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문서개론』<하>-국왕의 하달문서(下達文書) 톺아보기
『조선시대문서개론』의 저자 이강욱은 현재 조선시대 사료와 법전 교육전문기관인 원격평생교육원 은대학당장으로서, 사료의 번역과 연구 및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조선시대문서개론』은 조선시대 국왕과 신민(臣民)의 소통 수단인 문서에 대한 해설서로, 상권과 하권 2권으로 편집하였다.
상권에는 조선시대 신민이 국왕에게 올리던 15가지 문서를 각각 1장씩 나누어 서술하되, 계사(啓辭)는 대간계사(臺諫啓辭)를 별도의 1장으로 나누어 서술하여 총 16장이 되었다.
하권에는 조선시대 국왕이 신민에게 내리던 14가지 문서를 각각 1장씩 나누어 서술하고, 마지막 장에서는 대리청정(代理聽政) 및 그 시기에 동궁(東宮)과 신민이 주고받던 문서에 대해 서술하여 총 15장이 되었다.
『조선시대문서개론』<하>는 조선시대 국왕이 신하나 백성에게 내리던 14종의 상달문서 및 동궁문서(東宮文書)에 대해 서술한 책으로, 저자가 오랜 기간 조선시대 관찬사료인 승정원일기와 일성록, 조선왕조실록 등의 번역 및 관련 업무에 종사하면서 연구한 결과와 2010년부터 은대학당에서 조선시대의 사료와 문서, 법전 등을 가르치면서 켜켜이 쌓인 연구 실적들을 반영한 결과물이다.
이 책에서 기술한 14종의 문서는 하교(下敎), 전교(傳敎), 교서(敎書), 교지(敎旨), 전지(傳旨), 유서(諭書), 유지(有旨), 유지(諭旨), 윤음(綸音), 판부(判付), 비답(批答), 봉서(封書), 교명(敎命), 책문(冊文)으로, 1개의 문서를 1장으로 분류하여 각 문서의 유래와 그 문서가 가진 성격 및 문서 형식, 그리고 해당 문서 안에서 세분화된 각 분류 문서의 성격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해당 문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역사 용어의 해설 등을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마지막 장에는 대리청정(代理聽政) 기간에 세자(世子)와 신하가 주고받는 문서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각 장의 마지막에는 현존하는 각 문서의 번역과 해설을 수록하였다. 각각의 장은 하나의 논문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각 장마다 실제 문서의 이미지와 번역을 싣고 있어서, 조선시대 국왕이 신하나 백성에게 내리던 문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조선시대문서개론』<하>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 책의 목차에, 수록 및 내용 발췌 목록을 더한 아래 목차로 대신한다.
목차
일러두기 5
머리말 9
총론(總論) 12
-국왕의 하달문서(下達文書) 분류 (그림)
-전명문서(傳命文書) 교(敎)의 분화 (그림)
-전명문서 유(諭)·지(旨)의 분화 (그림)
-조선시대 국왕의 下達文書 유래 및 성립 (그림)
제1장 하교(下敎)
1. 하교의 유래 및 변천 18
2. 하교의 분류 23
-구전하교(口傳下敎)
-탑전하교(榻前下敎)
-『속명의록언해』 탑전하교 (사진)
-『속명의록언해』 탑전정탈 (사진)
-승지의 入侍 여부에 따른 국왕의 발급 문서 (그림)
3. 현존하는 하교의 실례 48
-1799년(정조 23) 정조의 탑전하교-1 (사진)
-1799년(정조 23) 정조의 탑전하교-2 (사진)
-1799년(정조 23) 정조의 탑전정탈 (사진)
-1799년(정조 23) 이병모의 거행조건 (사진)
제2장 전교(傳敎)
1. 전교의 유래 및 변천 55
2. 전교의 분류 61
-탑전전교(榻前傳敎)
-비망기(備忘記)
3. 현존하는 전교의 실례 76
-1765년(영조 41) 영조의 탑전전교 (사진)
-1787년(정조 11) 정조의 탑전전교 (사진)
-1652년(효종 3) 효종의 비망기 (사진)
-1615년(광해군 7) 광해군의 비망기-1 (사진)
-1615년(광해군 7) 광해군의 비망기-2 (사진)
제3장 교서(敎書)
1. 교서의 유래 및 형식 84
2. 교서의 분류 89
-다중(多衆)에게 내리는 교서
:즉위교서(卽位敎書)
:전위교서(傳位敎書)
:청정교서(聽政敎書)
:책봉교서(冊封敎書)
:상호교서(上號敎書)
:구언교서(求言敎書)
:토역교서(吐逆敎書)
:사면교서(赦免敎書)
-개인(個人)에게 내리는 교서
:녹훈공신교서(錄勳功臣敎書)
:종묘배향공신교서(宗廟配享功臣敎書)
:문교종사공신교서(文廟從祀功臣敎書)
:제수교서(除授敎書)
-조선시대 공신의 명호(名號)와 숫자-『典律通補』 「別編」 <功臣名號> (표)
-종묘배향공신-『六典條例』 「禮典」 <宗廟署> (표)
-문묘종사공신-『六典條例』 「禮典」 <成均館> (표)
3. 현존하는 교서의 실례 109
-1875년(고종 12) 고종의 반교문 (사진)
-1807년(순조 7) 순조가 정만석에게 발급한 제수교서 (사진)
-1802년(순조 2) 순조가 김조순에게 발급한 가례교서 (사진)
제4장 교지(敎旨)
1. 교지의 유래 및 변천 117
-선지(宣旨)
-왕지(王旨)
-1395년(태조 4) 태조가 강순룡에게 발급한 왕지 (사진)
-교지(敎旨)
2. 교지의 분류 및 형식 129
-고신교지(告身敎旨)
:문무관 4품 이상의 고신
:당상관 아내의 고신
-1890년(고종 27) 고종이 김상덕에게 발급한 고신교지 (사진)
-추증교지(追贈敎旨)
:증직교지(贈職敎旨)
:증시교지(贈諡敎旨)
-1797년(정조 21) 정조가 윤시동에게 발급한 추증교지 (사진)
-사패교지(賜牌敎旨)
:노비.토지를 하사할 때 발급하는 사패교지
:향리의 신역을 면제해줄 때 발급하는 사패교지
-공신에게 하사하는 사패전답(賜牌田畓)과 사패노비(賜牌奴婢)-『續大典』 「刑典」 <公賤> (표)
-1786년(정조 10) 정조가 윤행임에게 발급한 사급교지 (사진)
-과시교지(科試敎旨)
:홍패(紅牌)
:백패(白牌)
3. 현존하는 교지의 실례 144
-1857년(철종 8) 철종이 김완식에게 발급한 고신교지 (사진)
-1664년(현종 5) 현종이 유여해에게 발급한 추증교지 (사진)
-1606년(선조 39) 선조가 유성룡에게 발급한 사패교지 (사진)
-1872년(고종 9) 고종이 안긍원에게 발급한 과시교지-홍패 (사진)
-1867년(고종 4) 고종이 안긍원에게 발급한 과시교지-백패 (사진)
-1870년(고종 7) 이조가 안긍원에게 발급한 교첩 (사진)
-1871년(고종 8) 승정원이 안긍원에게 발급한 직부첩 (사진)
-1872년(고종 9) 이조가 안긍원에게 발급한 차정첩 (사진)
제5장 전지(傳旨)
1. 전지의 유래 및 변천 151
-실록에서 검색한 조선 전기의 전교(傳敎)·전지(傳旨)·승전(承傳) (표)
-1718년(숙종 45) 승정원이 발급한 파직전지 (사진)
2. 전지의 분류 163
-유음전지(流音傳旨)와 하음전지(下音傳旨)
-징벌전지(懲罰傳旨)와 시상전지(施賞傳旨)
3. 현존하는 전지의 실례 169
-1723년(경종 3) 승정원이 발급한 추고전지-1 (사진)
-1722년(경종 2) 승정원이 발급한 추고전지-2 (사진)
-1722년(경종 2) 승정원이 발급한 추고전지와 체차전지 (사진)
제6장 유서(諭書)
1. 유서의 유래 및 변천 174
2. 유서의 분류 183
-하유유서(下諭諭書)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밀유(密諭) (표)
-1785년(정조 9) 정조가 이재학에게 발급한 하유유서 (사진)
-전유유서(傳諭諭書)
-『내암집(來庵集)』에 수록된 유서 (표)
-밀부유서(密符諭書)
-포상유서(褒賞諭書)
-훈유유서(訓諭諭書)
-유서의 용도 및 분화(分化) (그림)
3. 현존하는 유서의 실례 201
-1444년(세종 26) 세종이 정식에게 발급한 하유유서 (사진)
-1608년(광해군 즉위년) 광해군이 정구에게 발급한 전유유서 (사진)
-1592년(선조 25) 선조가 김성일에게 발급한 밀부유서 (사진)
-1782년(영조 8) 영조가 권익순에게 발급한 포상유서 (사진)
-1796년(정조 20) 정조가 의주부의 백성에게 발급한 훈유유서 (사진)
제7장 유지(有旨)
1. 유지의 유래 및 변천 210
2.유지의 분류 221
-유지의 발급 관사에 따른 분류
:승정원이 발급하는 유지
:규장각이 발급하는 유지
-1539년(중종 34) 승정원이 이언적에게 발급한 유지 (사진)
-1795년(정조 19) 규장각이 김희에게 발급한 유지 (사진)
-유지의 내용 및 형식에 따른 분류
:당사자에게 하유(下諭)할 내용을 수록한 유지
-1688년(숙종 14) 승정원이 박세당에게 발급한 유지 (사진)
-1600년(선조 33) 승정원이 김홍원에게 발급한 유지 (사진)
-1724년(경종 4) 승정원이 권이진에게 발급한 유지 (사진)
-1627년(인조 5) 승정원이 장현광에게 발급한 유지 (사진)
-국왕의 하달문서 내용을 수록하여 보낸 유지
-1629년(인조 7) 승정원이 장현광에게 보낸 유지 (사진)
-국왕의 하달문서 내용을 수록하지 않고 동봉하여 보내는 유지
-1886년(고종 23) 승정원이 민영상에게 발급한 유지 (사진)
3. 현존하는 유지의 실례 231
-1546년(명종 1) 승정원이 이언적에게 발급한 유지 (사진)
-1834년(순조 34) 승정원이 김진화에게 발급한 유지 (사진)
-1834년(순조 34) 승정원이 김진화에게 발급한 유지의 피봉(皮封)과 사복시가 발급한 아마첩(兒馬帖) (사진)
-1724년(영조 즉위년) 승정원이 윤행교에게 발급한 유지 (사진)
-1733년(영조 9) 승정원이 권이진에게 발급한 유지 (사진)
-1819년(순조 19) 승정원이 경상도관찰사 김이재에게 발급한 유지 (사진)
제8장 유지(諭旨)
1. 유지의 유래 및 변천 243
-1788년(정조 12) 정조가 이성원에게 발급한 유지 (사진)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별지비답·전교의 분류 (표)
2. 유지의 분류 251
-전유유지(傳諭諭旨)
-『홍재전서』에 수록된 돈유(敦諭)와 『승정원일기』에 수록된 기사 비교 (표)
-선독유지(宣讀諭旨)
-『판부규식』의 선유와 별유 (사진)
3. 현존하는 유지의 실례 265
-1788년(정조 12) 정조가 이성원에게 발급한 전유유지 (사진)
-1787년(정조 11) 정조가 조경에게 발급한 전유유지 (사진)
제9장 윤음(綸音)
1. 윤음의 유래 및 변천 269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윤음과 『승정원일기』에 수록된 기사 비교 (표)
-1798년(정조 22) 정조의 권농윤음 (사진)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성책(成冊) 윤음의 서두·본론·말미 (표)
-1757년(영조 33) 영조의 훈유윤음 (사진)
2. 윤음의 분류 281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윤음의 주제별 분류 (표)
-정제윤음(定制綸音)
-훈유윤음(訓諭綸音)
-권농윤음(勸農綸音)
-구언윤음(求言綸音)
3. 현존하는 윤음의 실례 288
-1746년(영조 22) 영조의 훈유윤음 (사진)
-1794년(정조 18) 정조의 훈유윤음 (사진)
제10장 판부(判付)
1. 판부의 유래 및 변천 297
-1724년(영조 즉위년) 대신 등이 올린 경종의 시호·묘호·전호·능호망단자 및 영조의 판부 (사진)
2. 판부의 분류 304
-봉교판부(奉敎判付)
-1740년(영조 16) 대신 등이 올린 효종의 가상시호망단자 및 영조의 판부 (사진)
-1753년(영조 29) 대신 등이 영조에게 올린 인원왕후의 가상존호망단자 및 영조의 판부 (사진)
-1756년(영조 32) 예문관제학 남유용이 영조에게 올린 송준길의 문묘종사교서 제진단자 및 영조의 판부 (사진)
-계판부(啓判付)
-‘봉교경의(奉敎敬依)’와 ‘계의윤(啓依允)’의 변화 (표)
-1894년(고종 31) 함경도관찰사 박기양이 올린 계본 및 고종의 판부 (사진)
-1888년(고종 25) 예조가 올린 계목 및 고종의 판부 (사진)
-1888년(고종 25) 예조가 올린 무계목단자 및 고종의 판부 (사진)
-1894년(고종 31) 전라도병마절도사 이문영이 올린 장계 및 고종의 판부 (사진)
-1649년(효종 즉위년) 대신 등이 올린 인조의 시호·묘호·전호·능호망단자 및 효종의 판부 (사진)
-1885년(고종 22) 예조가 올린 별단 및 고종의 판부 (사진)
-1658년(효종 9) 어의 조징규 등이 효종에게 올린 서계 및 효종의 비답 (사진)
-1819년(순조 19) 홍문관교리 유이좌가 순조에게 올린 상소 및 순조의 판부 (사진)
-낙점판부(落點判付)
-1758년(영조 34) 병조가 올린 금군별장망단자 및 영조의 판부 (사진)
-1680년(숙종 6) 대신 등이 올린 인경왕후의 시호·능호·전호망단자 및 숙종의 판부 (사진)
-신민의 상달문서에 대한 국왕의 판부 방식 (표)
제11장 비답(批答)
1. 비답의 유래 및 변천 337
-조선 전기와 후기 실록에서의 비답 연관어 검색 횟수 (표)
2. 비답의 분류 343
-별지비답(別紙批答)
-1788년(정조 12) 이성원의 상소에 대한 정조의 비답 (사진)
-1683(숙종 9) 윤증의 상소에 대한 숙종의 비답 (사진)
-1841년(헌종 7) 이장서의 상소에 대한 헌종의 비답-전교축 (사진)
-1700년(숙종 26) 윤증의 차자에 대한 숙종의 비답 (사진)
-1653년(효종 4) 김육의 신병정사에 대한 효종의 불윤비답 (사진)
-<시기와 인물 미상> 정사에 대한 비답 (사진)
-[사진-78]이 포함된 규장각 소장 별지비답의 분류 (표)
-여지비답(餘紙批答)
-1799년(정조 23) 비변사가 올린 초기 및 정조의 비답 (사진)
-1799년(정조 23) 형조가 올린 초기 및 정조의 비답 (사진)
-1818년(순조 18) 승정원이 올린 계사 및 순조의 비답 (사진)
-1799년(정조 23) 집의 심규로 등이 올린 계사 및 정조의 비답 (사진)
-1799년(정조 23) 우부승지 김한동이 올린 서계 및 정조의 비답 (사진)
-1658년(효종 9) 어의 권유가 올린 서계 및 효종의 비답 (사진)
3. 현존하는 비답의 실례 364
-1683년(숙종 9) 윤증의 상소에 대한 숙종의 비답 (사진)
-1700년(숙종 26) 윤증의 차자에 대한 숙종의 비답 (사진)
-1653년(효종 4) 김육의 신병정사에 대한 효종의 불윤비답 (사진)
제12장 봉서(封書)
1. 봉서의 분류 370
-관원이 올리는 봉서
-백성이 올리는 봉서
-왕대비·왕세자 등이 내리는 봉서
-국왕이 내리는 봉서
2. 국왕이 어사(御史)에게 내리던 봉서 379
3. 현존하는 봉서의 실례 383
-1798년(정조 22) 정조가 경상도암행어사 정만석에게 발급한 봉서 (사진)
-1793년(정조 17) 정조가 호서어사 윤노동에게 발급한 봉서 (사진)
-<시기 미상> 고종이 동래암행어사 이헌영에게 발급한 봉서 (사진)
제13장 교명(敎命)
1. 교명의 유래 및 변천 393
2. 교명의 제작 397
-효장세자빈(孝章世子嬪)의 교명 제작 과정 (표)
3. 교명의 분류 399
-현존하는 교명 (표)
-왕비와 후궁에게 발급하는 교명
-왕세자·왕세손·왕세제 및 그 빈(嬪)에게 발급하는 교명
4. 현존하는 교명의 실례 406
-1778년(정조 2) 정조가 효의왕후를 왕비로 책봉하면서 발급한 교명 (사진)
-1800년(정조 24) 정조가 순조를 왕세자로 책봉하면서 발급한 교명 (사진)
제14장 책문(冊文)
1. 책문의 유래 및 변천 413
2. 책문의 제작 416
-정순왕후·사도세자·혜경궁의 책문 제작 과정 (표)
3. 책문의 분류 420
-봉책문(封冊文)
-존호책문(尊號冊文)
-시책문(諡冊文)
-애책문(哀冊文)
4. 현존하는 책문의 실례 432
-1795년(정조 19) 정조가 혜경궁에게 존호를 가상하면서 발급한 옥책 (사진)
-1800년(정조 24) 정조가 순조를 왕세자로 책봉하면서 발급한 죽책 (사진)
-1897년(고종 34) 고종이 민비를 명성황후로 추존하면서 발급한 금책 (사진)
제15장 대리청정(代理聽政)과 동궁문서(東宮文書)
1. 대리청정과 대리청정절목(代理聽政節目) 443
-숙종·영조·순조대의 代理聽政節目 비교 (표)
2. 신민(臣民)이 동궁에게 올리던 문서 453
-신본(申本)
-신목(申目)
-1757년(영조 33) 예조가 사도세자에게 올린 신목 (사진)
-장달(狀達)
-1749년(영조 25) 전라도관찰사 한익모가 사도세자에게 올린 장달 (사진)
-달사(達辭)
-1755년(영조 31) 세자시강원 관원들이 사도세자에게 올린 달사 (사진)
-상서(上書)
-1829년(순조 29) 한성부우윤 유이좌가 효명세자에게 올린 상서 (사진)
3. 동궁이 신민에게 내리던 문서 473
-영교(令敎)와 하령(下令)
-1749년(영조 25) 사도세자의 영교 (사진)
-휘지(徽旨)
-1719년(숙종 45) 대리청정시기 경종의 휘지 (사진)
-영지(令旨)
-1719년(숙종 45) 대리청정시기 경종이 정후일에게 발급한 영지 (사진)
-영서(令書)
-1776년(영조 52) 대리청정시기 정조가 정홍순에게 발급한 영서 (사진)
-하답(下答)
-1749년(영조 25) 민응수의 상서에 대한 사도세자의 하답 (사진)
*부록 489
*참고 문헌 495
**책에 실은 주석의 원문은 저자와 협의하여 한글파일(.hwp)로 별도 제작하여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정회원 이상의 회원만이 <주석 원문 다운로드> 게시판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므로 정회원으로 등업을 받은 후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