공급된다. 이것은 베어링 헤더로 부터 회수되는 유압은 25Psig로 낮고 수소 가스 압력은 75Psig로 높으므로 밀봉할 수 없다. 따라서 영광#3,4의 경우는 Differential Governor와 MSOP사이의 Upstream의 배관을 통하여 Main Shaft Turbine윤활유 펌프로 부터 밀봉유를 공급받는다. 이 방법은 터빈의 속도가 정격의 70%이상에서 가동하므로 ESOP와 MSOP가 운전 정지시에도 규정 압력에서 밀봉이 가능하게 된다. ( 이 경우는 윤활유 계통의 Orifice와 Relief Valve에 의하여 제어된다.)
1.5. 진공 밀봉유 펌프(SOVP)
밀봉유 탱크 내부에 진공(0.5" Hga)을 걸어서 밀봉유에 포함된 공기나 수분등의 불응축가스를 제거한다.
1.6. 밀봉유 여과기(HFI, Seal Oil Filter)
a. 밀봉유 여과기는 한쌍으로 구성되는데 1대는 예비용이다. 이것은 Differential Governor의 후단(Down Stream)에 설치된다.
b. 각 여과기 사이에 3 Way이송밸브(Transfer Valve)가 연결되어 정상 운전중 여과기 카트리지를 교체 가능하다. 차압계(HGA-9)는 10Psid에 Preset되어있는 △P스위치(63-P10, 63-P10A)에 연결된다. 대기상태의 여과기 교체시 Cover의 Vent Plug를 제거 및 밸브 H-94에 의해 Oil을 채운 뒤에 H-94를 닫고 Vent Plug를 장치하고 이송 밸브 H-90을 동작시킨다. 교체 후 양단의 차압이 4 Psid가 HGA-90에 지시되어야 한다.
1.7. 밀봉유 Strainer(HDS)
밀봉유 Strainer는 베어링 윤활유 INLET 배관에 설치되어 한대는 운전되고 한대은 예비용이다. 차압 고 경보 설정치는 4 psid ( 63-P17 )이고 영광 시운전시 차압 고 경보에의하여 3-way 밸브의 유로를 변경하러 하였으나 조작 미숙으로 인하여 사고 발생하였으므로 유의 하여야 한다.
1.8. Differential Governor
a. 밀봉유 계통은 Oil압력과 발전기 내의 수소 압력(Machine Gas압력)간의 차압(8psid)을 유지하기 위하여 Diffenential Governor를 장치한다.
b. Differential Governer는 Governor상부측의 수소압력(Machine Gas압력, H2 Detraining Tk 하부)과 하부측의 밀봉유 배관 압력(H-24후단)을 받아서 다이아 프람에 의하여 동작한다. 가버너 쪽으로 공급되는 Oil은 MSOP 방출밸브(H-12)에 의해 RSOP쪽으로 오일을 계속 방출함으로서 수소가스 압력보다 최소한 8Psig이상 높은 압력을 유지한다.
c. 밀봉유 압력 Sensing은 Collector End 측의 조절 밸브 후단에서 받으며 수소 압력 Sensing은 H2 Detraining Tank의 하부에서 취하며 Sensing Line은 Oil로 채워져 있다.
1.9. 밀봉유 Pressure Sensing Line
a. Differential Governor를 통과한 밀봉유는 여과기를 거쳐 발전기 케이싱에 들어가기 전에 양분되는데 Flow의 1/2은 Collector End쪽으로 그리고 나머지 절반은 터빈End쪽으로 공급되어 Seal Ring으로 들어가는데 이 Ring에 들어가기 전단에는 터빈측 축 밀봉유 공급 밸브(H-22)와 여자측 밀봉유 공급 밸브 (H-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는 게이트 밸브로서 내부에 구멍이 있어 유량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다.
b Differential Governor로 공급하는 Pressure Sensing Line은 여자기측 축 밀봉유 공급 밸브 (H-46)을 통과한 다음 발전기 Collector End쪽 Feed Line에서 공급된다. 발전기 케이싱 내부의 가스압력이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H-16에서 Throttle Down시키면 터빈 End쪽 밀봉유 압력은 증가하게 된다. 또 H-46을 완전히 닫으면 Differential Governor에 검출된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Differential Governor는 이때 Collector End쪽 압력을 원래의 압력으로 환원되도록 Oil Flow의 증가를 요구하게 된다. H-22는 조정되지 않았으므로 터빈End쪽 압력은 증가된다.
1.10. Aux Detraining System
a. 밀봉링을 통과한 밀봉유는 발전기 측(H2)과 베어링(Air)측으로 분류되어 배유된다. 따라서 이 Oil의 한부분은 대기압의 공기속에 있고 나머지 부분은 수소가스압력속에 있다. 우선 공기측 배유(Drain Oil)의 흐름을 시험하면, Air측 Oil은 Large Holding Vessel (Aux Detraining Section Air)로 흐른다.
b. 이 Aux Detraining Section내부의 공간은 어떠한 큰 Bubble은 Roof의 배기로 빠져나가고 Oil은 수직으로 긴 배관을 통해 Loop Seal을 Over Flow하여서 최종적으로 터빈 윤활유 탱크로 되돌아간다. 이 Aux Detraining Section은 Collector End측(Air측)과 터빈측(Air)으로 부터 Oil을 수집하여 또 발전기 내부에서 가압된 수소측 Oil이 Vessel에 수집되어 터빈 윤활유 탱크로 흐른다.
1.11. Hydrogen Detraining Tank
발전기의 양쪽 끝부분에 2개의 Drain Pipe가 있어서 Shaft Seal의 발전기측(H2측)으로 부터 Oil을 받아서 Hydrogen Detraining Tank에 수용한다. 이 탱크의 기능은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Oil Reservior로 공급되기 전에 큰 Bubble을 방출시킨다. 이 탱크의 Turbine End측과 Collector End측은 그 중간 위치에 Baffle이 설치되어 발전기 양끝의 Fan압력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Oil Vapor가 Drain Piping을 통하여 순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들 양측은 Loop Seal에 연결된다. Oil Flow는 Loop Seal을 통과하여 DownComer로 내려간다. 이 탱크의 Oil은 여전히 수소와 접촉되어 있으며 발전기 수소 가스 압력이 미치고 있다. 유위증가로 인한 고 유위 경보 : 3"증가(63-L20)
1.12. Liquid Detector
Detraining탱그의 수위가 증가하면 정상 수위 보다 높은 배관을 통하여 경보를 동작시키는 액체 검출기로 간다. 이 Sensing Line이 설치된 이 탱크에 수소 압력이 걸리는 상태에서 Oil이 채워지므로 Head Difference를 직접 비교 검출하여 발전기 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13. Float Trap
Detraining Tank의 수소측 Oil을 순환시키기 위하여서는 수소가스 압력하에서 대기압으로 바꾸는 장치가 필요하다. Float Trap은 수소 밀봉유 계통에서 이 기능을 수행한다. H2측 Oil이 Float Trap으로 배출되는데 만약 Float Trap유위(Oil Level)가 출구밸브H-58보다 올라가면 Ball Float가 H-58개방시켜 Aux Detraining Section으로 흐르도록 한다. 영광 시운전시 float trap valve가 잘못 설치되어 진공 탱크의 진공이 형성되지 않았으므로 유의하도록 한다.
2. TEST
a.이 계통은 Gen.내의 냉각용 수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계통이다. G.E의 Package Item으로 구성되어 있어 운전에 특히 유의 하여야 하므로 2명정도의 숙련된 작업자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사전 교육이 매우 중요하며 기기 운전시 전담으로 투입할 수 있는 작업자를 교육 하는 것이 좋다. 정확한 Line 및 기기 위치를 파악하고 기기의 계략적 역활, 각종 계기 Line의 역활 및 연결 상황들을 파악하며 기기 운전시 특히 유의 하여야 한다. 특히 Valve No.가 기기 설치시 Vendor No.로 Tag를 설치하므로 작업자가 Line을 파악하기에 약간의 애로사항이 발생하므로 조기에 Valve No.에 관한 정보를 한전측에서 입수하여 배포하여야 한다. Vendor 공급 밸브이므로 조작시 주의하여 다루어야 하며 확실한 작동 원리를 파악하여야 무리가 없다. 특히 조작 순서에 관해서는 유의하여 익혀둘 필요가 있다.
b. 전동기 진동시험은 Power Line등을 수시로 Check하여 전기 시운전 담당자와 협의 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전동기 진동 시험의 수행전 필수 사항은 펌프와 전동기간의 Coupling의 분리가 필수이므로 건설 담당자에게 시험전 반드시 요청하여야 한다. 본 기기에서의 진동시험은 Uncoupling 불가한 전동기가 있어 전동기 진동 시험을 한기공에서 수행한 경우가 있으나 시운전에서 수행하기에도 무리가 없는 항목이다. SOVP의 경우에는 구동부와 피동부사이에 Speed Reducer로 연결되어 있어 각 기기의 회전방향, 감속율등을 사전에 알아둘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동기 진동시험 수행후 반드시 건설 담당자에게 통보하여 Alignment를 조속한 시기에 하여 실시하여 펌프 초기 기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c. 기기운전은 Main TBN Lube Oil Reservoir Tank로 부터 윤활유를 공급받아 Gen. Shaft Seal부로 밀봉유를 공급하는 이 계통의 운전은 각 부위의 압력에 관해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 기동시 반드시 밀봉유량 측정용 탱크의 밸브를 열고 난후에 밀봉유를 공급해야 하고 발전기 내부의 압력이 5Psi이상 상승이 되면 우회밸브를 잠궈서 Float Trap밸브로 유량을 조절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 작업만 정확히 수행하면 발전기 오일 유입을 거의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철저히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 계통을 운전하고 난후 발전기 내부의 압력을 낮출시에는 발전기 가스 계통의 배기 밸브를 열어서 배기하게 된다. 이때도 반드시 내부의 압력이 5psi가 되면 즉각적으로 유량측정용 밸브를 열어 오일이 Float Trap밸브의 위로 상승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발전기 수소 누설시험이 발전기 설치완료시점에 실시되므로 Pre-Operation 공정 관리에 신경을 써서 이 계통시험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자세한 내용을 절차서에 언급되어 있으므로 절차서를 참조하기 바라며 운전에 들어가기 이전에 항상 한전담당자로부터 주의사항을 숙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발전기 수소 누설시험이 발전기 설치완료시점에 실시되므로 Pre-Operation 공정 관리에 신경을 써서 이 계통시험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3.운전
3.1. 기동전 시험
a. 진공 펌프 기동 및 정지 확인
b. MSOP, RSOP기동 및 정지확인
c. ESOP기동 및 정지확인
d. Seal Oil Vacuum Tank 수위조절확인
e. Duplex Filter/Strainer 차압 경보 확인
f. 액체 검출기 경보확인
g. 차압조절밸브 작동 및 경보 확인
h.밀봉유 유량 측정
- 전체 유량 측정 ( 수소측 + 공기측 )
. 진공 탱크눈금 이용 ( 울진 채택 )
i. H-09 close
j. Tank 눈금저하( 1 inch = 30.4 gallon )
. orifice 차압 측정하여 유량 환산
k. HSF-TE / CE 에 설치된 orifice 사용
l. 차압과 유량 환산표 이용하여 유량 측정
- 수소측 유량 측정
. bucket 이용
m. Close H-63 / 64 and open H-65 / 66
n. H-06 throttle하여 눈금 유지
o. 용량 알고 있는 bucket이용 drain 되는 밀봉 유량 측정
. measurement tank 눈금 이용 ( 울진 채택 )
p. Close H-63 / 64 and open H-65 / 66
q. Close H-82 and open H-06후 전체 oil drain ( by H-63 throttle )
r. Close H-06
s. Close H-03 and open H-08
t. Measurement tank 눈금 이용 유량 측정( 1 inch = 0.76 gallon )
- TE / CE측 구분된 유량 측정 ( 울진 채택 )
. Ultrasonic flow meter 이용 유량 측정(사용법 : 기술정산서 I-C-001참조)
3.2. 운전
3.2.1. 밀봉유 진공 처리
Shaft Seal용 Oil은 최소량의 공기와 습분이 발전기에 공급되도록 진공 처리를 한다. 진공 탱크에서 1” Hg정도의 절대압을 유지하면 발전기는 97%이상의 농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그 결과 밀봉유는 무시할 수 있는 양의 습분이 발전기에 들어가게 되므로 진공 처리 계통은 발전기에서 수소의 순도를 누설에 의한 손실량을 보충할 필요도 없고 밀봉유에 흡수된 수소의 손실에 의한 보충도 불필요하다.
3.2.2. 밀봉유 계통으로 수소 손실(Hydrogen Loss In Sealing Oil)
발전기 냉각용 수소가스는 발전기쪽 밀봉은 통과하는 Oil에 계속 흡수되는데 이 흡수량은 기체측 밀봉 유량에 비례하고 Oil내부의 수소 가스 용해도에 비례한다. Oil내부의 수소 용해도는 수소가스 압력 1/2 Pound에서 그 양의 약 7%를 함유하고 절대 압력에 따라 증가한다. 3 Gal/Min의 양이 가스측에 흐를경우 1/2 Psig에서의 수소 손실량은 3/7.5 X 0.07 X 60 = 1.7 ft3/hr
3.2.3. 수소 밀봉유 계통 경보 1.1.3.1. 진공 탱크 저 진공 : 정상운전중 진공 압력 660 - 784 mmHg(0.5 Inch Hga)
a. 진공펌프의 고장 - MSOP를 정지시키고 ESOP로 Seal공급.
b. 터빈 밀봉유에 냉각수 함유 - 진공탱크 내부에서 Oil Spraying에 의해 분리된 수분은 진공펌프로 분리 탱크를 통해서 배수 시키고 진공탱크 내부 순환 계통을 통해 분리 작업을 계속하여 수분 제거 후 Fresh Oil을 충진 시킨다.
c. 진공 탱크로 대기 반입 - ESOP가동 및 진공 탱크 정지후 누설 부위 수리.
3.2.4. 주 밀봉유 펌프 상실(MSOP Failure)
a.주 밀봉유 펌프 (MSOP) 전원차단 및 진공펌프 (VSOP) 전원 차단하고 펌프 및 전동기 점검.
b. 진공 탱크의 유위를 점검하고 Float Valve의 상태 점검 ( Closed Position고장으로 진공 탱크의 저 유위로 인한 주 밀봉유 펌프의 흡입원이 상실될 수 있음).
3.2.5. Differential Seal Oil Pressure (11 Psi & 5 Psig) Hi
a. 밀봉유 차압이 높을 경우(10psig(0.07Kg/cm2))는 여과기 Clogging이나 Differential Governor 밸브H-19고장시 Filter Handle을 조작하여도 차압이 5 Psid이하가 않되면 대기중인 여과기로 교체운전 또는 우회밸브 H-21을 열고 Seal압력을 수동으로 유지하여 고장 수리한다.
b. Differential Governor (H-19)의 Pressure Diaphragm고장시 밀봉유의 차압이 너무 높으므로 발생된다. H-19 밸브의 결함이면 우회밸브 H-21을 개방한다.
3.2.6. Liquid Detector Full
냉각기 누설로 인해 Shaft Seal에서 발전기로 가는 Oil이 증가되면 검출기가 경보를 동작시킨다.
a. 액체 검출기에서 누수가 검출되면 2개의 수소 냉각기를 한번에 1대씩 정지시켜 검사후 결함부분을 수리해야 한다.
b. 투시경에서 Oil이 검출될 경우 밀봉유 압력이 너무 높은 것이 원인이면 압력을 정상치로 감소시키고 정상 압력에서 Oil누출은 소량일 경우는 다음 Overhaul까지 계속 운전이 가능하나 과다한 밀봉유의 유입은 즉시 발전기를 정지 시켜야 한다.
c. Float 밸브 H-58의 고장시도 Oil이 증가하게 된다. Float 밸브 전후단 차단밸브를 닫고 우회 밸브 (H-05)를 조절하여 유량 조절한다.
3.2.7. Emergency Float Trap우회절차
Ball Type의 Float(H-58)이 닫히지 않으면 Liquid Detector의 경보가 동작한다. 이 상태에서 밀봉유의 역 충유(Back Fill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래의 Emergency Bypass Procedure에 따라야 한다. 투시경은 Float Trap의 유위를 감시하기 위하여 Level감시밸브는 운전중 항상 개방해 놓아야 한다. Float Trap이 고장시 Oil이 차게되고 Emergency Float Trap Bypass절차에 따라 수행하여 역충유를 방지하여야 한다.
a. 먼저 투시경과 Float Trap간의 밸브 H-63과 H-64를 닫고 투시경과 우회배관간의 밸브 H-65와 H-66을 개방
b. H-81을 서서히 열면서 투시경 유위를 점검하여 Float Trap의 수위가 정상치 이하를 유지할 때까지 계속 개방시켜야 한다.
c. H-81을 완전히 개방하여도 유위가 보이지 않으면 H-81을 닫고 H-05를 서서히 열면서 투시경으로 계속 감시하고 필요시 H-81을 서서히 열면서 계속 우회시켜야 한다. 우회 밸브H-05와 H-81의 조정은 Float Trap에 과유량되는 Oil을 우회시키는 것으로 H-05는 큰 Globe 밸브이므로 아주 느리게 개방하여야 한다.
4. 세정결과
4.1. 세정 판정기준
Size Range (㎛) | Good (Lift Pumps) | Maximum Acceptable (Except for Lift Pump Operation) |
5 - 10 | 32,000 | 128,000 |
10 - 25 | 10,700 | 42,000 |
25 - 50 | 1,510 | 6,500 |
50 - 100 | 225 | 1,000 |
100 - 250 | 21 | 92 |
> 250 | 0 | 0 |
4.2. 세정단계 : 4단계 (24시간)
a. 1단계 : MSOP, ESOP, RSOP 기동후 3시간 세정
b. 2단계 : MSOP 기동후 2시간 세정 및 정지
c. 3단계 : ESOP 기동후 1시간 세정 및 정지
d. 4단계 : MSOP, RSOP 기동후 1시간 세정
e. 시료 분석후 만족 할 때까지 반복 실시
4.3. 세정 장비
a. 펌프 4대 (MSOP, ESOP, RSOP, SOVP)
b. 100 mesh 여과기 및 세정유 Sample bottle
4.4. 임시 설치 사항
a. HDS/ HFI의 케이싱에 임시 여과기 (100Mesh)설치
b. 탱크 내부의 분사 노즐 및 H-10 밸브 후단에 임시 여과기 설치
c. H-41 및 H-07/08에 임시 차단 밸브 설치
d. 상부 케이싱을 제거하고 하부는 밀봉링이 제거된 상태로 밀봉 케이싱을 설치
e. 밀봉 케이싱에 임시 막음벽을 설치하여 밀봉유가 유입되지 않도록 조치
f. MSOP, ESOP, RSOP의 후단 압력 감지관에 시험용 플러그를 풀고 임시 압력계 설치
g. 탱크 하부에 임시 배유 호스 설치
h. 발전기 가스 계통의 액체 검출기에 임시 부저를 설치하여 세정유가 발전기로 유입되는지를 감시함
i. 4대의 펌프에 현장 정지 스위치 설치
4.4 세정 수행전 요구사항
a.주터빈 윤활유에 250 ㎛이상의 입자(이물질)가 포함되지 않아야 함
b. 수동 밸브 및 안전 밸브의 성능 시험 완료
c. 전동기 단독 진동 측정 및 펌프와의 축정렬 완료
d. 펌프 운전시 펌프 후단의 안전 밸브 조정 완료
e.세정 수행중 세정유의 발전기 유입을 특히 유의
4.5. 세정
a. 1단계 : 세정용 임시펌프(ESFP)를 이용하여 오일 오도(71 - 82oC)까지 상승후 진공 펌프의 기동으로 진공 29" HGA도달후 3시간 고온 세정 실시
b. 2단계 : 세정유 온도 (32 - 38oC)저하 후 MSOP기동으로 2시간 세정후 정지
c. 3단계 : ESOP기동후 1시간 세정 및 정지
d. 4단계 : 100 Mesh임시 팬케이크 여과기를 H-22 및 H-46의 후단 플랜지에 설치
e. MSOP, RSOP기동 후 1시간 세정
f. 결과 : 임시 여과기에 이 물질 확인 후 진공 탱크의 최하부에서 시료 채취 완료 후 제차 세정작업 수행
4.6. 결과
분석 항목 | 단위 | 기준치 | 세정 시료 분석 | |
1차(03:02일) | 2차(03:02일) | |||
Particle 5 - 10 ㎛ | 입자수 / 100 ml | 128,000 | 42,637 | 21,151 |
10 - 25 | 입자수 / 100 ml | 42,000 | 6,558 | 2,146 |
25 - 50 | 입자수 / 100 ml | 6,500 | 143 | 147 |
50 - 100 | 입자수 / 100 ml | 1,000 | 182 | 95 |
100 - 250 | 입자수 / 100 ml | 92 | None | None |
Greater than 250 | 입자수 / 100 ml | None | None | None |
비중 | kg/L @ 15oC | 0.862 | N/A | N/A |
수분 | ml / 100 ml | N/A | N/A | |
전산가 | mg KOH / g | 0.29 | N/A | N/A |
점도 | mm2 / s | 31.1 | N/A | N/A |
계통 상태(시료체취 : 진공 탱크하부) | 1차 세정 후 | 2차 세정 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