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메인 종류별 상세 업체 비교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원하는 도메인 종류를 선택하면 훨씬 더 자세하고 업체별 가격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co 도메일 갱신을 고민하고 있었기 때문에 co를 눌러 살펴 보았습니다.
국내 도메인 구매 비용 비교
위에서 소개한 TLD LIST는 주로 글로벌 도메인이 중점이라 우리나라 국내 도메인 가격 비교는 도움이 안됩니다. kr 도메인에 대한 비교도 볼 수 있지만 여기 가격이 훨씬 더 비쌉니다. 고대디가 가장 저렴한데 등록 22달러, 갱신 22달러로 등록되어 있군요.
아무래도 로컬 도메인은 로컬 업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도메인 관리 업체별 가격 비교는 KRNIC에서 제공하는 가격 비교 서비스를 이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 링크를 이용해 접속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위 사이트 접속 시 볼 수 있는 도메인 등록 대행사들의 수수료와 서비스를 비교해 주고 있는 표인데요. 이를 통해서 주요 업체별 가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우선 여기는 회사 이름으로 비교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흔히 아는 업체와는 다르게 표기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회사 이름하고 도메인 서비스간 매칭을 알아 둘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다우기술은 반값도메인, 메가존(주)는 호스팅kr에 해당합니다.
아래 표에서 보는 것처럼 전체적으로 업체별 가격차이가 그렇게 크지는 않습니다. 무리해서 업체를 옮길 정도의 메리트를 주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굳이 가장 저렴한 곳을 찾는다면 호스팅kr인 메가존(주)가 가장 저렴해 보이기는 합니다.
추가 몇 가지 팁
위에서는 저렴하게 도메인 구입이 가능한 곳을 어떻게 찾을까를 고민했는데요.
이외에도 도메인 구매, 도매인 등록 그리고 기타 서비스 이용 팁 몇 가지를 정리해 봤습니다.
프로모션을 이용 도메인 등록 후 저렴한 업체로 이전
co.kr이나 kr처럼 우리나라 도메인의 경우 국내 업체별 가격 차이가 크지는 않기 때문에 큰 고민이 필요하지는 않을 수 있지만 그래도 가장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는 업체 프로모션 때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대디의 경우 1년차 등록을 매우 저렴하게 책정하고 2년차 갱신때부터는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받는 경향이 있는데요.
닷컴 도메인이나 국내 도메인을 프로모션시 저렴하게 도메인 구매 후 갱신 시기가 다가오면 저렴한 다른 업체로 도메인 이전하는 것도 비용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인 듯 합니다.
도메인이 한두개라면 별 고민이 안되겠지만 비즈니스나 사업 구상 등으로 수십개 도메인 관리가 필요한 경우 만만치 않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이런 비용을 절감할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도메인 등록 비용과 관련 서비스
물론 도메인 관리 분만이 아니라 메일 등 관련 서비스를 같이 이용하는 경우는 이런 부가 서비스를 살펴보는 것도 좋습니다.
대부분 도메인 등록 대행업체들이 도메인 등록, 갱신 등의 서비스로 돈을 벌기보다는 관련 부가 서비스를 통해서 돈을 버는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얼마나 관리가 편한지, 메일 서비스 등을 지원하는지 등을 볼 떼 AWS와 같은 글로벌 클라우드 업체도 매우 저렴한 비용을 책정하고 있으면서도 관련 서비스도 가격 경쟁력을 갖춘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