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심장이 정상적으로 수축하는 데는 전기적 자극이 필요합니다.
그체계를 간략하게 보면 동방결절(굴심방결절), 방실결절(오른심방과 오른심실의 경계에 붙은 삼첨판 부분에 있는 심장 근육 세포의 덩어리),심실의 속가지 3개 순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동방결절은 우심방과 상대정맥이 만나는 지점 근처에 있고, 정상인의 맥박수를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곳입니다.
방실결절은 심방과 심실의 접합부에 있고,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심실의 속가지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심장에서의 정상적인 전기 흐름은 동방결절에서 전기적 신호를 규칙적으로 잘 만들어내면,
방실결절이 그 신호를 받아 심실의 속가지 3개로 빨리 전달시켜 두심실의 수축을 거의 동시에 유발합니다.
이 체계 자체에 기능부전이 발생하거나, 이 체계를 벗어나 있는곳에서 비정상적으로 전기가 발생하고 다른 길로 전기가 전달되면 부정맥이 발생합니다. 또 정상적인 전기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장의 변화나 환경의 변화로 부정맥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원인 안정된 상태에서는 동방결절에서 전기적 자극이 분당 60~100회정도 발생해 심실(염통집)로 전해집니다. 하지만 운동을 하거나 스트레스를받을 때는 심장 박동 수가 빨라지고 수면이나 안정을 취할 땐 박동 수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 전기 전달체계 자체의 병 -동방결절 기능 부전군 (sicksinus syndrome) -방실결절 기능 부전군 (방실차단,heart block) -비정상적 전기 전달체계의 존재 (wolff-parkinson-white 증후군) -정상적인 전기 전달체계 이외의 곳에서 발생되는 전기파 (심장이 예정보다 빨리수축하는 조기수축 등) -유전적 질환
· 전기 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장의 변화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심장병 -선천성 심장병, 만성 폐병, 고혈압 -심근증, 심장판막질환, 당뇨병, 갑상선 기능항진증 -여러 가지 약물들(항부정맥제 사용)
· 전기 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의 변화 -고도의 스트레스 -카페인, 술, 흡연 -불충분한 수면
증상 증상은 사람에 따라, 환자가 갖고 있는 구조적 이상에 따라 많이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증상이없을 수도 있고, 심한 경우는 처음 나타나는 증상이 급사일 수도 있습니다. 심계항진(두근거림): 일반적으로사람들은 자신의 심장 박동을 알지 못합니다. 갑자기 어떤 일로 놀랐을 때처럼, 부정맥의 종류에 따라 빠르거나 느린 심장 박동을 본인이 느끼는 것입니다.
-맥이 빠짐
-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머리나 몸 전체로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발생하는 증상
-가슴 통증, 가슴불쾌감
-호흡 곤란
-급사
진단 부정맥을 일찍 진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진단과 치료 없이부정맥이 오래되면 심장의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고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심계항진이있거나 맥이 불규칙하게 뛰는 것을 느낄 때는 가능한 한 빨리 심장내과 의사를 방문해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진단에서가장 중요한 것은 증상이 심장 전기발생의 이상과 연관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이 때의 핵심적인 진단 방법은심전도입니다.
또 부정맥은 일과성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심장내과 전문의를찾았을 때는 정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을 느낄 때 근처의 아무 병원이나 방문해 심전도를빨리 찍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증상이 있을 때 심전도를 체크하면 진단이 쉽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때는 환자 개개인의 증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진단 방법이 다양합니다.
· 심전도(EKG)
· 24시간 심전도(holtermonitoring)
· 심초음파
·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treadmill test)
· 기립경사 검사(head tilt test)
치료 · 카페인 섭취의 감소 또는 절제
· 알코올 섭취 제한
· 금연
· 유발 약제의 사용금지
· 스트레스 해소
· 약제: 베타차단제, 칼슘길항제, 디곡신
· 항부정맥 약제: 모든 항부정맥 약제는 양날을 가진 칼과 같습니다. 부정맥을 억제할 수도 있지만 새로운 부정맥을 유발하거나 더 심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약물의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선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전극도자 절제술(catheter ablation): 잦은맥박(빈맥)이 있는 환자에서 전기 생리적 검사로 잦은맥박의 원인을 찾을수 있고, 선택된 환자에서 도자 절제술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인공 심장박동기(permanent pacemaker): 일시적이지않고 증상이 있는 느린맥박(서맥)을 가진 환자에게 시술하는방법
·삽입형 제세동기(implantablecardioverter-defibrillator, ICD): 증상을 가진 잦은맥박 중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심실 잔떨림)을 가진 환자에게 시술하는 방법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