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나루역(5호선) 2번 출구 ♣ [광나루역 ~ 광진교] 01.
광나루역(5호선) 2번 출구로 나오셔서 오른쪽의 횡단보도를 건너십시오.
♧ 광나루역(5호선) 2번 출구 옆 횡단보도. [광나루역 ~ 광진교] 02.
횡단보도를 건너 왼쪽 큰 찻길(아차산로)을 따라 서울 시립광진청소년수련관 『 시끌 』 까지 가십시오.(150m 정도)
♧ 서울 시립 광진청소년수련관 『 시끌 』. [광나루역 ~ 광진교] 03.
청소년수련관 『 시끌 』 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한강 광진교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까지 가십시오.(120m 정도)
『 시끌 』 : 서울시가 건립하고 흥사단이 운영하는 생활권 청소년 수련 시설.
주요 프로그램(천문과학교육, 인터넷 중독 예방 치유, 청소년 문화, 성문화 교육, 교육 문화, 대관)
♧ 광진교 진입 횡단보도. [광나루역 ~ 광진교] 04.
횡단보도 건너 오른쪽 광진교로 가십시오.
♣ 고덕·일자산 코스1 스탬프통(광진교 초입) ♣ [광진교 ~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01.
광진교 : 광진구 광장 1동과 강동구 천호동 사이 한강에 있는 다리(폭 20m, 길이 1,056m)
그런데, 다른 한강 다리는 모두 대교로 부르는데 광진교만 광진대교라고 안 부르는 이유는?
건축법이 어떻고 말씀들이 많던데,
조선시대 이곳에 나루터가 있어 광나루 혹은 광진나루라고 불렸기 때문에 광나루 다리,
광나루 다리=광진교(넓을 廣, 나루 津, 다리 橋) 아닌가요?
♧ 광진교에서 오른쪽으로 바라보면 보이는 천호대교. [광진교 ~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02.
천호대교와 그 뒤에 장식물이 있는 올림픽대교가 겹쳐져 보입니다.
♧ 광진교에서 왼쪽으로 바라보면 보이는 구리시. [광진교 ~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03.
왼쪽은 TV 드라마 아이리스 촬영지가 있습니다.
저 멀리 아치형의 암사대교가 보입니다.
♧ 광진교 간이화장실(한강 대교 중 유일한 화장실). [광진교 ~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04.
한강다리들 위에서 바라보는 일몰 풍경이 제일 좋은 명당 중 하나인 광진교 간이화장실입니다.
또한, 한강다리들중 다리 위에 화장실이 있는 유일한 다리입니다.
또 다른 일몰 명당 한 곳은 동작대교 위에 있는 동작 노을카페 옥상입니다.
(여기는 진사님들을 위해 스탠드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일몰 직전 태양에 반사된 63빌딩이 황금색으로 이글거리는 모습이 일품입니다.
야간에는,
청담대교 남단에서 위치하여 북단 주상복합들이 나오게 찍으면 잘 나옵니다.
마침 7호선 지하철이 지나가면 금상첨화이구요.
서울둘레길에서 한강을 건너는 다리 두 개:
서울둘레길 고덕·일자산 3-1코스 광진교.
서울둘레길 봉산·앵봉산 7-1코스 가양대교.
♧ 광진교에서 한강으로 내려가는 계단. [광진교 ~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05.
광진교 끝자락에서 오른쪽 계단으로 내려가셔서 한강에 진입하셔야 합니다.
저 앞에 풍납동 씨티극동아파트가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데 ,
문화재 보존지역이라서 용적률 때문에 그렇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었습니다.
문화재(숭례문)때문에 용적률 제한받는 건물 대표적인 것이 태평로 1가 (구. 동방플라자) 건물이였죠.
[광진교 ~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06.
주의 !!! 한강 산책길로 내려오시면 안전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앞에 길은 자동차 길이며 중간 길은 자전거길입니다.
반드시 좌우를 살펴셔서 건너시고 꼭 인도로 가시기 바랍니다.
♧ 광진교 밑. [광진교 ~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07.
방금 건너왔던 광진교 밑입니다.
♣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자전거 공원 ♣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 암사나들목] 01.
광진교 주변에는 자전거 관련 시설이 많습니다.
다시 한번 안전에 유의하시고 이 지역만큼은 자전거가 왕이니 존중해 주시길 바랍니다.
요즘은 시류에 맞게 드론 관련 시설도 있습니다.
♧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자전거 교육장.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 암사나들목] 02.
여기서부터 암사나들목까지 바로 가시면 됩니다.(1km 정도)
전망은 좋으나 자외선 차단이 전혀 안되니 대비하여 걸으시길 권합니다.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 암사나들목] 03.
오른쪽 건물은 광나루 안내센터(녹색 원)입니다.
바로 아래 길은 흙길이기에 걷기에 더 좋은 환경입니다.
밑에 사진입니다.
♧ 암사동 생태경관보전지역.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 암사나들목] 04.
생태경관보전지역 :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전할 가치가 큰 지역.
보전과 보존의 차이점.(공통점 : 보호하여 잘 간수함)
보전(保全) : 온전하게 보호하여 유지함. ex) : 생태계 보전, 환경 보전.
보존(保存) : 잘 보호하고 간수하여 남김. ex) : 영토 보존, 종족 보존, 문화(재) 보존.
서울둘레길에서는 생태경관보전지역이,
고덕 · 일자산 3-2코스에 방이동 생태경관보전지역,
봉산 · 앵봉산 7-2코스에 봉산 생태경관보전지역과 몇군데가 있습니다.
서울의 생태경관보존지역 :
한강밤섬, 둔촌동 자연습지, 방이동습지, 탄천, 진관내동습지, 암사동습지,
고덕동 한강고수부지, 청계산원터골, 헌인릉오리나무, 남산, 불암산삼유대, 창덕궁후원,
봉산팥배나무림, 인왕산자연경관, 성내천하류, 관악산, 백사실계곡.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 암사나들목] 05.
앞에 보이는 횡단보도를 건너십시오.
보라 원은 암사생태공원 탐방로 진입로입니다.
보라 원 지점부터 3km 정도 가시면 고덕 수변생태공원도 꽤 괜찮은 곳이니,
비가 약간 부슬부슬 내리는 날 걸으시면 완죤~ 띠용~입니다.
♣ 암사나들목 ♣ [암사나들목 ~ 암사동 유적] 01.
암사나들목을 지나십시오.
♧ 토끼굴 입구 교차로 횡단보도. [암사나들목 ~ 암사동 유적] 02.
암사나들목을 나오면 횡단보도가 보입니다..
건너셔서 왼쪽으로 100m 정도 가신 후 사거리가 나오면 오른쪽으로 가십시오.
횡단보도 건너 담은 선사현대아파트 담입니다.
[암사나들목 ~ 암사동 유적] 03.
과일농장 가게 앞 횡단보도를 건너 오른쪽으로 가십시오.
오른쪽에는 토끼굴 텃밭농원이 있고,
찻길 맞은편에는 강동구 친환경 도시텃밭이 있습니다.
♧ 한국지엠 암사 바로서비스 앞 육교. [암사나들목 ~ 암사동 유적] 04.
왼쪽 길(선사초교 담)로 질러 가도 되나,
원칙대로 선사 사거리까지 가셔서 왼쪽으로 가시길 바랍니다.
♧ 선사 사거리. [암사나들목 ~ 암사동 유적] 05.
왼쪽으로 가십시오.
♧ 올림픽로 갈림길. [암사나들목 ~ 암사동 유적] 06.
횡단보도를 건너셔서 큰 찻길(올림픽로)따라 서원마을 입구까지 계속 가십시오.(1km 정도)
왼쪽 숲은 선사초교 담입니다.
♧ 선사마을. [암사나들목 ~ 암사동 유적] 07.
왼쪽에 선사마을이 있습니다.
♣ 암사동 유적 정문 ♣ [암사동 유적 ~ 서원마을] 01.
암사동 유적:
우리나라 신석기시대(6,000년전)를 대표하는 유적.
1925년 을축년 대홍수 때 유구 노출로 신석기시대 주거지로 알려짐.
1988년 암사동 선사 주거지 개관. 2011년 서울 암사동 유적으로 명칭 변경.
주변에 광나루 한강시민공원, 강동 그린웨이, 길동자연생태공원,
일자산 허브천문공원들을 엮어서 좋은 길과 볼거리가 많습니다.
♣ 서원마을 앞 횡단보도 ♣ [암사동 유적 ~ 서원마을] 02.
서원마을 앞 횡단보도입니다. 건너서 왼쪽으로 가십시오.
♧ 서원마을.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01.
서원마을 : 서로 원하는 사람들끼리 사는 마을.
전에는 서원마을을 거쳐 양지마을, 선사고교 앞을 지나,
아리수로를 따라 고덕산으로 진입했으나(본 게시판 끝부분에 자료 참고),
지금은 서원마을에 진입하지 않고 구리암사대교 IC 밑을 지나,
올림픽대로를따라 암사 아리수정수센터 후문 앞에서 고덕산으로 진입하는 코스로 변경되었습니다.
♧ 서원마을 입구.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02.
서원마을로 진입하지 마시고 앞을 지나가십시오.
♧ 구리암사대교 IC 밑 토끼굴.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03.
구리암사대교 IC 밑을 지나시면 됩니다.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04.
왼쪽에 올림픽대로 쪽으로 가셔서 이정표 지점에서 데크길을 올라가십시오.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05.
약간 오르막입니다.
♧ 언덕 정상에서 바라본 암사대교와 구리 시민공원 대형 태극기(숨은 그림찾기).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06.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07.
언덕을 내려와,
올림픽대로와 다시 접하는 길에서 오른쪽으로 틀어 암사 아리수정수센터 후문 앞까지 가시면 됩니다.
건너편 인도는 고덕 수변생태복원지를 지나 미사리로 가는 길입니다.
그림의 보라 원 길로 내려가셔서 건너편으로 가시면 됩니다.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08.
암사 아리수정수센터 후문 앞길입니다.
♧ 암사 아리수정수센터 후문.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09.
정문 앞에서 왼쪽으로 가시면 됩니다.
♧ 성수천 노인정(폐쇄).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10.
약간 을씨년스러운 간이건물이 나오는데 성수천 노인정입니다.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11.
간이운동시설이 나오는데 오른쪽으로 가십시오,
왼쪽에는 지적삼각점이 있는 정상인데 전망은 나무들에 가려 별로입니다.
♧ 간이운동시설(그림 왼쪽).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12.
왼쪽 안내판은 고덕산을 설명한 안내판입니다.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13.
왼쪽 철망을 따라 계속 가십시오.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14.
갈림길이 나오는데 계속 직진하십시오.
오른쪽으로 내려가시면 명일역이 나옵니다.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15.
갈림길이 나오는데 왼쪽으로 가십시오.
직진하면 명일역이 나옵니다.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16.
[서원마을 ~ 고덕동 고인돌] 17.
계속 가시다 보면 소형차가 다닐수 있는 작은 찻길이 나옵니다.
아래에서 왼쪽으로 가시면 됩니다.
한편, 오른쪽 녹색원은 고덕동 고인돌 유적입니다.
♣ 고덕동 고인돌 ♣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01.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02.
작은 찻길을 지나 다시 오르막길을 올라가십시오.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03.
왼쪽처럼 강동그린웨이 이정표(보라 원)이 곳곳에 보입니다.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04.
다시 갈림길이 나오는데 건너 오르막길을 올라가십시오.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05.
갈림길이 나오는데 아랫길로 가셔야 하니 직진하십시오.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06.
앞에 나무는 무심코 걷다가는 머리가 부딪힐 위험이 있습니다.
간단한 위험 안내 표시판이 설치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주의!!!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07.
서울둘레길과 강동그린웨이 갈림길입니다.
원래는 왼쪽(노란 원)으로 가셔야합니다만,
현재 서울·포천 고속도로 공사중이기에 강동그린웨이(보라 원)로 가시길 바랍니다.
두 길은 아리수로[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13.에서 다시 합쳐집니다.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08.
계속 내려가십시오.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09.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10.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11.
비닐하우스가 나오면 오른쪽으로 가십시오.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12.
이정표가 나오면 오른쪽으로 가십시오.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13.
앞에 언덕 길이 아리수로인데,
오른쪽으로 가셔서 아리수로에서 다시 왼쪽으로 틀어 저 위에 길을 걸으시면 됩니다.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14.
아리수로가 나오면 왼쪽으로 가십시오.
오른쪽은 조금 전 서울둘레길과 강동그린웨이 갈림길이 다시 만나는 지점입니다.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15.
100여m 아리수로를 따라 가셔서,
샘터근린공원 교차로 횡단보도를 건너 오른쪽으로 틀어 샘터근린공원까지 가시면 됩니다.
주의!!! ♧ 샘터근린공원 교차로. [고덕동 고인돌 ~ 샘터근린공원] 16.
현재 서울·포천 고속도로 공사중이기에,
교차로를 건너시면 직진하지마시고 왼쪽 방향으로 30m 정도 가시면 샘터근린공원 진입로가 있습니다.
♧ 샘터근린공원 진입로. (이 입구는 현재 공사중이므로 진입이 불가하니 위에 설명대로 걸으시길 바랍니다.)
♣ 샘터근린공원 ♣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01.
길을 따라가시면 인화배드민턴장 옆을 지나 나지막한 산길을 올라가십시오.
♧ 간이운동시설.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02.
보라 원 이정표에서 주의하셔야 합니다.
아래 설명 참조!!!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03.
위에 이정표를 Zoom In하면 광문고로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가셔야 합니다만,
직진하시길 바랍니다.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04.
갈림길 이정표에서 왼쪽 방향으로 내려가셔야 합니다.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05.
아래 소공원까지 가지 마시고, 중간에서 오른쪽으로 가셔서 조그마한 육교(고덕 보도 육교)를 건너십시오.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06.
고덕 보도 육교를 건너셔서 아래로 조금 내려오셔서 중간 지점에서 오른쪽으로 가십시오.
바로 내려가시면 고덕산 자락길 시작점이 나옵니다.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07.
과태료 10만원보다 곤장 10대가 효과 100배.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08.
왼쪽에 데크길(고덕산 자락길)이 보이는데 그 길로 걸으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09.
흙길로 걸으시면 나중에 데크길(고덕산자락길)과 만납니다.
그런데 저기 표지판에는 오른쪽으로 가라고 되어 있는데,
가시면 잠시 뒤 나올 그림에 고덕산자락길 안내판이 나옵니다.
엄밀히 말씀드리면 직진하셔야 서울둘레길입니다. 직진하겠습니다.
♧ 방죽소공원 운동장.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10.
방죽소공원 운동장 전에서 오른쪽으로 가십시오.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11.
서울둘레길 안내판이 있습니다.
현재 차량에 가려져 있는 안내판이 하나 더 있습니다.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12.
차량에 가려져 있던 고덕산자락길 안내판입니다.
조금 전에 데크 길에서 이정표대로 오른쪽으로 가셨으면 여기 고덕산자락길로 내려오게 되어있습니다.
♧ 고덕로.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13.
여기서부터 이마트 교차로까지 가십시오.(200m 정도)
오른쪽에는 서울특별시교육청 고덕 평생학습관이 있습니다.
♧ 고덕로와 동남로가 만나는 이마트 교차로.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14.
♣ 고덕·일자산 코스2 스탬프통(일자산 초입 : 명일근린공원) ♣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15.
♧ 귀가 하실 분.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16.
여기서 그만 걷고 귀가 하실 분들은 이마트 교차로 횡단보도를 건너셔서 고덕역(5호선)까지 가십시오.(250m 정도)
♧ 헌혈의집. [샘터근린공원 ~ 고덕역] 17.
♣ 고덕역(5호선) 4번 출구 ♣
=================================================================
본 코스 변경 되기전
서원 마을 ~ 양지마을, 서울둘레길과 강동그린웨이 갈림길을 거쳐 ~ 샘터근린공원까지 갔던 자료입니다.
길치님들은 걷기 카페 출중하신 길잡이 분들께서 리딩 하는 서울둘레길을 따라가시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입니다.
서원마을을 지나면 각종 채소를 재배하는 비닐하우스가 나옵니다. 왼쪽으로 가십시오.
좁은 길을 따라 150여m 가시면 포장된 길이 나오는데 양지마을까지는 찾기가 쉽습니다.
♧ 양지마을.
양지마을 입구 양지마을가게.
모자이크 처리를 왜 했을까요? 위에 그림과 비교하면 해답이..
1~2초 안에 답을 못 찾으면 저하고 공사판에 갑시다.
TV에서도 흡연 장면을 모자이크 처리를 해야 하는것으로 아는데 가끔 규정을 안 지키는 방송도 제법 있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부터 선사고교 뒤 횡단보도까지 가십시오.(250m 정도)
횡단보도를 건너셔서 왼쪽으로 가십시오.
여기서부터 암사 정수로센터 교차로를 지나서 고덕근린공원 교차로까지 계속 큰 찻길(아리수로)을 따라가시면 됩니다.(1.5km 정도)
암사 정수로센터 교차로.
횡단보도를 건너서 계속 직진하십시오.
광고했다고 아파트 한 채 주실려나.
어서 완공되어 길벗님들께서 좀 더 쾌적한 환경에서 걸을 수 있는 날이 빨리 오기를 기대합니다.
아래로 걸으가셔서 횡단보도를 건너 다시 역방향으로 조금 올라오셔야 합니다.
갈림길에 또 표식이 없습니다. 오른쪽으로 가십시오.
왼쪽에 보면 멍멍탕 음식점이 있습니다.
언덕길 중간에서 오른쪽 계단으로 올라가셔야 합니다.
한 50m 정도 오시면 갈림길이 있습니다. 왼쪽으로 가십시오.
여기는 리본 없으면 직진하여 헤맬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이정표 지점에서 왼쪽으로 가셔야 합니다.
오른쪽은 강동그린웨이길인데 사실 왼쪽으로 가는 서울둘레길을 단축(10분 정도)하는 코스입니다.
잠시뒤 서울둘레길과 강동그린웨이길이 다시 만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