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2장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萬物負陰而抱陽, 冲氣以爲和. 人之所惡, 惟孤·寡·不穀, 而王公以爲稱. 故物或損之而益, 益之而損. 人之所敎, 我亦敎之. 强梁者, 不得其死, 吾將以爲敎父.
(자연인) 도道는 (무위인) 하나一를 낳고, (무위인) 하나一는 음陰과 양陽을 낳으며, 음陰과 양陽은 충기冲氣를 낳고, 충기冲氣는 만물을 낳는다. (따라서) 만물(의 삶)은 음陰을 짊어진 채, 양陽을 품고, 충기冲氣로써 (도道, 하나一, 음陰, 양陽과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를 일삼는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이 싫어하는 바, 고(孤; 부모를 가지는 바가 없는 사람이 되는 것), 과(寡; 지아비나 지어미를 가지는 바가 없는 사람이 되는 것), 불곡(不穀; 세상을 잘 일삼지 못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지만, 임금과 대부는 (그것들로써 자신을 일컫는) 이름으로 삼는다. 따라서 만물은 (유위) 그것을 덜어내고, (무위를) 더하며, (무위) 그것을 더하고, (유위를) 덜어낸다. (따라서) 다른 사람이 가르치는 사람, 나 또한 그를 가르친다. (따라서) “(유위에 대해) 굳세고 단단한 사람은 그 (성性과 명命대로) 죽는 바를 얻지 못한다”, 나는 장차 (이것으로써) 가르침의 근본으로 삼고자 한다.
道, 卽一也. 老子, 以混元未分之氣爲一. 故曰道生一也. 二者, 陰陽也. 純陽, 爲一. 純陰, 爲一. 陰陽之, 竗合者, 又爲一. 故曰三.
도(道; 自然)는 하나(一; 無爲)이다. 노자는 (무위無爲가) 뒤섞여 있고, (무위無爲가) 근본이 되며, (음陰과 양陽으로) 나뉘지 않은 기氣를 하나(一; 德)로 삼았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도道는 하나一를 낳는다.” 둘二은 음陰과 양陽이다. (그런데 무위無爲가) 순수한 양陽은 하나一를 일삼는다. (무위無爲가) 순수한 음陰은 하나一를 일삼는다. 음陰과 양陽이 (무위無爲와 더불어 어우러진 바로서, 유위有爲가) 어렴풋한 바(竗; 妙)이자, (무위無爲가 또렷한 바로서, 무위無爲와 더불어) 아우러진 바(合; 冲氣)는 하나一를 일삼는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둘인 음陰과 양陽은 충기冲氣인) 셋(을 낳는다).”
陰陽, 不偏, 而絪縕, 化醇. 此, 卽小謂冲氣也. 冲之爲言, 中也. 化也.
음陰과 양陽이 (유위有爲에) 치우치지 않은 채, (무위無爲가) 쌓인 바를 품고, (무위無爲가) 순수한 바와 (더불어) 어우러진 바, 이것이 충기冲氣이다. 충冲이 일삼는 뜻은 ‘중(中; 무위無爲의 가운데 자리한다)’이다. ‘화(化; 무위無爲와 더불어 어우러진다)’이다.
人之生也, 面明而背暗, 前動而後靜. 萬物, 蓋莫不然. 此, 負陰抱陽之, 驗也. 吳幼淸, 曰萬物之生, 以此冲氣, 旣生之後, 亦必以此冲氣爲用. 冲氣, 虛而不盈. 故曰弱.
(따라서) 사람의 삶은 (무위無爲가) 밝은 바(明; 道·一·陰·陽·冲氣)를 마주하고, 어두운 바(暗; 有爲)를 등지며, (무위無爲를) 일삼는 바(動; 明)를 앞세우고, (유위有爲가) 조용한 바(靜; 明)를 뒤좇는다. 만물(의 삶)은 그러하지 않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다. (만물의 삶이) 그 음陰을 짊어지고, 양陽을 품는 바는 증험되는 바이다. (따라서 중국 원元나라 때의) 오징(吳澄, 1249~1333)은 (『도덕진경주道德眞經註』 제35장 주註에서) 일컬었다. “만물의 삶(이 앞세우는 것)은 (따라서 반드시) 이 충기冲氣로써 (일삼는 바)이고, (만물의) 삶이 뒤좇는 것은 따라서 반드시 이 충기冲氣로써 일삼는 바이다. 충기冲氣는 (유위有爲가) 텅 빈 바이자, (유위有爲로) 흘러넘치지 않는 바이다. 따라서 (노자는 제40장에서) ‘(유위有爲가) 연한 바 (도道의 일삼음이다)’라고 일컬었다.”
自此以下, 皆言弱者, 道之用也.
(요컨대, 도생일道生一) 이 문장으로부터 (그) 이하 (충기이위화冲氣以爲和까지의) 문장들은 모두 일컫는다 “(유위有爲가) 연한 바, 도道의 일삼음이다(제40장).”
愚謂此章上下文義, 終不相屬. 疑當自人之所惡已下, 別爲一章.
(나는) 어리석게도 일컫는다. “이 장의 (도생일道生一로부터 충기이위화冲氣以爲和까지의) 문단과 (인지소오人之所惡로부터 오장이위교부吾將以爲敎父까지의) 문단의 의미는 끝끝내 이어지는 바를 더불어 하지 못한다.” (나는 이) 인지소오人之所惡로부터 (그) 이하의 문장들은 (다른) 하나의 장으로 나뉘는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따라서) 마땅히 (다른) 하나의 장으로 일삼는다. 〔그러나 옮긴이가 생각하기에 도생일道生一로부터 충기이위화冲氣以爲和까지의 문단과 인지소오人之所惡로부터 오장이위교부吾將以爲敎父까지의 문단은 이어지는 바를 더불어 한다. 홍석주가 “끝끝내 이어지는 바를 더불어 하지 못한다”고 판단한 것은 이 장의 주제를 제40장 “반자反者, 도지동道之動”과 “약자弱者, 도지용道之用”을 기준으로 이 장을 양분兩分하고자 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損之而益, 益之而損, 蓋亦因前章, 反者, 道之動, 而言. 凡篇, 中所謂. 曲, 則全. 枉, 則直. 柔, 勝剛. 弱, 勝强. 高者, 抑之. 下者, 擧之. 皆, 此意. 人, 惟知此, 則其, 於全生, 而善世也. 斯, 過半矣.
(만물은 유위有爲) 그것을 덜어내고, (무위無爲를) 더하며, (무위無爲) 그것을 더하고, (유위有爲를) 덜어낸다는 말은 앞 (제40)장의 “(유위有爲의) 반대가 되는 바를 더불어 하는 바, 도道의 움직임이다”라는 말을 말미암고, 뜻한다. (이 책의 다른) 장들은 (다음의) 문장들을 자리시킨다. “(만물은 무위無爲로써) 굽어지는데, 따라서 (삶이 성性과 명命대로) 온전해지게 된다. (무위無爲로써) 휘어지는데, 따라서 (삶이 성性과 명命대로) 참되어지게 된다(제22장).” “(유위有爲가) 부드러운 바는 (유위有爲가) 굳센 바를 이긴다. (유위有爲가) 연한 바는 (유위有爲가) 굳센 바를 이긴다(제36장).” “(도道는 유위有爲로써) 높아진 바, 그것을 내리누른다. (무위無爲로써) 낮아진 바, 그것을 들어 올린다(제77장).” 모두, 그러한 뜻이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이 그것을 알아차리게 되면, 그들은 (자신의) 삶을 (자신의 성性과 명命대로) 온전히 하게 되고, 세상을 (세상의 성性과 명命대로) 잘 일삼게 된다. 그들은 (자신의 성性과 명命대로 자신의 삶을 온전히 하는 바가) 지나가게 되고, (세상을 세상의 성性과 명命대로 잘 일삼는 바가) 한창이게 된다.
人之所敎, 吾, 亦敎之, 猶聽訟, 吾, 猶人之意也.
다른 사람들이 가르치는 세상 사람들人之所敎, 나 또한 그들을 가르친다吾亦敎之는 말은 (공자孔子가 『논어論語』 「안연顏淵」에서 일컬은) “(세상 사람들을 가르치는 다른 사람들은 무위無爲의 의미를) 수용하고, (무위의 실천을) 호소하는데, 나는 (또한) 그것과 (더불어) 같이 한다”는 말과 뜻이 같다.
梁, 亦强也. 吳幼淸, 曰以木絶水, 以木負棟, 皆, 曰粱, 取其力之强也. 强梁者, 常勝人. 而反不得其死. 此, 所謂益之而損也.
량(梁; 유위有爲에 대해 단단하다)은 강(强; 유위有爲에 대해 굳세다)이다. (따라서 ) 오징吳澄은 (『도덕진경주道德眞經註』 제35장 주註에서) 일컬었다. “(일부러 일삼아 자른) 나무로써 물길을 가로막고, (일부러 일삼아 자른) 나무로써 용마루를 짊어지게 하는 일은 모두 (그 나무의 힘을 일부러 일삼아) 단단하게 하는 일이자, 그 (나무의) 힘이 (일부러 일삼아) 굳센 바를 얻게 하는 일이다.” (따라서 유위有爲에 대해) 굳세고 단단한 사람은 늘 그러하게 다른 사람을 (일부러 일삼아) 이기게 된다. 따라서 그 (성性과 명命대로) 죽는 바를 얻지 못하는 바로 되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이 문장은 뜻한다. “(따라서 만물은 무위無爲) 그것을 더하고, (유위有爲를) 덜어낸다.”
老子, 謂我之, 敎人, 固亦猶他人. 唯以强梁, 不得其死之戒爲設敎之始. 此, 獨爲異於人耳. 敎父, 言敎之㝡先而㝡尊者. 釋家, 所謂第一義也.
노자는 일컫는다. “나는 다른 사람들처럼 세상 사람들을 가르친다. 그러나 (나는) ‘(유위有爲에 대해) 굳세고 단단한 사람은 그 (성性과 명命대로) 죽는 바를 얻지 못한다’는 계율이 가르침을 펼치는 근본이 되게 한다. 이것이 (세상 사람들을 가르치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나의) 차이가 될 따름이다.” 교부敎父는 가르침이 가장 앞세우고, 가장 (받들어) 높이는 바를 뜻한다. (비유컨대, 『대승화엄경론大乘莊嚴經論』 「진실품眞實品」에서) 석가모니가 (가장 앞세우고, 가장 받들어 높여서) 일컬은 “제일의(第一義; 근본·근원·본체·실체인 연기緣起)”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
오탈자, 어색한 부분을 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