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12연기와 사성제에 대한 통찰을 통해 괴로움의 발생구조와 소멸구조를 알았다.
고성제와 집성제는 발생구조, 멸성제와 도성제는 소멸구조름 말한다.
사성제의 통찰은 12연기에서 시작이다.
부처님께서 12연기의 요소를 통해 사성제를 괴로움을 바로 알고 괴로움을 해결하는 방법까지 제시 하셨다.
불교의 첫 시작이 바로 사성제로 출발되어야 발심의 계기가 된다.
괴로움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고, 괴로움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이해 할 때 그 해결책을 따라
올바른 수행을 할 수 있게 되고, 그 수행의 완성이 바로 깨달음이란 사실이다.
자 그렇다면 이제 그 해결책을 찾아 가 보자!, 그리고 진단에 따른 약 처방으로 제 때 제 때 잘 먹고
먹어 무명의 병을 치유하는 방법을 해쳐보기로 한다.
그 처방전에 뭐라고 되어 있나! 우리들의 병명은 바로 "무명"의 이름이다.
치유의 처방은 바로 '팔정도'라 일러 주셨다. 그 내용을 다시 짚어본다.
이제 최고의 도 8가 성스러운 팔정도의 내용을 펼쳐보자.
부처님께서 사성제를 가르치고 실천하여 증득하기 까지를 진리를 말해 보여주고 (시전), 실천하도록 권유하고(수도), 증득(무학도)하도록 하는 과정을 보는 3전12행상이 있으니 개별적으로 더 공부를 하도록 하자
팔정도 : 도성제에서 설명된 고통을 멸하는 방법으로 불교 수행의 8가지 올바른 길을 말한다. 팔정도는 삶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올바른 행동, 생각, 실천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안내 한다.
정견(正見) : 바르게 보는 것, 뭘 바로 보는 것이냐? = 사성제를 바로 보는 것. 12연기, 사성제가 세상에 있는 그대로 보기(이해하는 것),
정견이 제일 먼저 오는 이유는 고통이 뭔지? 확실히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야 어리석으믈 제거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성제의 생로병사의 괴로움을 괴로움이란 것을 확실히 보는 것, 고통이란 걸 알고 원인이 뭔지 알고 멸했다는 사성제를 바르게 보라는 것이다. 똑바로 보라는 것, 철저히 알아가는 것은 어리석음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이건 성자들의 정견,
그럼 우리들의 정견은 사성제를 알려고 노력하고 공부하는 것이다. 그래서 지혜를 일으키도록 하는 것, 다시 말해 팔정도를 요약하면 계.정.혜 삼학의 “혜”에 해당한다.
정사유(正思惟) : 바른 생각, 어떻게 하는 것이 바르게 생각하는 것인가?
사성제를 바로 알았으니 "사유"하라, 정견에 대해 계속 하면 뭔가 실체가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정견에 의해서 생각하는 것, 정견에서 어리석음이 제거되고 나면 탐진치가 일어나지 않는다.
어디에든 집착하지 않는다.
정어(正語) : 바른 말, 정사유로 말해라, 바른말 (망어, 기어, 양설, 악구가 아닌 진실된 말) 하라,
바로보고, 바로 사유하여 바르게 말한다.
구업을 청정히 하는 것, 거짓말(망어) 대신 참된 말 , 진실만을 말하라,
입에 발린 말(기어)을 하지 말고, 이간질 말을 하지 말고, 화합시키는 말을 하고, 악담하지 말고, 좋은 말을 하라.
정업(正業): 바른 행위 (업-까르마-행동) -살. 도. 음을 하지 마라!
바른말을 하고 바른 행위하면 결국 몸이 청정해진다.
몸을 청정히 하는 것, 살생대신 방생을, 도둑질 대신 보시하고, 음행 대신 청정행을 하라!
정명(正命): 바른 생활 (바른 생명을 의지하는 방법) 살아가는 방식으로 즉 내 생계방식(직업)을 법에 맞게, 이치에 맞게 하라. 다시 말하면 수행자의 삶이다 (심출가자).
재가 불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바로 배워 올바르게 살아가는 것이다.
정정진(正精進): 바른 노력, 위의 정견, 정사유, 정어, 정업, 정명으로 정진하라는 것이다.
마음을 다스리고 올바른 생각과 행동을 유지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것을 말한다. 나쁜 습관이나 나쁜 마음을 버리고 좋은 마음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의미한다.
4정근 하라 - 일어나지 않은 악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이미 일어난 악은 끊어 내고
생기지 않은 선은 일어나도록 하고
이미 일어난 선은 더욱 증장시켜 나가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계속 정진하라!!!
정념(正念): 바른 마음 챙기, 수행으로 바른 마음 챙김하라!
신수심법 – 몸에서 일어나는 느낌, 마음가지 가지 법에 대해 분명히 알아차려라!
호흡하는 것에서 한순간 놓치지 말고 알아차려라! 그 방법으로 사마따 위빠사나를 통해 변화하는 것을 알아 차려라!
왜? 알아차려야 하느냐? 왜?
여기서 무상,고, 무아를 알아라고 하는 것이다. (사념처를 바로 알아라.)
정정(正定): 바른 삼매, 마음을 한곳에 집중시키고 명상등을 통해 깊은 정신적 평온을 이루는 것으로 부처님께서 하신 그 사유, 색계 4선에 머무는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깨달음에 이르는 마음 상태를 준비하는 것이다.
다시 요약하면 7가시 수행으로 계정혜 삼학을 잘 닦아라
계를 지키고, 욕망을 벗어나는 것을 철저히 하고,
정은 어느 종교나 선정을 닦는다. 다른 종교와의 차이점은 지혜다 (12연기 보는 것)
이건 색계 4선정에서 일어난다. 이걸 닦아야 한다.
삼매와 지혜가 균등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혜, 지혜가 없으면 삼매의 즐거움에 빠져 산다. 그러니 세속 욕망을 벗어나야 지혜가 생겨난다.
모든 경전은 연결된다. 어느 것이 좋고 안 좋고가 없다.
반복 설명일 뿐이다. 그래서 다라니라 한다.
그 속에 다 들어 있으니 헤매지 말고 전체적인 맥락을 잡아서 수행해 나가길 바랍니다.!!
이것이 불교의 특별한 점으로 바로 지혜를 얘기 하는 것이 다른 종교와 다른 점이다.
지혜와 삼매가 균등하게 작동 할 수 있도록 수행정진을 거듭하여 8정도다 최고의 도임을 잊지 않도록 하자!!
일화 합장.
첫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