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고(古)의 것을 술(述)하다
진무택(陳無擇)이 이르기를 "십이경락(十二經絡)이 육음(六淫)에 외감(外感)되면 그 기(氣)가 폐색(閉塞)하여 중초(中焦)에 울(鬱)하고 기(氣)와 사기(邪)가 쟁(爭)하여 동통(疼痛)이 발(發)한다.
족궐음(足厥陰)의 심통(心痛)은 양협(兩脇)이 급(急)하고 소복(小腹)을 인(引)하며 음고(陰股)로 연(連)하여 상인(相引)하여 통(痛)한다. 수심주(手心主: 수궐음)의 심통(心痛)은 철배(徹背) 심번(心煩) 장중열(掌中熱) 인건(咽乾) 목황적(目黃赤) 협만(脇滿)한다. 족태음(足太陰)의 심통(心痛)은 복(腹)이 창만(脹滿)하고 막힌듯이(:澁澁然) 대변(大便)이 불리(不利)하며 격민(膈悶) 인색(咽塞)한다. 수태음(手太陰)의 심통(心痛)은 단기(短氣)하여 식(息)하기에 부족(不足)하고 계협(季脇)이 공통(空痛)하며 유시(遺矢)가 무도(無度)하고 흉만(胸滿) 번심(煩心)한다. 족소음(足少陰)의 심통(心痛)은 번(煩)이 극(極)하고 면흑(面黑)하며 심(心)이 현(懸)하여 마치 기(饑)하는 것 같고 흉만(胸滿)하며 요척(腰脊)이 통(痛)한다. 배수(背輸)의 제경(諸經)의 심통(心痛)은 심배(心背)가 상인(相引)하고 심통(心痛)이 철배(徹背)하며 배통(背痛)이 철심(徹心)한다. 제부(諸腑)의 심통(心痛)은 부앙(俯仰)하기 어렵고 소복(小腹)이 상충(上衝)하며 갑자기 사람을 못 알아보고 구토(嘔吐) 설사(泄瀉)한다.
이는 모두 제경(諸經) 제수(諸兪) 제부(諸腑)에 사기(邪)가 간섭(:涉)한 소치이니, 이 병(病)은 외인(外因)에 속(屬)한다.
만약 오장(五臟)이 내동(內動)하고 칠정(七情)에 골(汨: 잠기다 곧 상하다)하면 그 기(氣)가 비결(痞結)하여 중완(中脘)에 취(聚)하니, 기(氣)와 혈(血)이 박(搏)하여 동통(疼痛)이 발(發)한다. 간심통(肝心痛)은 색(色)이 창창(蒼蒼)하여 마치 죽은 모양(:死狀)과 같고 종일(終日)토록 태식(太息)하지 못한다. 진심통(眞心痛)은 앞의 경의(經義)와 같다. 비심통(脾心痛)은 추(錐)나 침(針)으로 그 심복(心腹)을 자(刺)하는 것 같고 그득하게(:蘊蘊然) 기만(氣滿)한다. 폐심통(肺心痛)은 심간(心間)에서 기(起)하는 것 같고 동작(動作)하면 통(痛)이 더 심(甚)하게 되며 색(色)은 불변(不變)한다. 신심통(腎心痛)은 배(背)와 서로 공(控: 당기다)하고 잘 계(瘈)하며 마치 물(物)이 뒤에서 그 심(心)을 촉(觸)하는 것 같고 신(身)이 구루(傴僂)한다. 위심통(胃心痛)은 복통(腹痛) 흉만(胸滿)하고 하식(下食)하지 못하며 식(食)하면 불소(不消)한다.
모두 장기(臟氣)가 평(平)하지 못하고 희노(喜怒) 우울(憂鬱)한 소치(所致)이니, 이는 내인(內因)에 속(屬)한다.
음식(飮食)이나 노일(勞逸)이나 비류(非類: 사람 같지 아니한 사람)에 촉오(觸忤: 촉노(觸怒))하여 장기(臟氣)가 평(平)하지 않고 중(中)에 비격(痞膈)하면 음식(飮食)이 둔주(遁注: 피하여 따르다)하여 장위(腸胃)를 변란(變亂)케 하니 동통(疼痛)을 발(發)한다. 혹 생랭(生冷) 과실(果實)을 음담(飮啖)하면 중(中)이 냉(冷)하여 소산(消散)하지 못하고 결(結)하여 적(積)이 되거나 식(食)할수록 발(發)하면 이를 명(明)하여 적심통(積心痛)이라 한다. 장(臟)이 한(寒)하여 회(蛔)를 생(生)하여 심통(心痛)이 되는 경우도 있다.
소위 9종(種)의 심통(心痛)이란 음(飮) 식(食) 풍(風) 냉(冷) 열(熱) 계(悸) 충(蟲) 주(注) 거래통(去來痛)을 말하니, 외인(外因)에 속(屬)하는 풍(風) 열(熱) 한(寒)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불내외인(不內外因)이다.
게다가 부인(婦人)의 악혈(惡血)이 심비(心脾)의 경(經)에 들어가면 동통(疼痛)을 발작(發作)하니, 제통(諸痛)보다 더 심(甚)하다. 또 졸중(卒中) 객오(客忤) 귀격(鬼擊) 시주(屍疰)로 사람으로 하여금 심통(心痛)하게 한다. 이 또한 불내외인(不內外因)에 속(屬)한다." 하였다.
단계(丹溪)가 이르기를 "심통(心痛)은 곧 위완통(胃脘痛)이니, 비록 일수(日數)가 많아도 함부로(:喫) 식(食)하지 않는다면 사(死)하지 않는다. 만약 통(痛)이 비로소 지(止)하여도 바로 물(物)을 끽(喫)하면 도리어 통(痛)하게 된다. 반드시 3~5번 약(藥)을 복용한 후에 비로소 점차 물(物)을 끽(喫)하여야 한다.
통(痛)이 심(甚)하면 맥(脈)이 반드시 복(伏)하는데, 온약(溫藥)인 부자(附子)의 종류(類)를 써야 하고, 인삼(人蔘) 백출(白朮)을 쓰면 안 된다. 맥(脈)이 현(弦)하면 이는 식(食)이니, 마땅히 온산(溫散)하여야 한다. 식(食)이 한(寒)을 얻으면 응(凝)하고 열(熱)을 얻으면 화(化)한다. 게다가 행기(行氣)를 쓰거나 이(利)하는 약(藥)으로 도우면 낫지 않음이 없다. 맥(脈)이 활(滑)하면 이는 담(痰)이니, 담(痰)은 기(氣)의 체(滯)로 인하여 취(聚)하고 도로(道路)를 조애(阻礙)하여 기(氣)가 통(通)하지 못하니 통(痛)한다. 마땅히 도담(導痰) 해울(解鬱)하여야 한다.
통(痛)은 반드시 온산(溫散)을 써야 하니, 울결(鬱結)의 불행(不行)과 조기(阻氣)의 불운(不運)으로 인한 연고(故)이다.
복통(腹痛)에서 수(手)로 중안(重按)할 수 있으면 허(虛)에 속(屬)하니 마땅히 인삼(人蔘) 백출(白朮) 건강(乾薑) 육계(肉桂)의 종류(類)로 하여야 한다. 수(手)로 안(按)할 수 없으면 이는 실(實)이니, 마땅히 망초(芒硝) 대황(大黃)을 써서 하(下)하여야 한다.
비백(肥白)한 사람의 복통(腹痛)은 대부분 기허(氣虛)에 습담(濕痰)을 겸(兼)하니, 마땅히 반하(半夏) 인삼(人蔘) 백출(白朮) 창출(蒼朮)의 종류(類)로 하여야 한다. 음식(飮食)에 과상(過傷)하여 복통(腹痛)하면 마땅히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으로 하(下)하여야 한다. 만약 기허(氣虛)한 사람이 음식(飮食)에 상(傷)하여 복통(腹痛)하면 마땅히 위기(胃氣)를 조보(調補)하면서 아울러 소도(消導)하는 약(藥)으로 하여야 하니, 인삼(人蔘) 백출(白朮) 산사(山査) 지실(枳實) 맥아(麥芽) 목향(木香) 신국(神麯)의 종류(類)로 하여야 한다.
만약 복중(腹中)에 항상 열(熱)이 있으면서 통(痛)하면 이는 적열(積熱)이니, 마땅히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으로 하(下)하여야 한다. 소복(小腹)의 실통(實痛)은 청피(靑皮)를 써서 행기(行氣)시키고, 소복(小腹)이 한(寒)으로 인하여 통(痛)하면 마땅히 계지(桂枝) 오수유(吳茱萸)로 하여야 한다.
제하(臍下)가 갑자기 대통(大痛)하고 인중(人中)이 흑(黑)하면 대부분 죽는다.
심통(心痛)은 산치(山梔)와 겁(劫)하는 약(藥)으로 지(止)하게 한다. 만약 또 다시 발(發)하면 앞의 약(藥)은 반드시 불효(不效)한다. 이에 현명분(玄明粉)을 쓸 수 있으니, 일복(一服)하면 즉시 지(止)한다.
맥(脈)이 견실(堅實)하고 대변(大便)을 보지 못하면 하(下)하여야 한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