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리부元理賦) 남다양인에 필중혼이라(男多羊刃에 必重婚이라)⇨
남명 사주에 양인이 많으면 반드시 거듭 혼인을 한다.
▣(역감易鑑)양인이 중중이면 필극처라(羊刃이 重重이면 必剋妻라)⇨
양인이 여럿 있으면 반드시 처를 극한다.
【재다신약財多身弱】,
▣극을 당하는 육신(재성)이 왕성한데 반하여
극을 가하는 육신(비겁)이 매우 약할 경우에
일간은 재성을 통제하지 못하고 오히려 재성으로부터 통제를 당하는 형국이 된다.
재성이 너무 강한데 비해 일간이 너무 약한 경우에 해당된다
군겁쟁재의 반대현상이다
▣돈을 벌기보다는 놀고먹기 좋아하고 풍류를 즐기는데
한마디로 부옥빈인富玉貧人으로
주변에는 돈이 많이 돌아다니지만 정작 내 돈이 아닌 것으로
재물과 인연이 없다
▣특히 남자의 경우는 사주가 좋지 않을 경우는
여자 때문에 고생(여다女多)을 많이 하게 된다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양방득자兩方得子⇨ 패가망신
▣한편 운에서 뒷받침이 될 경우(신왕재왕)
경제적으로나 가정적으로 크게 부흥하는 경우도 허다하므로
때를 기다리는 인내와 지혜가 필요하다
【득비리재得比理財】
▣득비리재는 일간이 힘이 없고 재성이 강할 때(재다신약)
운에서 오는 비견이나 겁재의 힘을 얻어서 財를 다스린다는 뜻이다.
군겁쟁재와는 반대의 현상으로 사주에 財가 많고 일간이 약한 경우다.
▣일간은 무조건 강해야 財를 차지 할 수가 있는데,
운에서 비겁이 올 때는 친구나 동지가 생겨서 財를 잡게 되는 것이다
사주의 구성에 따라 재물을 많이 취할수도 있고 작게 취할수도 있다
▣비겁이 함께 해서 財를 취한 경우에는
반드시 財를 나눠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재다신약애서 대운이 인성과 비겁운으로 흐를 때 좋아진다.
이렇게 득비리재의 경우 동업이나 공동투자사업이 좋다.
▣득비리재하니 형제득도인데 운도파겁이면 앙앙필지다.
(得比理財, 兄弟得刀. 運到破劫. 災殃必至)⇨
득비리재하니 형제의 힘을 얻게 되는데,
운에서 비겁을 깨뜨리는 것과 만나면 필히 재앙을 만난다
【자왕모쇠자旺母衰(모쇠자왕母衰子旺)】
▣일간(母)이 약한데 식신.상관(子)이 강하다는 뜻이다.
따라서 이 격은 원칙적으로는 자녀를 식상성으로 하는
여명 에게만 해당이 되고
남명에는 해당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한편으로 남녀 공히 인성이 어머니이기 때문에
일간(子)이 너무 강할 경우(子旺)
그 어머니(인성)이 매우 쇠약하게 된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가 있다
☆모쇠자왕=식왕신쇠食旺身衰
▣⟪단왈⟫모쇠자왕에 운행 식상이면 부자구무하여 난계향화나
주운에 구인이면 수언무자랴.
(斷曰: 母衰子旺에 運行 食傷이면 夫子俱無하여 難繼香火나 柱運에 俱印이면
誰言無子랴) ⇨
모쇠자왕에 운이 식상으로 가면 남편과 자식이 함께 없으니
제사를 있기가 어려우나
주중에 인수가 함께 있으면 누가 자식이 없다고 말하랴.
▣식왕신쇠하니 포태상태라(食旺身衰하니 胞胎常墮라)⇨
식상은 왕하고 일주는 약하니 아이를 배면 항상 떨어진다.
【모자멸자母慈滅子】
▣그 어머니가 너무 인자하면 그 아들을 망친다는 뜻으로서
사주에 인수가 너무 많으면 사주는 불길하게 된다는 뜻이다.
木 일간의 경우
그 어머니 되는 인수(水)가 많으면 그 水의 아들되는 木은 부목浮木이 되고,
또 火 일간에서 木이 너무 많으면 오히려 불길이 꺼지기 때문에
이와같이 인수가 너무 많아서 사주가 도리어 불길해지는 것을
모자멸자라 한다
▣그런데 이 모자멸자는 인수 태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대부분 종강격이 됨으로 순모지리順母之理로 비견 운을 크게 기뻐한다
☆순모지리란⇨ 그 왕한 인수 즉 모친의 생을 나 혼자 받기 에는
너무 태과하여 불길하나 그 사랑을 나의 형제가 되는 비견, 겁이
서로 나누어 받으면 그 왕한 인성이 분설되어 길하게 됨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자멸자에서는 인수가 너무 태왕한 상황이므로
마땅히 왕한 대세를 거스리지 말고 따라줘야 하는 것이고
또 재성이 오히려 왕 한 인수를 건드려서 거역하게 만들면
더욱 흉해지는 것이 되는 것이므로
이것을 가리켜 모자멸자와 군뢰신생의 차별점이라고 할 수가 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군뢰신생지리君賴臣生之理로 득재得財함을 기뻐한다
그런데 이 격은 사주 인수가 태왕한데
財도 역시 인수를 극할만한 근기가 있어야 되는 것이지
약한 財는 왕한 인수를 극한다고 하다가
도리어 財 자신이 반극 당하게 되므로
형상.파재 등 그 화가 가볍지 않게 되는 것이다.
☆군뢰신생지리란⇨ 내가 극하는 財를 득하여
그 財의 입장으로서는 내가 官 즉 관제지신官制之神이 되므로
나는 君이 되고 그 財는 臣이 되는 것인데,
그 財의 힘을 빌어서 극제왕인剋制旺印 하여 나의 위기를 모면하여
살게되므로 인하여 군뢰신생이라고 하게 되는 것이다.
▣모자멸자와 군뢰신생의 차이점은
모두 인수태왕으로 불길하지만
재성으로 왕 한 인수를 다스릴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모자멸자와 군뢰신생의 판가름이 결정이 나는 것이다.
한마디로 모자멸자라도 재성에 의해 살아난다면
이것은 모자멸자가 아니라 군뢰신생에 해당하는 것이니
군주가 신하에 의지하여 살아나는 이치로 가장 미묘한 것이다.
▣⟪단왈⟫모자멸자에 순모대영인데 운행범모면 형상파산이라
(斷曰: 母慈滅子에 順母大榮인데 運行犯母면 刑傷破産이라)⇨
모자멸자에는 어머니를 따르면 크게 영귀한데
운이 인성을 범하는 데로 흐르면 형벌 상해 파산을 입는다.
▣일반적으로 모자멸자에 있어서
행운이 비겁으로 가면 대체로 어머니가 인자하고 자식도 편안하나
행운에서 재성이나 식상의 운을 만나게 된다면
어머니의 뜻을 거역하는 것으로 생육의 정이 없게 되니
반드시 재난을 면하기 어려운 것이라 형상刑傷, 파재破財등
그 화가 가볍지 않게 된다.
【재명유기財命有氣 】⇨ 財와 일주가 모두 氣가 존재하여 있다
▣신왕의 사주를 말한다. 그런데 재명유기로 사주가 구성되었다 해도
財와 命이 똑같이 旺 할 수는 없는 법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주가 강하면 財. 식상운에 발하고
일주보다 財가 旺 하면 인수. 비겁운에 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身이 근기가 없고 무의무탁한 格에 財가 태왕이면
차라리 종재격으로 대길해지나
⦿반대로 비견. 겁 태왕에 財가 심히 약하면,
군겁쟁재가 됨으로 이때는 大 불길하므로
⦿財格으로 볼때는 재명유기냐, 군겁쟁재냐, 從財냐를 구별할 줄 알아야
제대로 올바른 판단을 내리게 되는 것이다.
※재명유기에 치부지인인데 능임왕재면 명수억금이라
(財命有氣 治富之人 能任旺財 鳴手億金)⇨
재명유기면 富를 다스리는 사람이 되는데
능히 旺한 財를 마음대로 다룰 수 있다면
명성을 날리고 억만금을 쥐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