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장八章
(무위無爲를 일삼기를) 가장 잘하는 것은 이른바 물水이다. 물水은 만물을 이롭게 하기를 잘하지만, (그러한 자신의 공功을 일부러 일삼아) 다투지 않으며, (자신을 스스로 낮춘 채) 세상 사람들이 싫어하는 (바인 세상 사람들의 아래가 되는) 바에 머문다. (그러나 지금의 세상) 사람들의 마음은 (자신이 세상 사람들의 위로) 높여지는 바를 좋아하고, (자신이 세상 사람들의 아래로) 낮아지는 바를 싫어한다. 따라서 (물水의 모습은) 거의 도道(의 모습)에 가깝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 도道에 머물기를 잘했던 성인의 몸이 세상에) 머물렀던 모습은 (무위無爲로써 머물기를) 잘하는 땅의 모습이었다. 마음이 쓰였던 모습은 (무위無爲로써 일삼고자 하기를) 잘하는 연못의 모습이었다. (몸과 마음이 일삼는 바를) 더불어 했던 모습은 (무위無爲로써 일삼기를) 잘하는 씨앗(仁; 性·命)의 모습이었다. 말言은 (무위無爲를) 도탑게 하기를 잘하는 것이었다. 다스림은 (무위無爲로써) 다스리기를 잘하는 것이었다. 일삼음은 (무위無爲로서 일삼기를) 잘하는 것이었다. 움직임은 (무위無爲한) 사계절에 맞추기를 잘하는 것이었다. (이른바, 도道에 머물기를 잘했던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그 (유위有爲를 일삼는 바를) 잘하는 바를 드러내지 않았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무위無爲를 일삼는 바를 잘하는 바를 드러내기를) 잘했다. 이른바, (도道에 머물기를 잘했던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오로지 (유위有爲를 일삼기를) 다투지 않았다. 따라서 (그는 세상 사람들이 유위有爲를 일삼기를 다툼으로써, 자신들의 성性·명命대로 오래 살지 못한 채, 일부러 일삼아 일찍 죽는 바에 이르게 되는 바를) 걱정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
上善, 若水. 水, 善利萬物, 而不爭, 處眾人之, 所惡. 人情, 好高, 而惡下. 故幾於道. 居, 善地. 心, 善淵. 與, 善仁. 言, 善信. 政, 善治. 事, 善能. 動, 善時. 不著其善. 故善. 夫唯不爭. 故無尤.
오행五行은 물水이 일삼는 (유위有爲가) 가장 작은 모습을 (만물을 일삼는) 모범으로 삼는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 도道에 머물기를 잘했던 사람은 그 (물水이 일삼는 가장 유위有爲가) 작은 모습을 (세상 사람들을 일삼는 모범으로) 일삼고, (따라서) 그 (유위有爲를 세상 사람들에게) 드러내는 바를 일삼지 않았다. (따라서 그는 스스로) 세상 사람들의 뒤가 되는 바에 머물렀는데, 따라서 늘 그러하게 세상 사람들의 앞이 되는 바를 얻게 되었다. 그런데 어떤가?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이른바 (스스로 다른 사람의 뒤가 되는 바) 그것을 싫어한다. 이른바,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알아차리지 못한다. (스스로 다른 사람의 앞이 되는 바) 그것은 (자신들의 성性·명命대로 오래 살지 못한 채, 일부러 일삼아 죽는 바에) 일찍 이르게 하는 바라는 것을.
五行之, 體水, 為最微. 善居道者, 為其微, 不為其著. 處眾之後, 而常得眾之先. 何也? 眾人, 方惡之. 而不知其, 早至也.
(따라서 지금의 도道에 머물기를 잘하는 사람은 도道에 머물기를 잘했던 아주 먼 옛날의 사람과) 반대로 꾀해야 한다. (이른바, 지금의 세상 사람들) 그들이 (스스로 앞이 되는 바를) 다투지 않게 해야 하고, 따라서 그들을 서서히 (스스로 뒤가 되는 바를 다투게 하는 바로) 거두어들여야 한다. (따라서 그들은 앞이 되는 바가 일부러 일삼아) 덜어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지금의) 세상 사람들이 어찌 (스스로 앞이 되는 바를) 다투게 되겠는가? 따라서 (지금의 도道에 머물기를 잘하는 사람) 그가 어찌 (세상 사람들이 자신들의 성性·명命대로 오래 살지 못한 채, 일부러 일삼아 죽는 바에 일찍 이르게 되는 바를) 걱정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겠는가?
逆計其, 不爭, 而徐收之. 無損. 而物, 何爭? 而我, 何尤?
(따라서 지금의) 세상 사람들이 그 싫어해야 할 바(惡; 有爲)를 알아차리기를 잘하게 해야 한다. (따라서) 그들은 (그 좋아해야 할 바無爲를 일삼기를) 잘하는 바를 일삼게 된다. 따라서 이내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무위無爲) 그것을 (일삼는 바를) 다투게 된다. 따라서 이른바 (지금의 세상 사람들의) 마음이 이른바 반드시 (유위有爲와 더불어)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 도道에 머물기를 잘했던) 성인은 (세상 사람들이) 자기 마음대로 (무위無爲를) 일삼게 했고, (무위無爲에 대해) 날카로워지게 했던 것이다.
使眾人, 能知其所惡者. 之, 為善. 亦將群, 爭之矣. 然而情之, 所必不然也. 故聖人, 擅利.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
일부 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