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계통도’의 잘못된 내용 수정
경주이씨 계통도- (2페이지를 상회하는 표로 생략)
모 종친님께서 애를 써서 만든 계통도입니다.
내용 중 잘못된 내용은 아래와 같이 ▲[*.............]로 나타내고 그 아래에 소견)을 올립니다.
▲[시조(휘 알평) 다음 대인 시조 2세 유(侑) ~ 시조 35세 계(誡) 의 ‘35대로 된 실전세계’]
소견)
1932년 분적종 합천이씨 임신대보에 처음 발굴되어 게재하였다는 ‘35대로 된 실전세계’는 경주이씨 중앙화수회에서 조사 분석결과 사실적이지 못한 계대임이 밝혀져 이 계대는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지 계대에 적용하여 ‘시조세수’로는 헤아려 읽지 않기 때문에 삭제하여야 합니다.
경주이씨 뿌리의 근간 자료인 ‘정묘보’ 즉 ‘경주이씨 대종보’ 총편에 게재된 제목 ‘실전세계의 고찰’ 논문에서 밝히고 있으니 참고하기 바랍니다.
‘35대로 된 실전 세계’의 시조세수 ‘2세(=2대) ~ 35세(=35대)’는 잘못된 계대인 만큼 헤아려 읽으면 안 됩니다.
1세가 틀리면 아버지가 할아버지로. 할아버지가 아버지로 읽게 되기 때문입니다.
해서 시조 2세부터 35세까지의 계대와 ‘시조세수’는 모조리 삭제함이 바릅니다.
▲[차성이씨(車城李氏- 분관조 위渭). 합천이씨(陜川李氏- 분관조 개開). 평창이씨(平昌李氏- 분관조 윤장潤張)]
소견)
경주 이씨 중시조 이전 시조 후손(始祖後孫)에서 분관한 분적종은 아래와 같습니다.
시조 후손 – 차성이씨(車城李氏- 분관조 위渭).
시조 후손 – 합천이씨(陜川李氏- 분관조 개開)
시조 후손 – 우계이씨(羽溪李氏- 분관조 구球)
* 그외 5개 분적종(재령. 아산. 원주. 진주. 장수이씨)은 중시조 후손에서 분관 되었습니다.
*평창이씨(平昌李氏 - 분관조 윤장潤張)는 경주이씨 분적종으로 활동하다가 2008년 3월부터 분적종이 아님이 밝혀져 제외되었습니다.
▲ [39(4)]
소견)
39(4)에서 39는 ‘시조세수’를 나타내고 (4)는 ‘중시조세수’를 나타낸 것인데 ‘39의 ‘시조세수’는 삭제하고 ‘중시조세수 (4)’로만 나타내어야 합니다.
‘시조세수’는 2세 시조의 子부터 중시조의 앞대인 父까지 약 900년간(신라 초에서 신라 말까지)의 계대는 실전되어 전연 알 수 없기 때문에 ‘시조세수’로는 말하지 않습니다.
▲ [평창이씨(平昌李氏- 분관조 윤장潤張)]
소견)
‘평창이씨’는 그동안 경주이씨 분적종으로 활동하다가 2008년 3월 경주이씨 분적종이 아님이 밝혀져 분적종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가평이씨(加平李氏 - 분관조 윤원潤遠)]
소견)
경주이씨에 대한 모든 자료는 ‘경주이씨 대종보’의 기록을 뿌리의 근간으로 합니다.
1987년도에 간행된 ‘정묘보’인 ‘경주이씨 대종보’에는 ‘가평이씨’가 분적종으로 올라있지 않습니다.
분적종으로 올라 있는 ‘평창이씨’와 다른 기록의 ‘가평이씨’는 분적종이 아니기 때문에 삭제되어야 합니다.
▲[45(10) 춘정(春貞) - 춘림(春林) 시랑공파(侍郞公派)]
소견)
‘45’는 ‘시조세수’를 말하는데 ‘35대로 된 실전세계’의 35대는 사실적인 계대가 아님으로 35대를 적용하여 ‘시조세수’로 나타낸 계대는 모두 삭제하여야 합니다.
‘경주이씨 대종보’ 분파도 기록에는 ‘시랑공파(侍郞公派- 10세 춘림春林)’는 대파로 분파되지 않아 분파명이 아닙니다.
중시조 10세 시랑공(휘 춘림)의 9세손인 중시조 18세 승공(휘 길상)의 네 아들 4형제에 와서 4대파로 분파한 것이지 10세 시랑공(휘 춘림)에서 분파한 것이 아닙니다.
▲[16세 평리공파(評理公派- 인정仁挺)]
소견)
지금은 '평리성암공파(評理誠菴公派)'로 파명이 개칭되었습니다.
평리공파 – 평리공파. 성암공파 – 단일파로 하여 ‘평리성암공파’로 파명이 바뀜.
▲[18세 시랑공(侍郞公. 휘 서종瑞種)]
소견)
시랑공 계대에서 3개의 중파명이 모두 누락되어 있습니다.
중조 21세 군수공파(郡守公派. 휘 인로仁老).
중조 21세 소경공파(少卿公派. 휘 지회之會).
중조 21세 판윤공파(判尹公派. 휘 지대之帶)
▲[공린(公鱗) 58(23)]
소견)
시조세수 58 – 삭제
대종보에는 창평공(휘 공린)을 파시조로 ‘창평공파(昌平公派)’로 분파되었습니다.
위의 글에는 ‘창평공파’가 누락이 되었고 창평공의 아들 8형제 일명 ‘팔별집’인 [오(鰲)- 구(龜)- 원(黿)- 타(鼉)- 별(鼈)- 벽(鼊)- 경(鯨)- 곤(鯤)]을 소파시조로 분파명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장자 오(鰲) - 좌랑공파(佐郞公派)
차자 구(龜) - 사미정공파(四美亭公派)
3자 원(黿) - 재사당공파(再思堂公派)
4자 타(鼉) - 생원공파(生員公派)
5자 별(鼈) - 장육당공파(藏六堂公派)
6자 벽(鼊) - 참판공파(參判公派)
7자 경(鯨) - 진사공파(進士公派)
8자 곤(鯤) - 한당공파(閑堂公派)
* 대종보의 자료를 근거로 제시하는 까닭은 과거 조상님들의 분적. 분파. 보학. 조상님 행적 내용이 족보마다. 저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종인들 간에 혼란이 빚어지고 논란을 일으킵니다.
이의 혼란을 막기 위하여 1987년도에 간행된 ‘정묘보’이며 중앙표준보인 ‘경주이씨 대종보’를 근간 자료로 한다는 중앙화수회의 결정에 의해 이를 참고하여 자료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