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 生氣邪氣 皆本於陰陽
([素問] 生氣通天論. 全: 전체이니라.)
黃帝曰 夫自古通天者 生之本 本於陰陽 天地之間 六合之內 其氣九州九竅五藏十二節 皆通於天氣(大哉乾元 萬物資始 生生不息 天之德也 凡自古之有生者 皆通天元之氣以爲生也 天元者 陰陽而已 故陰陽爲有生之本 如至大爲六合 則上下四方也 至廣爲九州 則異兗靑徐揚荊梁雍豫也 人之外有九竅 陽竅七陰竅二也 內有五藏 心肺肝脾腎也 天有四時十二節 氣候之所行也 人有四肢十二經 營衛之所通也 凡物之形而外者 爲儀象之流行 藏而內者爲精神之升降 幽明動靜 孰匪由天 故曰皆通於天氣)
其生五 其氣三 數犯此者 則邪氣傷人 此壽命之本也(人生雖本乎陰陽 而稟分五行 其生五也 陰陽衰盛少太有三 其氣三也 有五有三 則生克强弱 變出其間矣 得其和則爲正氣而生物 犯其變則爲邪氣而傷物 其生其死 皆此三五耳 故爲壽命之本 上二節大義與六節藏象論同 詳運氣類第一章 所當互考)
蒼天之氣 淸淨則志意治 順之則陽氣固(天色深玄 故曰蒼天 天氣者 陽氣也 蒼天之氣 淸淨光明者也 藏德不止 故不下也 人能法天道之淸淨 則志意治而不亂 陽氣固而不衰 弗失天和 長有天命矣 按上文云生之本 本於陰陽 而自此以下 凡專言陽氣者七何也 蓋生氣通天 以陽爲本 陽氣旣固 陰必從之 故聖人諄諄於此 其示人之深意可知矣)
雖有賊邪 弗能害也 此因時之序(陽氣固者 其天全也 天全則神全 雖有賊風邪氣 不能犯之 蓋在乎因時之序 如四氣調神之謂是也)
故聖人傳精神 服天氣而通神明(傳 受也 服 佩也 惟聖人者能得天之精神 服天之元氣 所以與天爲一 而神明可與天通矣)
失之則內閉九竅 外壅肌肉 衛氣散解(九竅通於內 肌肉衛於外 其行其固 皆陽氣爲之主也 失之則失其淸陽之化 故九竅肌肉 皆爲閉壅矣 人之衛氣 本於天之陽氣 陽虛則衛虛 衛氣散解 則天眞失守 故本篇所重者特在衛氣 正所以重陽氣也)
此謂自傷 氣之削也(眞陽受傷 元氣如削 非由天降 自作之耳)
黃帝가 이르기를: 自古로 天에 通하는 것이 生의 本이니, 陰陽에 本하느니라. 天地의 間과 六合의 內에 그 氣는 九州 九竅 五藏 十二節에 있으니, 모두 天氣에 通하느니라.(大하도다! 乾元이여! 萬物이 資하여 始하느니라. 生生이 不息하니 天의 德이니라. 自古에 生이 있는 것은 모두 天元의 氣에 通하여 生하는 것이니라. 天元은 陰陽일 뿐이니라. 故로 陰陽은 有生의 本이니라. 大하게는 六合이 되니 上下와 四方이니라. 廣하게는 九州가 되니 異 兗 靑 徐 揚 荊 梁 雍 豫이니라. 人의 外에는 九竅가 있으니 陽竅가 七이고 陰竅가 二이니라. 內에는 五藏이 있어서 心肺肝脾腎이닐. 天에는 四時 十二節이 있어서 氣候가 行하느니라. 人에는 四肢 十二經이 있어서 營衛가 通하느니라. 物이 外로 形한 것은 儀象의 流行이 되고 內로 藏하면 精神의 升降이 되느니라. 幽明 動靜이 天으로 말미암지 않음이 없으니 故로 이르기를 모두 天氣에 通한다 하느니라.)
그 生은 五이고 그 氣는 三이니라. 이를 자주 犯하면 邪氣가 人을 傷하느니라. 이는 壽命의 本이니라.(人의 生은 비록 陰陽에 本하지만 稟은 五行으로 分하니 그 生은 五이니라. 陰陽의 衰盛는 少太에 三이 있으니 그 氣는 三이니라. 五가 있고 三이 있으니 生克과 强弱에 變이 그 間에서 出하느니라. 그 和를 得하면 正氣가 되어 物을 生하고 그 變을 犯하면 邪氣가 되어 物을 傷하느니라. 그 生과 그 死는 모두 이 三五일 뿐이니 故로 壽命의 本이니라. 上 二節의 大義는 六節藏象論와 同하느니라. 運氣類 第一章에 詳하니 당연히 互考할지니라.)
蒼天의 氣가 淸淨하면 志意가 治하니 順하면 陽氣가 固하게 되느니라.(天의 色은 深玄하니 故로 蒼天이라 하느니라. 天氣는 陽氣이니라. 蒼天의 氣는 淸淨 光明한 것이니라. 藏德이 不止하는 故로 不下하느니라. 人이 天道의 淸淨을 法할 수 있으면 志意가 治하여 不亂하고, 陽氣가 固하여 不衰하니 天和를 失하지 않고 長으로 天命이 있게 되느니라. 생각하건대 上文에서 '生의 本이고 陰陽에 本한다.' 하였는데 이로부터 下에는 專으로 陽氣만 일곱 번 말하니 왜 그러한가? 生氣의 通天은 陽을 本으로 하니 陽氣가 固하면 陰은 반드시 이를 從하느니라. 故로 聖人은 이를 諄諄하였으니 人에게 深意을 示하는 것임을 알 수 있느니라.)
비록 賊邪가 있어도 害할 수 없으니 이는 時의 序로 인함이니라.(陽氣가 固하면 그 天이 全하고 天이 全하면 神이 全하느니라. 비록 賊風 邪氣가 있어도 犯할 수 없느니라. 時의 序로 인함이란 四氣調神의 말이 그것이니라.)
故로 聖人은 精神을 傳하고 天氣를 服하여 神明에 通하느니라.(傳은 受하고 服은 佩하는 것이니라. 오직 聖人은 天의 精神을 得하고 天의 元氣를 服할 수 있었으니 天과 一이 되어 神明이 天과 通할 수 있느니라.)
이를 失하면 內로 九竅가 閉하고 外로 肌肉이 壅하여 衛氣가 散解하니(九竅는 內에 通하고 肌肉은 外를 衛하니, 그 行의 固는 모두 陽氣가 主하느니라. 이를 失하면 그 淸陽의 化를 失하는 故로 九竅 肌肉이 모두 閉壅하느니라. 人의 衛氣는 天의 陽氣에 本하니 陽이 虛하면 衛가 虛하고 衛氣가 散解하니 天眞이 守를 失하느니라. 故로 本篇에서는 그 重을 특별히 衛氣에 두었으니, 바로 陽氣를 重하게 여긴 것이니라.)
이를 自傷이라 하고 氣가 削한 것이니라.(眞陽이 受傷하면 元氣이 削한듯하니, 이는 天의 降으로 말미암은 것이 아니라 自作한 것이니라.)
陽氣者 若天與日 失其所則折壽而不彰(此發明陽氣之本也 日不明則天爲陰晦 陽不固則人爲夭折 皆陽氣之失所也)
故天運當以日光明(天不自明明在日月 月體本黑 得日乃明 此天運必以日光明也 日卽陽也 陽卽明也 陽之所在 明必隨之 明之所及 陽之至耳 陽明一體 本無二也 然陽在午則爲晝 而日麗中天 著有象之神明 離之陽在外也 陽在子則爲夜 而火伏水中 化無形之元氣 坎之陽在內也 如天元紀大論曰 君火以明 正此明也 相火以位 亦此位也 蓋明而在上則爲君火 伏明而在下則爲相火 曰君曰相 無非陽氣之所在耳 然則天之陽氣 惟日爲本 天無此日 則晝夜無分 四時失序 萬物不彰矣 其在於人 則自表自裏 自上自下 亦惟此陽氣而已 人而無陽 猶天之無日 欲保天年 其可得乎 內經一百六十二篇天人大義 此其最要者也 不可不詳察之 君火以明詳義 見運氣類三)
是故陽因而上 衛外者也(淸陽爲天 包覆萬物 故因於上而衛於外 人之衛風 亦猶是也 苟不知重 則邪從而入 故禁服篇曰 審察衛氣爲百病母)
因於寒 欲如運樞 起居如驚 神氣乃浮(此下言陽氣不固者 四時之邪 皆得以傷之也 運樞 如天樞之獨運於中也 如驚 謂擧動卒暴 不愼重也 凡因於寒者得冬之氣 冬宜閉藏 當使精神常運於中而身無妄動 若起居不節 則神氣外浮 無復中存 邪乃易入矣 脈要精微論曰 冬日在骨 蟄蟲周密 君子居室 四氣調神論曰 冬三月此謂閉藏 水冰地圻 無擾乎陽 又曰 去寒就溫 無泄皮膚使氣亟奪 皆此謂也)
因於暑汗 煩則喘喝 靜則多言(暑有陰陽二證 陽證因於中熱陰證因於中寒 但感在夏至之後者皆謂之暑耳 按熱論篇曰 凡病傷寒而成溫者 先夏至日者爲病溫 後夏至日者爲病暑 義可知也 此節所言 言暑之陽者也 故爲汗出煩躁 爲喘 爲大聲呼喝 若其靜者亦不免於多言 蓋邪熱傷陰 精神內亂 故言無倫次也)
體若燔炭 汗出而散(此言暑之陰者也 故體熱若燔炭 必須汗出 邪乃得散 如熱病篇曰 暑當與汗 皆出勿止 此之謂也 但感而卽病 則傷寒也 若不卽病至秋而發 則如陰陽應象大論曰夏傷於暑 秋必痎瘧 金匱眞言論曰 夏暑汗不出者 秋成風瘧 皆由此耳 愚按絜古曰 靜而得之爲中暑 動而得之爲中熱 中暑者陰證 中熱者陽證 東垣曰 避暑熱於深堂大厦得之者 名曰中暑 其病必頭痛惡寒 身形拘急 肢節疼痛而煩心 肌膚火熱無汗 此爲房室之陰寒所遏 使周身陽氣不得伸越也 若行人或農夫於日中勞役得之者 名曰中熱 其病必苦頭痛發躁熱惡熱 捫之肌膚大熱 必大渴引飮 汗大泄 無氣以動 乃爲天熱外傷肺氣也 觀此二證 一中於熱 一中於寒 皆謂之暑 但治寒宜散 必汗出而解 治熱宜凉 必熱淸而愈然夏月浮陽在外 伏陰在內 若人以飮食情慾傷其內 或冒暑貪凉勞役過度傷其外 及元氣素虛之輩 最易患此 如刺志論曰 氣虛身熱 得之傷暑者是也 治此者又當以調補元氣爲主然後察其寒熱而佐以解暑之劑 若果爲陰寒所中 則附子薑桂 先哲每多用之 不可因炎熱在外 而忽舍時從證之良法也)
因於濕 首如裹 濕熱不攘 大筋緛短 小筋弛長 緛短爲拘 弛長爲痿(濕土用事 雖屬長夏之氣 然土王四季 則感發無時 但濕之 中人 有內外上下之辨 濕傷外者 雨霧陰濕之屬也 濕傷內者 酒漿乳酪之屬也 濕在上則首如裹 謂若以物蒙裹然者 凡人行瘴霧之中 及酒多之後 覺脹壅頭面 卽其狀也 濕熱 濕鬱成熱也 攘退也 濕熱不退而下及肢體 大筋受之則血傷故爲緛短 小筋受之則柔弱 故爲弛長 緛短故拘攣不伸 弛長故痿弱無力 緛 縮也 弛 廢弛也)
因於氣 爲腫 四維相代 陽氣乃竭(因於氣者 凡衛氣營氣藏府之氣 皆氣也 一有不調 均能致疾 四維 四支也 相代 更迭而病也 因氣爲腫 氣道不行也 四支爲諸陽之本 胃氣所在 病甚而至於四維相代 卽上文內閉九竅外壅肌肉 衛氣解散之謂 其爲陽氣之竭也可知)
陽氣者 煩勞則張 精絶 辟積於夏 使人煎厥(此下言起居不節 致傷陽氣也 辟 病也 人以陽氣爲生 惟恐散失 若煩勞過度 則形氣施張於外 精神竭絶於中 陽擾陰虧 不勝炎熱 故病積至夏 日以益甚 令人五心煩熱 如煎如熬 孤陽外浮 眞陰內奪 氣逆而厥 故名煎厥 脈解篇曰 陽氣不得出 肝氣當治而未得 故善怒 善怒者名曰煎厥 詳本類後十一)
目盲不可以視 耳閉不可以聽潰潰乎若壞都 汨汨乎不可止(目盲耳閉 九竅廢也 潰潰 壞貌 都 城郭之謂 汨汨 逝而不返也 陰以陽虧 精因氣竭 精神日銷 漸至衰敗 眞潰潰乎若都邑之壞)
陽氣者 大怒則形氣絶而血菀於上 使人薄厥(此下言怒氣傷肝 及汗濕肥甘 風寒之類 皆足以傷陽氣也 人之陽氣 惟貴充和 若大怒傷肝 則氣血皆逆 甚至形氣俱絶 則經脈不通 故血逆妄行 菀積於上焦也 相迫曰薄 氣逆曰厥 氣血俱亂 故爲薄厥 擧痛論曰 怒則氣逆 甚則嘔血 邪氣藏府病形篇曰 有所大怒 氣上而不下 積於脇下則傷肝皆此謂也)
有傷於筋縱 其若不容(怒傷形氣 必及於筋 肝主筋也 筋傷則縱緩不收 手足無措 其若不能容者)
汗出偏沮 使人偏枯(沮 傷也 壞也 有病偏汗者 或左或右 浸潤不止 氣血有所偏沮 久之則衛氣不固於外 營氣失守於中 故當爲半身不隨偏枯之患)
汗出見濕 乃生痤疿(汗方出則玄府開 若見濕氣 必留膚腠 甚者爲痤 微者爲疿 痤 小癤也 疿 暑疹也)
高粱之變 足生大丁 受如持虛(高粱 卽膏粱 肥甘也 足多也 厚味 太過 畜爲內熱 其變多生大疔 熱侵陽分 感發最易 如持空虛之器以受物 故曰受如持虛)
勞汗當風 寒薄爲皶皶鬱乃痤(形勞汗出 坐臥當風 寒氣薄之 液凝爲皻 卽粉刺也 若鬱而稍大 乃成小癤是名曰痤 凡若此者 皆陽氣不固之使然 皶 中原雅音云酒皻鼻)
陽氣者 精則養神 柔則養筋(此下言陽氣之運用 若有不固 則爲僂爲瘻 爲畏爲驚 爲癰爲瘧爲隔等證也 神之靈通變化 陽氣之精明也 筋之運動便利 陽氣之柔和也 故精則養神 柔則養筋 陽氣去則神明亂 筋骨廢 爲病爲危 如下文矣)
開闔不得 寒氣從之 乃生大僂(開謂皮腠發泄 闔謂玄府閉封 皆衛氣爲之主也 若衛氣失所 則當開不開 當閉不閉 不得其宜 爲寒所襲 結於筋絡之間 緛急不伸 則形爲僂俯矣 經筋篇曰 陽急則反折 陰急則俛不伸 卽此之謂)
陷脈爲瘻留連肉腠(陷脈 寒氣自筋絡而陷入脈中也 瘻 鼠瘻之屬 邪結不散 則留連肉腠 曼延日甚矣 瘻 痀瘻也)
兪氣化薄 傳爲善畏 及爲驚駭(寒氣自脈漸深 流於經兪 氣化內薄則侵及藏府 故傳爲恐畏 爲驚駭 以陽氣受傷於內也)
營氣不從 逆於肉理 乃生癰腫(邪氣陷脈 則營氣不從 營行脈中也 不從則不順 故逆於肉理 聚爲癰腫也)
魄汗未盡形弱而氣爍 穴兪以閉 發爲風瘧(魄 陰也 汗由陰液 故曰魄汗 汗出未止 衛氣未固 其時形氣正在消弱 而風寒薄之 兪穴隨閉 邪氣留止 鬱而爲瘧 以所病在風 故名風瘧 金匱眞言論曰 夏暑汗不出者 秋成風瘧 亦言兪穴之閉也 其義卽此)
故風者 百病之始也 淸靜則肉腠閉拒 雖有大風苛毒 弗之能害 此因時之序也(凡邪傷衛氣 如上文寒暑濕氣風者 莫不緣風氣以入 故風爲百病之始 然衛氣者 陽氣也 人惟淸靜無過勞擾 則腠理閉而陽氣固 雖有大風苛毒 弗之能害也 所謂淸靜者無他 在因四時之氣序耳 如四氣謂神論曰 應春氣以養生 應夏氣以養長 應秋氣以養收 應冬氣以養藏 逆之則災害生 從之則苛疾不起 順其自然 是得四時淸靜之道 又風爲百病之始 義詳針刺類三十六)
故病久則傳化 上下不幷良醫弗爲(幷 陰陽交通也 病始因風 久必傳化 及至上下不幷 則陰陽相離 水火不相濟矣 雖有良醫 弗可爲也)
故陽畜積病死 而陽氣當隔 隔者當寫 不亟正治 麤乃敗之(若邪畜陽分 積而不行 陽亢無陰 其病當死 蓋卽上下不幷之謂也 何以驗之 隔塞不通 則其證耳 當寫不寫 正以麤工悞之 故致敗亡 陰陽別論曰 剛與剛 陽氣破散 陰氣乃消亡 淖則剛柔不和 經氣乃絶 亦此之謂)
故陽氣者 一日而主外 平旦人氣生 日中而陽氣隆 日西而陽氣已虛 氣門乃閉(此下言陽氣之盛衰 由於日之升降 正以明上文若天與日之義也 一日而主外 晝則陽氣在外也 平旦人氣生 以日初升也 日中陽氣隆 以日當午也 日西陽氣虛 以日漸降也 人氣應之 故晝則衛氣行於陽分二十五度 至日暮則陽氣之門閉 而行於陰分二十五度矣 氣門 玄府也 所以通行營衛之氣 故曰氣門)
是故暮而收拒 無擾筋骨 無見霧露 反此三時 形乃困薄(此所以順陽氣也 陽出而出 陽藏而藏 暮時陽氣藏於陰分 故動宜收斂 以拒虛邪 無擾筋骨 則陽不耗於內無見霧露 則邪不侵於外 若勞擾不分朝暮 反此三時 則陽氣失養 形體勞困衰薄矣 上二節言不但因時之序 雖以一日之間 亦當知所調養如此也)
陽氣는 天의 日과 같아서 그 장소를 失하면 壽를 折하여 不彰하니(이는 陽氣의 本을 發明한 것이니라. 日이 不明하면 天은 陰晦하고 陽이 不固하면 人이 夭折하니 모두 陽氣가 所를 失한 것이니라.)
故로 天運은 당연히 日로 인하여 光明하느니라.(天은 自明하지 못하니 明은 日月에 있느니라. 月의 體는 본래 黑하니 日을 得하여야 明하느니라. 이것이 天運은 반드시 日로 光明한다는 것이니라. 日은 곧 陽이고 陽은 곧 明이니라. 陽이 在하는 곳에 明이 반드시 이를 隨하느니라. 明이 及하는 곳은 陽이 至하느니라. 陽과 明은 一體이니, 본래 二가 아니니라. 없느니라. 그런데 陽이 午에 있으면 晝가 되고 日이 中天을 麗하면 象의 神明을 著하니 離의 陽은 外에 있느니라. 陽이 子에 있으면 夜가 되고 火가 水中에 伏하니 無形의 元氣로 化하고 坎의 陽은 內에 있느니라. 예로 天元紀大論에 이르기를 "君火는 明으로 한다." 하였으니 正으로 이 明이니라. "相火는 位로 한다." 하였으니 또한 이 位이니라. 明하면서 上에 있으면 君火이고 伏明하면서 下에 있으면 相火이니라. 君이라 하고 相이라 하는 것은 陽氣의 所在가 아님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天의 陽氣는 오직 日이 本이 되니, 天에 이 日이 없으면 晝夜의 分이 없고 四時가 序를 失하니 萬物이 不彰하느니라. 人에게 있어서는 自表 自裏나 自上 自下는 또한 오직 이 陽氣일 뿐이니라. 人이 陽이 없으면 마치 天에 日이 없는 것과 같으니 天年을 保하려고 하여도 得할 수 있겠는가? 內經 一百六十二篇의 天人의 大義는 이것이 最要한 것이니 詳察하지 않으면 안 되느니라. 君火는 明으로 한다는 상세한 義는 運氣類 三을 볼지니라.)
이러한 故로 陽은 因하여 上하고 外를 衛하느니라.(淸陽은 天으로 萬物을 包覆하니 故로 上으로 因하고 外를 衛하니, 人이 風을 衛하는 것도 이와 같으니라. 重한 것을 모르면 邪가 따라 入하니 故로 禁服篇에 이르기를 "衛氣를 審察하는 것이 百病의 母이다." 하였느니라.)
寒으로 인하면 運樞처럼 하여야 하니 起居가 驚한 듯하면 神氣가 浮하느니라.(이 下는 陽氣가 不固한 경우 四時의 邪가 모두 이를 傷하는 것을 말하느니라. 運樞란 마치 天樞가 中에서 獨運하는 것과 같으니라. 如驚이란 擧動가 卒暴하여 愼重하지 못하는 것이니라. 寒으로 인한 것은 冬의 氣를 得한 것이니 冬에는 마땅히 閉藏하여야 하니 당연히 精神을 常으로 中에 運하게 하여 身에 妄動이 없어야 하느니라. 만약 起居가 不節하면 神氣가 外浮하여 다시 中에 存하지 못하니 邪가 쉽게 入하게 되느니라. 脈要精微論에 이르기를 "冬日에는 骨에 있으니 蟄蟲이 周密하고 君子는 室에 居한다." 하였느니라. 四氣調神論에 이르기를 "冬 三月을 閉藏이라 하니 水가 冰하고 地가 圻하여 陽을 擾하면 안 된다." 하였느니라. 또 이르기를 "寒을 去하고 溫으로 就하니 皮膚를 泄하여 氣가 亟奪하면 안 된다." 하였으니, 모두 이를 말하느니라.)
暑로 인하면 汗 煩 喘 喝하고 靜則多言하며(暑에는 陰陽 二證이 있느니라. 陽證은 中熱로 인하고 陰證은 中寒으로 인하느니라. 다만 感이 夏至의 後에 있으면 모두 暑라 말할 뿐이니라. 생각하건대 熱論篇에 이르기를 "病으로 傷寒하여 溫이 되면 夏至日에 先하면 病溫이 되고 夏至日에 後하면 病暑가 된다." 하였으니, 그 義를 알 수 있느니라. 이 節이 말하는 것은 暑의 陽을 말하니, 故로 汗出 煩躁 喘 大聲呼喝하느니라. 靜하여도 또한 多言을 免하지 못하느니라. 邪熱로 陰을 傷하고 精神이 內亂한 故로 言에 倫次가 없느니라.)
體가 마치 燔炭과 같고 汗이 出하면서 散하느니라.(이는 暑의 陰을 말하느니라. 故로 體熱하여 마치 燔炭과 같으면 반드시 汗出하여야 邪가 散할 수 있느니라. 예로 熱病篇에 이르기를 "暑는 당연히 汗과 같이 모두 出하여야 하니 止하지 말라." 하였으니 이를 말하느니라. 다만 感하여 卽病하면 傷寒이고 卽病하지 않고 秋에 이르러 發하면 陰陽應象大論에서 말한 것처럼 "夏에 暑에 傷하면 秋에는 반드시 痎瘧이 된다." 하고 金匱眞言論에 이르기를 "夏暑에 汗이 不出하면 秋에 風瘧이 된다." 하였으니, 모두 이로 말미암느니라. 내가 생각하건대 絜古가 이르기를 "靜하여 得하면 中暑이고 動하여 得하면 中熱이다. 中暑란 陰證이고 中熱은 陽證이다." 하였느니라. 東垣이 이르기를 "暑熱을 避하여 深堂 大厦에서 得하면 名하여 中暑라 한다. 그 病은 반드시 頭痛 惡寒 身形拘急 肢節疼痛하면서 煩心하고 肌膚가 火熱하면서 無汗하다. 이는 房室의 陰寒이 遏하여 周身의 陽氣가 伸越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만약 行人이나 或 農夫가 日中에서 勞役하여 得하면 이를 名하여 中熱이라 한다. 그 病은 반드시 苦頭痛 發躁熱惡熱하고 捫하면 肌膚가 大熱하며 반드시 大渴引飮하고 汗이 大泄하며 無氣以動하니, 이는 天熱이 肺氣를 外傷한 것이기 때문이다." 하였느니라. 이 二證을 觀하건대 一은 熱에 中한 것이고 一은 寒에 中한 것이니 모두 暑라 말하느니라. 다만 寒을 治하려면 마땅히 散하여야 하니 반드시 汗出하여야 解하고 熱을 治하려면 마땅히 凉하여야 하니 반드시 熱이 淸하여야 愈하느니라. 그런데 夏月에는 浮陽이 外에 있고 伏陰은 內에 있으니 만약 人이 飮食 情慾로 그 內를 傷하거나 或 冒暑로 貪凉하거나 勞役이 過度하여 그 外를 傷하거나 元氣가 素虛하는 輩에게 最로 쉽게 이를 患하느니라. 예로 刺志論에 이르기를 "氣虛의 身熱은 暑에 傷하였기 때문이다."는 것이 이것이니라. 이를 治하려면 또한 당연히 元氣의 調補를 爲主로 하느니라. 然後에 그 寒熱을 察하여 解暑하는 劑로 佐하여야 하느니라. 만약 陰寒에 中한 것이면 附子 薑 桂을 先哲들이 매번 多用하니, 炎熱이 外에 있음으로 인하여 舍時 從證의 良法을 忽하면 안 되느니라.)
濕으로 인하면 首를 마치 裹한듯 하느니라. 濕熱이 不攘하면 大筋이 緛短하고 小筋이 弛長하니 緛短하면 拘가 되고 弛長하면 痿가 되느니라.(濕土의 用事는 비록 長夏의 氣에 屬하지만 土는 四季에 王하니 感發에 無時하느니라. 다만 濕이 中人할 때 內外 上下의 辨이 있느니라. 濕이 外를 傷하는 것은 雨霧 陰濕의 屬이고 濕이 內를 傷하는 것은 酒漿 乳酪의 屬이니라. 濕이 上에 있으면 首를 마치 裹한듯하니 物로 蒙하여 裹然한 것이니라. 人이 瘴霧의 中으로 行하거나 酒가 多한 後에 覺하는 頭面의 脹壅이 곧 그 狀이니라. 濕熱은 濕이 鬱하면 熱이 되느니라. 攘은 退이니라. 濕熱이 不退하여 下로 肢體에 及하는 것이니, 大筋이 이를 受하면 血이 傷한 故로 緛短하고 小筋이 이를 受하면 柔弱하니 故로 弛長이 되느니라. 緛短한 故로 拘攣 不伸하고 弛長한 故로 痿弱 無力하느니라. 緛은 縮이니라. 弛는 廢弛이니라.)
氣로 인하면 腫이 되느니라. 四維가 相代하니 陽氣가 竭하느니라.(氣로 인하면 衛氣 營氣 藏府之氣는 모두 氣이니 一이라도 不調하면 모두 疾에 이르게 하느니라. 四維는 四支이니라. 相代는 更迭하면서 病하는 것이니라. 氣로 인하여 腫하는 것은 氣道가 不行하기 때문이니라. 四支는 諸陽의 本이니 胃氣가 在하는 곳이니라. 病이 甚하여 四維의 相代에 이르는 것은 곧 上文의 內로 九竅를 閉하고 外로 肌肉을 壅하며 衛氣가 解散한다는 말이니 陽氣의 竭임을 알 수 있느니라.)
陽氣는 煩勞하면 張하고 精이 絶하니, 辟이 夏에 積하면 人으로 하여금 煎厥케 하느니라.(이 下는 起居의 不節로 陽氣를 傷하는 것이니라. 辟은 病이니라. 人은 陽氣로 生하니 오직 散失할까 恐하느니라. 만약 煩勞가 過度하면 形氣가 外로 施張하고 精神이 中에서 竭絶하니, 陽이 擾하고 陰이 虧하여 炎熱을 勝하지 못하는 故로 病이 積하여 夏에 이르면 날로 益甚하게 되어 人으로 하여금 五心煩熱케 하여 마치 煎하듯 熬하듯 하느니라. 孤陽이 外浮하면 眞陰이 內奪하고 氣가 逆하여 厥하니 故로 名하여 煎厥이라 하느니라. 脈解篇에 이르기를 "陽氣가 不出하니, 肝氣가 당연히 治하여야 하는데 未得하는 故로 善怒한다. 善怒는 名하여 煎厥이라 한다." 하였느니라. 本類 十一에 詳하느니라.)
目盲하여 視하지 못하고 耳閉하여 聽하지 못하니, 潰潰하여 마치 壞한 都와 같고 汨汨하여 止할 수 없느니라.(目盲 耳閉는 九竅가 廢한 것이니라. 潰潰는 壞한 貌이니라. 都는 城郭을 말하느니라. 汨汨는 逝하여 不返하는 것이니라. 陰이 陽으로 인해 虧하고 精이 氣로 인하여 竭하여 精神이 날로 銷하니 漸으로 衰敗에 이르니 眞으로 潰潰하여 都邑이 壞한듯하고 汨汨하여 그 去를 綰할 수 없느니라.)
陽氣는 大怒하면 形氣가 絶하고 血이 上에 菀하여 人으로 하여금 薄厥케 하느니라.(이 下는 怒氣가 肝을 傷하거나 汗濕 肥甘 風寒의 類가 足히 陽氣를 傷하는 경우를 말하느니라. 人의 陽氣는 오직 充和를 貴하게 여기니라. 만약 大怒하여 肝을 傷하면 氣血이 모두 逆하고 甚하면 形氣가 모두 絶하게 되니 經脈이 不通하는 故로 血이 逆하여 妄行하고 上焦에 菀積하느니라. 相迫을 薄이라 하고 氣逆을 厥이라 하느니라. 氣血이 모두 亂한 故로 薄厥이 되느니라. 擧痛論에 이르기를 "怒하면 氣가 逆하고 甚하면 嘔血한다." 하였느니라. 邪氣藏府病形篇에 이르기를 "大怒가 있어 氣가 上하고는 不下하면 脇下에 積하여 肝을 傷한다." 하였느니라. 모두 이를 말하느니라.)
筋을 傷하여 縱하면 마치 不容하는 듯하고(怒가 形氣를 傷하면 반드시 筋에 미치니라. 肝은 主筋하니 筋이 傷하면 縱緩하여 不收하고 手足이 措할 수 없으니 마치 容할 수 없는 듯 하느니라.)
汗出하여 偏이 沮하면 人으로 하여금 偏枯케 하며(沮는 傷이고 壞이니라. 病으로 偏汗하면 或左 或右하여 浸潤이 不止하니, 氣血에 偏沮가 있느니라. 久하면 衛氣가 外에 不固하고 營氣가 中에 失守하니 故로 당연히 半身不隨 偏枯의 患이 되느니라.)
汗出하여 濕을 見하면 痤疿가 生하고(汗이 方出하면 玄府가 開하느니라. 만약 濕氣를 見하면 반드시 膚腠에 留하니 甚하면 痤가 되고 微하면 疿가 되느니라. 痤는 小癤이고 疿는 暑疹이니라.)
高粱이 變하면 足히 大丁을 生하니 마치 虛를 持하여 受하는 듯 하느니라.(高粱은 곧 膏粱이니 肥甘한 것이니라. 足은 多이니라. 厚味가 太過하면 畜하여 內熱하고 그 變은 대부분 大疔을 生하느니라. 熱은 陽分을 侵하여 感發하는 것이 最易하느니라. 마치 空虛한 器를 持하고 物을 受하는 듯하니 故로 마치 虛를 持하여 受하는 듯하다 하느니라.)
勞汗에 當風하여 寒이 薄하면 皶가 되고 皶가 鬱하면 痤가 되느니라.(形勞 汗出하는데 坐臥에 當風하여 寒氣가 薄하면 液이 凝하여 皻가 되니 곧 粉刺이니라. 만약 鬱하여 稍大하면 小癤이 되니 이를 名하여 痤라 하느니라. 이와 같은 것은 모두 陽氣가 不固하여 그러한 것이니라. 皶를 [中原雅音]에서는 酒皻鼻라 하느니라.)
陽氣는 精하면 養神하고 柔하면 養筋하느니라.(이 아래는 陽氣의 運用을 말하느니라. 만약 不固하면 僂, 瘻, 畏, 驚, 癰, 瘧, 隔 等證이 되느니라. 神의 靈通한 變化는 陽氣의 精明이니라. 筋의 運動 便利는 陽氣의 柔和이니라. 故로 精하면 養神하고 柔하면 養筋한다 하느니라. 陽氣가 去하면 神明이 亂하고 筋骨이 廢하니 病하고 危하여 下文과 같으니라.)
開闔이 不得하면 寒氣가 從하여 大僂가 生하느니라.(開는 皮腠의 發泄을 말하고 闔은 玄府의 閉封을 말하니 모두 衛氣가 主하느니라. 만약 衛氣가 失所하면 당연히 開할 것이 不開하고 당연히 閉할 것이 不閉하여 그 마땅함을 不得하니, 寒이 襲하고 筋絡의 間에 結하여 緛急 不伸하면 形은 僂俯가 되느니라. 經筋篇에 이르기를 "陽이 急하면 反折하고 陰이 急하면 俛하여 不伸한다." 하였으니, 곧 이를 말하느니라.)
脈에 陷하면 瘻가 되고 肉腠에 連하여 留하느니라.(脈에 陷한다는 것은 寒氣가 筋絡에서 脈中으로 陷入하는 것이니라. 瘻는 鼠瘻의 屬이니라. 邪가 結하여 不散하면 肉腠에 連하여 留하고 曼延하여 날로 甚하게 되느니라. 瘻는 痀瘻이니라.)
兪의 氣가 化하여 薄하면 傳하여 善畏 및 驚駭가 되느니라.(寒氣가 脈에서부터 漸으로 深하여 經兪로 流하고 氣가 化하여 內薄하면 藏府에 侵及하느니라. 故로 傳하여 恐畏가 되고 驚駭가 되니, 陽氣가 內에서 受傷하기 때문이니라.)
營氣가 不從하고 肉理로 逆하면 癰腫이 生하느니라.(邪氣가 脈으로 陷하면 營氣가 不從하느니라. 營은 脈中을 行하느니라. 不從하면 順이 아니니, 故로 肉理로 逆하고 聚하여 癰腫이 되느니라.)
魄汗이 未盡하고 形이 弱하면서 氣가 爍하니 穴兪이 閉하면 發하여 風瘧이 되느니라.(魄은 陰이니라. 汗은 陰液으로 말미암으니 故로 魄汗이라 하느니라. 汗出하여 未止하고 衛氣가 未固할 時에는 形氣가 바로 消弱하니, 風寒이 이를 薄하여 兪穴이 따라서 閉하면 邪氣가 留止하고 鬱하여 瘧이 되느니라. 病한 까닭이 風에 있는 故로 名하여 風瘧이라 하느니라. 金匱眞言論에 이르기를 "夏暑에 汗이 不出하면 秋에 風瘧이 된다." 하였느니라. 이 또한 兪穴의 閉를 말하니, 그 義가 곧 이것이니라.)
故로 風은 百病의 始이니라. 淸靜하면 肉腠이 閉拒하여 비록 大風 苛毒이 있어도 害할 수 없으니 이는 時의 序로 인하기 때문이니라.(邪가 衛氣를 傷한 것은 上文과 같이 寒 暑 濕 氣 風이 風氣와 緣하여 入하지 않음이 없으니 故로 風은 百病의 始이니라. 그런데 衛氣는 陽氣이니라. 人이 오로지 淸靜하여 過한 勞 擾가 없으면 腠理가 閉하여 陽氣가 固하니, 비록 大風 苛毒이 있어도 害할 수 없니니라. 소위 淸靜이란 다른 것이 아니라 四時의 氣의 序로 인함이니라. 예로 四氣謂神論에 이르기를 "春氣에 應하여 養生하고 夏氣에 應하여 養長하며 秋氣에 應하여 養收하고 冬氣에 應하여 養藏한다. 이에 逆하면 災害가 生하고 이에 從하면 苛疾이 不起한다." 하였느니라. 그 自然에 順함이 바로 四時에 淸靜의 道를 得하는 것이니라. 風은 百病의 始이라는 義는 針刺類 三十六에도 詳하느니라.)
故로 病이 久하면 傳化하여 上下가 不幷하니, 良醫라도 할 수 없느니라.(幷은 陰陽의 交通이니라. 病의 始는 風으로 인하나 久하면 반드시 傳化하여 上下의 不幷에 及하느니라. 陰陽이 相離하여 水火가 相濟하지 못하면 비록 良醫가 있어도 할 수 없느니라.)
故로 陽이 畜積하여 病死하니 陽氣가 隔을 當하느니라. 隔하면 당연히 寫하여야 하는데, 亟하게 正治하지 않아 麤가 이를 敗한 것이니라.(만약 邪가 陽分에 畜하고 積하여 不行하면 陽亢 無陰하니 그 病은 당연히 死하느니라. 곧 上下가 不幷한다는 말이니라. 어떻게 이를 驗하는가? 隔塞 不通이 곧 그 證이니라. 당연히 寫해야 하는데 不寫하면 바로 麤工이 悞한 것이니 故로 敗亡에 이르느니라. 陰陽別論에 이르기를 "剛에 剛을 與하면 陽氣가 破散하여 陰氣는 消亡한다. 淖하면 剛柔가 不和하니 經氣가 이로 絶한다." 하였으니, 또한 이를 말하느니라.)
故로 陽氣는 一日에 外를 主하니 平旦에 人氣가 生하고 日中에 陽氣가 隆하며 日西에 陽氣가 이미 虛하여 氣門이 이에 閉하느니라.(이 下는 陽氣의 盛衰가 日의 升降으로 말미암은 것을 말하니, 바로 上文의 '天과 日과 같다.'는 義를 밝힌 것이니라. 一日에 外를 主한다는 것은 晝에는 陽氣가 外에 있기 때문이니라. 平旦에 人氣가 生함은 日이 初升하기 때문이니라. 日中에 陽氣가 隆한 것은 日이 午에 當하기 때문이니라. 日西에 陽氣가 虛한 것은 日이 漸으로 降하기 때문이니라. 人氣는 이에 應하니 故로 晝에는 衛氣가 陽分을 二十五度 行하고 日暮에 이르면 陽氣의 門이 閉하여 陰分을 二十五度 行하느니라. 氣門는 玄府이니라. 營衛의 氣를 通行하니 故로 氣門이라 하느니라.)
이러한 故로 暮에는 收하여 拒하여야 하고 筋骨을 擾하지 말아야 하며 霧露를 見하지 말아야 하느니라. 이 三을 反할 時에는 形이 困薄하게 되느니라.(이는 陽氣를 順하기 때문이니라. 陽이 出하면 出하고 陽이 藏하면 藏하느니라. 暮時에는 陽氣가 陰分에 藏하니 故로 動은 마땅히 收斂하여 虛邪를 拒하여야 하느니라. 筋骨를 擾하지 않으면 陽이 內에서 耗하지 않느니라. 霧露를 見하지 않으면 邪가 外에서 侵하지 못하느니라. 만약 勞擾에 朝暮를 分하지 않고 이 三에 反할 時에는 陽氣가 失養하고 形體가 勞困 衰薄하게 되느니라. 上의 二節에서는 時의 序로 인한 것 뿐만 아니라 비록 一日의 間이라도 당연히 이와 같이 調養하여야 함을 알아야 한다는 것을 말하느니라.)
岐伯曰 陰者藏精而起亟也 陽者衛外而爲固也(此以下伯因帝專言陽氣 未及於陰 故特明陰氣 亦所當重 謂人有陰陽陽雖主外而爲衛 所以固氣也 陰則主內而藏精 所以起亟也 陰內陽外 氣欲和平 不和則病如下文矣 亟 卽氣也 觀陰陽應象大論曰 精化爲氣 卽此藏精起氣之謂 又本神篇曰 陰虛則無氣 亦其義也 故此當以氣字爲解 以見陽能生陰 陰亦能生陽 庶爲得理 若諸書釋爲數字 則全無意義)
陰不勝其陽 則脈流薄疾幷乃狂(薄 氣相迫也 疾 急數也 幷者 陽邪入於陽分 謂重陽也 陰不勝陽則陽邪盛 故當爲陽脈陽證之外見者如此)
陽不勝其陰 則五藏氣爭 九竅不通(邪在陰分則藏氣不和 故有所爭 上七竅 五官也 下二竅 二陰也 九竅之氣 皆屬於藏 陽不勝陰則陰邪盛 故當爲陰病之內見者如此)
是以聖人陳陰陽 筋脈和同 骨髓堅固 氣血皆從(陳陰陽 猶言鋪設得所 不使偏勝也 故於筋脈骨髓 無不和調 氣血皆從 從則順矣)
如是則內外調和 邪不能害 耳目聰明 氣立如故(耳目聰明 以九竅之要者言 神氣之全可知也 人受天地之氣以立命 故曰氣立 然必陰陽調和而後氣立如故 首節所謂生之本本於陰陽者 正此兩節之謂)
風客淫氣精乃亡 邪傷肝也(此下四節 皆失調和之道 所以爲筋骨氣血之病也 淫氣者 陰陽之亂氣也 表不和則風邪客之 風木生火 淫氣化熱 熱則傷陰 精乃消亡 風邪通於肝 故必先傷肝也 然風爲百病之始 故凡病因於外而內連五藏者 皆由乎風也)
因而飽食 筋脈橫解 腸澼爲痔(此下三節 皆兼上文風客淫氣而言也 風氣旣淫於外 因而飽食 則隨客陽明 必腸胃橫滿 橫滿則有損傷 故筋脈弛解 病爲腸澼爲痔 而下痢膿血也 痺論曰 飮食自倍 腸胃乃傷 此卽其類)
因而大飮則氣逆(酒挾風邪 則因辛走肺 故肺布葉擧而氣逆上奔也)
因而强力 腎氣乃傷 高骨乃壞(高骨 腰之高骨也 凡因風强力者 其傷在骨 骨傷則 腎氣亦傷 腎主骨也 若强力入房 尤傷精髓 髓者骨之充 骨者髓之府 精髓耗傷 故高骨壞而不爲用)
凡陰陽之要 陽密乃固(陽爲陰之衛 陰爲陽之宅 必陽氣閉密於外 無所妄耗 則邪不能害 而陰氣完固於內 此培養陰陽之要 卽生氣通天之道也)
兩者不和 若春無秋 若冬無夏 因而和之 是謂聖度(兩陰陽也 不和偏病也 若春無秋若冬無夏 猶言歲氣乖則生道廢也 故聖人之法天者 在乎和陰陽而已)
故陽强不能密 陰氣乃絶(强 亢也 孤陽獨用 不能固密 則陰氣耗而竭絶矣 痺論曰 陰氣者靜則神藏 躁則消亡 躁卽陽强不密之謂)
陰平陽秘 精神乃治(平 卽靜也 秘卽固也 人生所賴 惟精與神 精以陰生 神從陽化 故陰平陽秘 則精神治矣)
陰陽離決 精氣乃絶(決 絶也 有陽無陰則精絶 有陰無陽則氣絶 兩相離決 非病則亡 正以見陰陽不可偏廢也)
因於露風 乃生寒熱(上文言風瘧 風客淫氣 皆未悉風之爲義 故此復言之 而幷及四時之邪也 因露於風者 寒邪外侵陽氣內拒 陰陽相薄 故生寒熱)
是以春傷於風 邪氣留連 乃爲洞泄(春傷於風木邪勝也 留連旣久 則剋制脾土 故爲洞泄)
夏傷於暑 秋爲痎瘧(暑義見前 夏傷暑邪 若不卽病而留延至秋 寒鬱爲熱 故寒熱交爭而爲痎瘧 義見後四十八)
秋傷於濕 上逆而咳 發爲痿厥(濕土用事於長夏之末 故秋傷於濕也 秋氣通於肺 濕鬱成熱 則上乘肺金 故氣逆而爲咳嗽 然太陰陽明論曰 傷於濕者下先受之 上文言因於濕者 大筋緛短 小筋弛長 緛短爲拘 弛長爲痿 所以濕氣在下 則爲痿爲厥 痿多屬熱 厥則因寒也)
冬傷於寒春必溫病(冬傷寒邪 則寒毒藏於陰分 至春夏陽氣上升 新邪外應 乃變而爲溫病 上四節與陰陽應象大論同 詳義見陰陽類一)
四時之氣 更傷五藏(風暑寒濕迭相勝負 故四時之氣 更傷五藏 然時氣外傷陽邪也 五藏內應陰氣也 惟內不守而後外邪得以犯之 上文五節 卽所以明陰氣不守之爲病)
陰之所生 本在五味 陰之五宮 傷在五味(此下言陰之所以生者在五味 而所以傷者亦在五味也 五官五藏也 六節藏象論曰 地食人以五味 夫味得地氣 故能生五藏之陰 若五味不節 則各有所剋 反傷其陰矣 義如下文)
是故味過於酸 肝氣以津 脾氣乃絶(津 溢也 酸入肝 過於酸則肝氣溢 酸促木化 木實則剋土 故脾氣乃絶)
味過於鹹 大骨氣勞 短肌心氣抑(鹹入腎 腎主骨 過於鹹則傷腎 故大骨氣勞 勞 困劇也 鹹走血 血傷故肌肉短縮 鹹從水化 水勝則剋火 故心氣抑)
味過於甘 心氣喘滿 色黑腎氣不衡(甘入脾 過於甘則滯緩 上焦 故心氣喘滿 甘從土化 土勝則水病 故黑色見於外 而腎氣不衡於內 衡 平也)
味過於苦 脾氣不濡 胃氣乃厚(苦入心 過於苦則心陽受傷 而脾失所養 氣乃不濡 濡者潤也 脾氣不濡則胃氣留滯 故曰乃厚 厚者脹滿之謂 五味論曰 苦入於胃 五穀之氣皆不能勝苦 苦入下脘 三焦之道皆閉而不通 故變嘔者 其義亦此)
味過於辛 筋脈沮弛 精神乃央(沮 壞也 弛 縱也 央 殃同 辛入肺 過於辛則肺氣乘肝 肝主筋 故筋脈沮弛 辛散氣則精神耗傷故曰乃央)
是故謹和五味 骨正筋柔 氣血以流 湊理以密 如是則氣骨以精 謹道如法 長有天命(五味入口 藏於胃以養五藏氣 故當謹和五味 則骨正筋柔 氣血以流 蓋凡在內者 皆陰氣爲之主也 然陰氣在裏 湊理在外 若不相及 而此曰湊理以密者 緣陰陽表裏 原自相依 不惟陽密足以固陰 而陰强乃能壯陽也 故如上文之邪因於外 而爲喘喝爲痿厥 爲精亡 爲洞泄咳嗽等證 此陽病之及於陰也 又如煩勞大怒 飮食寄居之不節 而爲煎厥 爲形氣絶 爲筋脈腸痔氣逆骨壞等證 是傷於陰者 亦能病及外體陽分 此陰之所以不可忽也 大都本篇之意 在帝則首言陽氣 以發通天之大本 在伯則續言陰氣 以備陰陽之全義 故在前則言氣 氣本於天以養陽也 在後則言味 味本於地以養陰也 其所以詳言陰陽者 蓋欲分表裏 明精氣 辨邪正之本末耳 然本篇首曰通天 中曰服天氣 末曰長有天命 所重在天 則其重在陽氣可知矣 故言地者無非天也 言陰者無非陽也 通篇大義 在陽氣者若天與日 失其所則折壽而不彰 一言可以蔽之矣)
岐伯이 이르기를: 陰은 藏精하면서 亟(=氣)을 起하느니라. 陽은 衛外하면서 固가 되느니라.(이 下는 帝가 專으로 陽氣만 말하고 陰에는 及하지 않으니 故로 岐伯이 특별히 陰氣도 당연히 重히 여겨야 함을 밝히 것이니라. 人에게는 陰陽이 있느니라. 陽은 비록 外를 主하여 衛가 되므로 氣를 固하지만 陰은 內를 主하여 精을 藏하므로 亟을 起하느니라. 陰은 內, 陽은 外에서 氣가 和平하려고 하니 不和하면 病이 下文과 같으니라. 亟는 곧 氣이니라. 觀하건대 陰陽應象大論에 이르기를 "精이 化하여 氣가 된다." 하였느니라. 곧 이는 藏精 起氣함을 말하느니라. 또 本神篇에 이르기를 "陰이 虛하면 無氣한다." 하였으니 또한 그 義이니라. 故로 이를 당연히 氣字로 解하여야 陽은 陰을 生할 수 있고 陰도 陽을 生할 수 있다는 것을 見하여야 理를 得한 것이니라. 諸書에서와 같이 數字로 釋하면 全으로 意義가 없게 되느니라.)
陰이 그 陽을 不勝하면 脈의 流가 薄疾하고 幷하면 狂하느니라.(薄은 氣가 相迫하는 것이고 疾은 急數한 것이니라. 幷은 陽邪가 陽分에 入한 것이니 重陽이라 하느니라. 陰이 陽을 不勝하면 陽邪가 盛하니 故로 당연히 陽脈과 陽證이 이와 같이 外로 見하느니라.)
陽이 그 陰을 不勝하면 五藏의 氣가 爭하여 九竅가 不通하느니라.(邪가 陰分에 있으면 藏氣가 不和하니 故로 爭하느니라. 上은 七竅이니 五官이고 下는 二竅이니 二陰이니라. 九竅의 氣는 모두 藏에 屬하니 陽이 陰을 不勝하면 陰邪가 盛하니 故로 당연히 陰病이 이와 같이 內見하느니라.)
따라서 聖人은 陰陽을 陳하니, 筋脈이 和同하고 骨髓가 堅固하며 氣血이 모두 從하느니라.(陰陽을 陳한다는 것은 鋪設이 得所하여 偏勝하지 않게 한다는 것을 말하느니라. 故로 筋脈 骨髓가 和調하지 않을 수 없으니 氣血이 모두 從하느니라. 從은 順이니라.)
이와 같으면 內外가 調和하여 邪가 害할 수 없고 耳目이 聰明하며 氣立이 如故하느니라.(耳目의 聰明으로 九竅의 要를 말하니, 神氣의 全을 알 수 있느니라. 人이 天地之氣를 受하여 立命하는 故로 氣立이라 하느니라. 그런데 반드시 陰陽이 調和한 後에라야 氣立이 如故하느니라. 首節에서 말한 '生의 本이고 陰陽에 本한다.'는 것은 바로 이 兩節을 말하느니라.)
風이 客하여 淫氣가 있으면 精이 亡하니, 邪가 肝을 傷하느니라.(이 下의 四節은 모두 調和를 失한 道이니, 筋骨 氣血의 病이 되느니라. 淫氣는 陰陽의 亂한 氣이니라. 表가 不和하면 風邪가 이를 客하니 風木는 火를 生하고 淫氣가 熱로 化하며 熱하면 傷陰하니 精이 이어 消亡하느니라. 風邪는 肝에 通하니 故로 반드시 先으로 肝을 傷하느니라. 그런데 風은 百病의 始이니, 故로 病이 外에서 인하고 內로 五藏과 連하면 모두 風으로 말미암느니라.)
因하여 飽食하면 筋脈이 橫解하여 腸澼이 되고 痔가 되느니라.(이 下의 三節은 모두 上文의 '風이 客하여 된 淫氣'를 兼하여 말한 것이니라. 風氣가 이미 外에 淫하는데 이로 因하여 飽食하면 陽明을 따라서 客하면 반드시 腸胃가 橫滿하고 橫滿하면 損傷이 있는 故로 筋脈이 弛解하며 病으로 腸澼이 되거나 痔가 되어 下痢膿血하느니라. 痺論에 이르기를 "飮食을 自倍하면 腸胃가 傷한다." 하였으니 이것이 곧 그 類이니라.)
因하여 大飮하면 氣가 逆하느니라.(酒에 風邪를 挾하면 辛으로 인하여 肺로 走하니 故로 肺가 布하고 葉이 擧하여 氣가 逆하고 上奔하느니라.)
因하여 强力하면 腎氣가 傷하니 高骨이 壞하느니라.(高骨은 腰의 高骨이니라. 風과 强力으로 인하면 그 傷이 骨에 있고 骨이 傷하면 腎氣도 傷하니 腎는 主骨하기 때문이니라. 强力으로 入房하면 특히 精髓를 傷하니 髓는 骨의 充이고, 骨은 髓의 府이니 精髓가 耗傷하는 故로 高骨이 壞하면서 不用하게 되느니라.)
陰陽의 要는 陽이 密하여야 固하느니라.(陽은 陰의 衛이고 陰은 陽의 宅이니라. 반드시 陽氣가 外에서 閉密하여야 함부로 耗함이 없고 邪가 害할 수 없으니 陰氣가 內에서 完固하느니라. 이는 陰陽을 培養하는 要이니 곧 生氣 通天하는 道이니라.)
兩者가 不和하면 春에 秋가 없거나 冬에 夏가 없는 것과 같으니라. 이로 因하여 和하면 이를 聖度라 하느니라.(兩은 陰陽이니 不和는 偏病이니라. 春에 秋가 없거나 冬에 夏가 없다는 것은 歲氣가 乖하여 生道가 廢한다는 말이니라. 故로 聖人이 天을 法한다는 것은 陰陽을 和하는 것에 있을 뿐이니라.)
故로 陽이 强하여 不密하면 陰氣가 이로 絶하느니라.(强은 亢이니라. 孤陽이 獨用하면 固密할 수 없으니 陰氣가 耗하여 竭絶하느니라. 痺論에 이르기를 "陰氣는 靜하면 神이 藏하고 躁하면 消亡하느니라. 躁는 곧 陽이 强하여 不密한 것을 말하느니라.)
陰이 平하고 陽이 秘하면 精神이 治하여지느니라.(平은 곧 靜이니라. 秘는 곧 固이니라. 人의 生이 賴하는 것은 오직 精과 神 뿐이니, 精으로 陰이 生하고 神은 陽으로 化하니 故로 陰平 陽秘하면 精神이 治하여지니라.)
陰陽이 離決하면 精氣가 絶하느니라.(決은 絶이니라. 有陽 無陰하면 精이 絶하고 有陰 無陽하면 氣가 絶하느니라. 兩相이 離決하면 病이 안 되면 亡하니 바로 陰陽은 偏廢할 수 없음을 見하느니라.)
因하여 風에 露하면 寒熱이 生하느니라.(上文에서 말한 風瘧과 風이 客하여 된 淫氣는 風의 義를 悉한 것이 아니니 故로 이를 다시 말하니,아울러 四時의 邪에 及하느니라. 因하여 風에 露하면 寒邪가 外侵하여 陽氣가 內拒하니 陰陽이 相薄하는 故로 寒熱이 生하느니라.)
때문에 春에 風에 傷하면 邪氣가 留連하여 洞泄이 되느니라.(春에 風木에 傷하여 木邪가 勝하고 留連이 久하면 脾土를 剋制하니 故로 洞泄이 되느니라.)
夏에 暑에 傷하면 秋에 痎瘧이 되느니라.(暑의 義는 前에 見하느니라. 夏에 暑邪에 傷하면 만약 卽病하지 않고 留延하여 秋에 이르면 寒이 鬱하여 熱이 되는 故로 寒熱이 交爭하여 痎瘧이 되느니라. 義는 後의 四十八을 볼지니라.)
秋에 濕에 傷하면 上逆하여 咳가 되고 痿와 厥이 되느니라.(濕土가 長夏의 末에 用事하는 故로 秋에는 濕에 傷하느니라. 秋氣는 肺에 通하니 濕이 鬱하면 熱이 되어 上으로 肺金을 乘하는 故로 氣가 逆하여 咳嗽가 되느니라. 그런데 太陰陽明論에 이르기를 "濕에 傷하면 下가 先으로 受한다." 하였느니라. 上文에서는 "濕으로 인하면 大筋이 緛短하고 小筋이 弛長하니, 緛短은 拘하고 弛長은 痿한다." 하였느니라. 따라서 濕氣가 下에 있으면 痿가 되고 厥이 되느니라. 痿는 대부분 熱에 屬하고 厥은 寒으로 因하느니라.)
冬에 寒에 傷하면 春에 반드시 溫病이 되느니라.(冬에 寒邪에 傷하면 寒毒이 陰分에 藏하고 春夏에 이르러 陽氣가 上升할 때 新邪에 外應하면 變하여 溫病이 되느니라. 上 四節과 陰陽應象大論은 同하느니라. 詳한 義는 陰陽類 一을 볼지니라.)
四時의 氣는 更으로 五藏을 傷하느니라.(風暑寒濕은 迭하여 서로 勝負하니 故로 四時의 氣는 更으로 五藏을 傷하느니라. 그런데 時氣는 外를 傷하는 陽邪이고 五藏은 內에서 應하는 陰氣이니라. 오직 內가 不守한 後에 外邪가 犯할 수 있느니라. 上文의 五節은 곧 陰氣가 不守하여 된 病을 明한 것이니라.)
陰의 生하는 것은 그 本이 五味에 있고, 陰의 五宮이 傷하는 것도 五味에 있느니라.(이 下는 陰이 生하는 것이 五味에 있고 傷하는 것도 五味에 있다는 것을 말하느니라. 五官은 五藏이니라. 六節藏象論에 이르기를 "地는 人을 五味로 食한다." 하였느니라. 味는 地氣를 得한 故로 五藏의 陰을 生할 수 있느니라. 만약 五味가 不節하면 各 剋하는 바가 있어 도리어 그 陰을 傷하느니라. 그 義는 下文과 같으니라.)
이러한 故로 味에 酸이 過하면 肝氣가 津하여 脾氣가 絶하느니라.(津은 溢이니라. 酸은 肝에 入하니, 酸이 過하면 肝氣가 溢하고 酸은 木化를 促하니 木이 實하면 土를 剋하여 故로 脾氣가 絶하느니라.)
味에 鹹이 過하면 大骨의 氣가 勞하고 短肌하며 心氣가 抑하느니라.(鹹은 腎에 入하고 腎은 主骨하느니라. 鹹이 過하면 腎을 傷하니 故로 大骨의 氣가 勞하느니라. 勞는 困劇이니라. 鹹은 走血하니, 血이 傷한 故로 肌肉이 短縮하느니라. 鹹은 水로 化하느니라. 水가 勝하면 火를 剋하니 故로 心氣가 抑하느니라.)
味에 甘이 過하면 心氣가 喘滿하고 色이 黑하며 腎氣가 不衡하느니라.(甘은 脾에 入하니 甘이 過하면 上焦를 滯緩하니 故로 心氣가 喘滿하느니라. 甘은 土로 化하니 土가 勝하면 水가 病하는 故로 黑色이 外에 見하고 腎氣가 내에서 不衡하느니라. 衡은 平이니라.)
味에 苦가 過하면 脾氣가 不濡하고 胃氣가 厚하게 되느니라.(苦는 心에 入하니 苦가 過하면 心陽이 受傷하여 脾가 失養하여 氣가 不濡하느니라. 濡는 潤이니라. 脾氣가 不濡하면 胃氣가 留滯하니 故로 厚하게 되니 厚는 脹滿을 말하느니라. 五味論에 이르기를 "苦는 胃에 入하면 五穀의 氣는 모두 苦를 勝하지 못한다. 苦가 下脘에 入하면 三焦의 道가 모두 閉하여 不通하니 故로 變하여 嘔한다." 하였으니 그 義도 또한 이것이니라.)
味에 辛이 過하면 筋脈이 沮弛하고 精神이 央하느니라.(沮는 壞이고 弛는 縱也이니라. 央은 殃과 同하느니라. 辛은 肺에 入하니 辛이 過하면 肺氣가 肝을 乘하고 肝은 主筋하는 故로 筋脈이 沮弛하느니라. 辛은 散氣하니 精神이 耗傷하는 故로 央한다 하느니라.)
이러한 故로 五味를 謹하게 和하면 骨이 正하고 筋이 柔하며 氣血이 流하고 湊理가 密하느니라.
이와 같으면 氣骨이 精하고 謹하게 法과 같이 道하여, 長으로 天命이 있게 되느니라.(五味가 口에 入하면 胃에 藏하여 五藏의 氣를 養하니 故로 당연히 謹하게 五味를 和하여야 骨이 正하고 筋이 柔하며 氣血이 流하느니라. 內에 있는 것은 모두 陰氣가 主하느니라. 그런데 陰氣가 裏에 있고 湊理는 外에 있어서 相及하지 않는 듯하지만 여기서 湊理가 密하다는 것은 陰陽 表裏가 원래 相依함에서 緣하니, 陽密하여야 足히 固陰할 뿐만 아니라 陰强하여야 壯陽할 수 있다는 것이니라.
故로 上文에서의 邪가 外에서 因하여 된 喘喝 痿厥 精亡 洞泄 咳嗽 等證은 陽病이 陰에 及한 것이고, 또 煩勞 大怒 飮食 寄居의 不節로 된 煎厥 形氣絶 筋脈腸痔 氣逆 骨壞 等證은 陰의 傷이 또한 病하고 外體 陽分에 及하는 것이니라. 이처럼 陰은 忽하면 안 되느니라.
대체로 本篇의 意는 帝가 首에서 陽氣를 말하여 發通天의 大本을 發하였고 伯은 續하여 陰氣를 말하여 陰陽의 全義를 備하였느니라. 故로 前에서는 氣를 말하니, 氣는 天에 本하고 陽을 養하고, 後에서는 味를 말하니, 味는 地에 本하고 陰을 養하느니라. 陰陽을 詳하게 말한 까닭은 表裏를 分하고 精氣를 明하며 邪正의 本末을 辨하려는 것 뿐이니라. 그런데 本篇의 首에서 '天에 通한다.'라고 말하고 中에서는 '天氣를 服한다.'라고 말하며 末에서는 '長으로 天命이 있다.'라고 하니, 重한 바가 天에 있으므로 그 重은 陽氣에 있음을 알 수 있느니라. 故로 地를 말하는 것은 곧 天이 아님이 없고, 陰을 말하는 것은 陽이 아님이 없느니라. 通篇의 大義는 '陽氣는 天과 日과 같아서 그 所를 失하면 折壽하여 不彰한다.'에 있으니, 一言으로 蔽할 수 있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