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치 : Scomberomorus niphonius (Cuvier et Valenciennes)
► 방 언 : 삼치(參致), 마어(麻魚, 馬魚), 망어(忘魚, 望魚), 망에, 고시(치어), 동교어, 청직어, 마교어, 삼어
► 외국명 : (영) Japanese spanish mackerel, Spanish mackerel, (일) Sawara (サワラ)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113㎝, 체중 8kg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100㎝, 체중 4kg 정도이다. 몸이 가늘고 측편해 있고 극히 작은 비늘로 덮여 있다. 등쪽은 회청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이다. 옆구리에는 회색의 반점이 7~8줄 세로줄로 흩어져 있다. 가슴, 등 및 꼬리지느러미는 흑색이다. 양 턱의 이빨은 창 모양으로 구부러졌고 날카로우며, 서골과 구개골에는 융털 모양의 이가 있고 혀 위에는 이가 없다. 제1등지느러미 기저는 매우 길며 그 지느러미의 외각도 천천히 경사져 있다. 가슴지느러미의 뒷 변두리는 움푹 들어가 있고 부레는 없다. 옆줄은 물결무늬로 되어 있고 옆줄의 위 아래 양쪽 변두리로부터 많은 수의 가느다란 가시가 나와있다. 몸은 매우 작은 비늘로 덮여 있다.
크기는 전장 약 1m에 달하며, 몸은 가늘고 길다. 몸통은 몸높이가 낮은 방추형으로 납작하다. 가슴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움푹 들어가 있고 끝은 뾰족하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깊게 파였다. 배지느러미 사이 돌기는 작고 이첨두이다. 옆줄은 제2등지느러미 아래에서 아래쪽으로 휘어진다. 부레는 없다. 등 쪽은 푸른색, 배는 은백색을 띠며 몸 옆면에 회청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등지느러미는 약간 검고 뒷지느러미는 흰색이다. 몸은 작은 비늘로 덮여 있다.
► 설 명 : 표층에서 수심 200m 이내의 연안 표층과 대륙붕에 서식한다. 소형 갑각류나 어류를 잡아 먹는다. 한국에서는 4~5월경에 내만에 몰려와 산란을 하는데 적합한 산란 수온은 10~20℃이며, 알은 부유성으로 직경 1.5mm이다. 난소 내의 알은 일시에 성숙하지 않으며, 치어도 양 턱에 발달한 이발을 갖는다. 부레는 없으나 능히 수직 운동을 한다. 여름에는 얕은 곳, 겨울에는 깊은 곳으로 옮겨 산다. 3~6월의 봄에는 산란 회유를 하며, 9~11월의 가을에는 일본 근해로 먹이를 찾아 이동하는 색이 회유를 한다. 늦가을에서 이른 봄의 산란기에 연안에서 표층 자망이나 정치망으로 어획한다. 회, 구이, 조림, 찜 등으로 이용한다. 특히 늦가을에 맛이 좋고, 잘 포장하여 얼려두면 계속 식용이 가능하다. 고등어와 함께 대표적인 등 푸른 생선의 하나이다. 삼치에 함유된 DHA는 태아의 두뇌 발달이나 노인의 치매 예방, 기억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지나해에 걸쳐서 널리 분포하고 특이한 냄새가 없어서 고급어로 취급되는데 몸이 부드럽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술 찌꺼기나 된장에 절이는 요리에 많이 이용되며, 성숙한 알은 젓갈로 담는다.
제철은 지방 함량이 많은 늦겨울~봄까지이지만 연중 맛이 매우 좋아서 계절에 상관없이 즐길 수 있다. 소형 개체는 기름기가 많지 않지만 연중 안정적이며, 다양한 요리로 이용할 수 있다. 비늘은 작아서 쉽게 벗길 수 있다. 껍질은 약하며, 뼈는 딱딱하지 않다. 살은 선도가 좋을 때는 투명감 있는 백색이지만 금방 하얗게 흐려진다. 맛은 담백하면서도 쌉싸름한 단맛이 나고 비린내가 없으며, 맛이 고급스러워 물리지 않는다. 생선회는 신선도가 좋고 기름이 오른 것이 좋다. 진 것이 좋다. 이 외에도 소금구이, 찌개, 조림, 국, 튀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알은 젓갈이나 조미 건제품으로 가공하기도 한다.
► 분 포 : 한국(서해안, 남해안, 제주도), 일본(중부), 동지나해, 남지나해, 대만 등 북서태평양 연안에 주로 분포한다.
► 비 고 : 삼치는 기름기가 많이 함유돼 고소하면서 부드러운 감칠맛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생선회도 일품이지만 구이로 조리 때 다른 고기와는 달리 영양가가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 생선은 머리 부분이 맛이 좋은데 반해 삼치는 꼬리 쪽의 맛이 뛰어나다. 삼치구이는 육질이 매우 부드러우면서 담백한 맛을 지녀 남녀노소가 선호하는 음식이며, 영양성분이 다랑어(참치)와 비슷한데다 단백질 함량이 20%에 달하는 뛰어난 건강식품이다.
가격이 저렴한데다 건강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삼치는 동맥경화, 심장병 등 성인병 예방에 탁월하다. 다른 어류와는 달리 계절에 따라 함유된 지방의 농도 변화가 심해 지방이 많이 축적된 늦겨울과 봄철에 가장 맛이 뛰어나다. 특히 이 시기에는 지방에 특유의 단맛을 내는 글리세리드(Glyceride)가 함유돼 농어目 고등어科 어류 가운데 유일하게 비린내가 거의 나지 않는다. 농어목 고등어과 삼치속인 삼치류는 전 세계(온대, 열대) 해역에 약 17~18종이 서식하며, 우리나라 연근해에는 5종 정도가 있다. 현재 참치는 양식 및 축양을 하고 있으나, 삼치는 워낙 성질이 급해 양식이 되지 않고 있다. 삼치는 잿방어, 가다랑어, 꽁치 등과 같이 시속 수십 km의 초고속으로 움직이는 잠수정처럼 바다의 표층을 질주하며, 때로는 2~3m까지 비상, '바다의 풍운아'로 불리기도 한다.
삼치에 들어있는 DHA와 EPA는 동맥경화, 뇌졸증 등 순환기계통, 성인병을 예방하고 치매, 당뇨병, 고혈압, 심장마비 등을 예방, 암 발생 억제효과 및 학습능력 향상 효과가 있다. 삼치는 살이 달고 부드러워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좋다.